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Job-Esteem Scale for Academic Libraria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4, v.58 no.3, pp.5-34
https://doi.org/10.4275/KSLIS.2024.58.3.005
이선애(Sunae Lee)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도구개발 단계에서는 관련 문헌과 기존 측정도구를 분석하고, 10명의 대학도서관 사서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예비문항 100개를 개발하였다. 이후 내용 타당도 검정과 국문학자 자문, 안면 타당도 검정을 통해 예비 측정도구 52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 조사는 전국 4년제 대학도서관 사서 30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문항 분석과 신뢰도 검정을 확인하였고,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2개 문항을 제거하고 30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조사는 대학도서관 사서 34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문항 분석과 내적 일관성 검정을 통해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29문항을 확정하였고,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 검정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를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이 도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대학도서관, 사서, 직업존중감, 도구개발, 요인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job-esteem scale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librarian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and existing scales in the scale development phase,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0 academic librarians,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100 preliminary measurement items. These items underwent content validity testing, consultations with linguists, and face validity assessments, which culminated in the selection of 52 items for a preliminary measurement scale. A pilot survey was then administered with 300 academic librarians from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to collect data, and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ing were performed with the data. The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ing in the elimination of 22 items and the finalization of 30 item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345 academic librarians, and the study confirmed high reliability of the data through item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tests. Through ano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finalized 29 items. The final scale met all criteria for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This study marks the first development of a job-esteem scale tailored to the distinct attributes of academic librarians, and its significance lies in its utility for assessing and analyzing the job esteem of academic librarians.

keywords
Academic Library, Librarian, Job-esteem, Development of Scale, Factor Analysi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