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초등학생의 학교도서관 자료 검색 행태 분석을 통한 독서로DLS의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 고찰

A Study on Improving of Access to School Library Collection thr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DLS Search Behavior Analysi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4, v.58 no.2, pp.317-342
https://doi.org/10.4275/KSLIS.2024.58.2.317
강봉숙(Bong-suk Kang) (전북대학교)
임정훈(jeonghoon Lim)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DLS에서 초등학생의 정보검색행태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DLS 검색을 시도하는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DLS 검색 과정을 녹화하고 정보요구 전반에 대한 검색-전 질문지와 검색 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색-후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평소 DLS 이용의 주목적이 단순 여가 독서인 경우, 검색 시간과 검색어 수가 많은 경우, 검색 결과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검색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에 교과 연계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고 교과별 시소러스를 구축하여 목록 구축과 이용자 검색 지원에 활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DLS가 외부 검색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검색어 선정, 검색 후 결과 적합성 판단이 부족한 초등학생에게 정보활용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자원 측면, 교육과정 측면의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부 자원과의 통합 검색 서비스, 개인 맞춤형 도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정보검색행태, 정보추구행태, 독서로DLS, 이용자, 접근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accessibility to school library materials through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DLS. Accordingly, the DLS search process was recorded for 26 students attempting a DLS search in the school library,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pre-search questionnaire on overall information needs and a post-search questionnaire on the search process an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low when the main purpose of DLS use was simple leisure reading, when the search time and number of search words were long, and when there were too many search results. Accordingly, it was emphasized that curriculum subject-related metadata elements should be developed and a curriculum subject-specific thesaurus should be built and used to build lists and support user searche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basic functions provided in external searches should be included, and a foundation should be laid in terms of resources and curriculum to systematically provide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ack the ability to select search terms and judge the suitability of results after the search. It was proposed to provide an integrated search service with external resources and a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service.

keyword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Dokseoro DLS, User, Accessibil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