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디지털 기반 독서 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 지원 현황 분석 - 교육부․교육청의 플랫폼 지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tatus of Support for School Libraries’ Digital-based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Platform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4, v.58 no.4, pp.395-413
https://doi.org/10.4275/KSLIS.2024.58.4.395
강봉숙(Bong-suk Kang) (전북대학교)
이승태(Seungtae Lee)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사서교육))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디지털 기반 독서 교육을 위한 교육부와 교육청의 디지털 매체 제공 플랫폼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디지털 기반 독서 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에 교육부 독서로 시스템과 17개 시・도교육청 전자도서관 전수를 조사하여 학교도서관을 위한 디지털 기반 독서 교육 지원 현황을 독서 전․중․후 과정 지원으로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독서로에서는 독서 전 교육을 위한 큐레이션, 독서 중, 후 교육을 위해 개인과 그룹의 다양한 매체 기반 교육 활동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독서 중 교육을 위한 디지털 매체 제공의 직접 지원은 부재하였으며, 독서로에서 시․도교육청 전자도서관 배너를 통한 링크 제공의 지원만 12개 시․도에서 조사되었다. 여러 종의 전자책을 구축하고 교육을 지원하는 주제 게이트웨이로 기능하기 위해 다양한 오픈 액세스 정보원을 범주화하여 제공하는 등 독서 과정 전반에 대하여 독서 교육을 풍부하게 지원하는 교육청 사례도 나타났지만, 전자도서관이 미구축된 교육청이나 종수가 부족하여 지원 상황의 양적 격차가 나타났다. 또한 독서 과정 일부만 지원하거나 통합 검색 기능 부재 등 디지털 매체 제공 질적 격차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디지털 기반 독서 교육이 격차 없이 이루어지기 위해 시․도교육청을 넘어 교육부의 차원에서의 균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독서로, 교육부, 교육청, 디지털 리터러시, 다중문해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revitalize digital-based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by analyzing the reading education support platfor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digital-based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Accordingly, the status of digital-based reading education infrastructure was investigated by targeting the Ministry of Education’s Dokseoro and the electronic libraries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divided into pre-, middle-, and post-reading process support. Dokseoro supported a curation for pre-reading education and various media-based education of individual and group for middle- and post-reading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direct support for providing digital media for middle-reading education, and support centered on providing banners and links to Offices of Education electronic libraries in Dokseoro was investigated in 12 cities and provinces. In order to build various E-books and function as a subject gateway to support education, there were also cas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at provided abundant reading education for the entire reading process, such as categorizing and providing various open access information resources, but there was a quantitative gap in the situation of support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E-books or the Office of Education in which electronic library hasn’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qualitative gap in providing digital media, such as supporting only part of the reading processes or absence of integrated search function, was also found to be large. As a result, it was founded that homogeneous support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needed beyo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order for digital-based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to take place without gaps.

keywords
Dokseoro, Minstry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 Digital Literacy, Multiliterac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