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사회적 불안에서의 비합리적 신념과 상황요인

Irrational Beliefs and Situational Factors in Social Anxiety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에서의 인지과정의 역할과 상황요인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 세가지 목적을 지닌다. 첫째, 사회적 불안을 예측해주는 비합리적 신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사회적 불안을 유발시키는 상황의 상대적 잠재력과 그 차원을 조사하였다. 셋째, 사회적불안 유발상황의 각 차원별로 상황특정적인 비합리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 623명(남자 382명, 여자 24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회피 및 불안척도(SADS)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척도(FNE)로 사회적 불안정도를 측정하였고, 비합리적 신념검사(IBT)와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회적불안 유발상황척도를 함께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비합리적 신념가운데 파국화, 개인적 완벽성, 인정에 대한 요구, 과잉불안염려, 그리고 무기력 요인을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불안 유발상황은 크게 일상적인 사회적상황, 정체감 위협상황, 비위협적 노출상황으로 나뉘어지고, 이 가운데 정체감 위협상황에서 사회적 불안이 가장 많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특정적인 비합리적 신념을 조사해 본 결과, 일상적인 사회적상황은 과잉불안염려가, 정체감 위협상황은 파국화가 가장 많이 설명해 주었으며, 비위협적 노출상황은 설명력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불안치료시에 비합리적 신념을 교정시켜주는 인지재구성이나, 사회적불안 유발상황을 구성하여 역할연습이나 노출치료등의 치료전략을 구성하는데 실질적인 유용성을 제공해 줄 것이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had three purposes. First, it was examined to know which irrational beliefs was involved in social anxiety.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e relative potency and dimensions of social anxiety - provoking situations. Third, it was examined to know which irrational beliefs was involved in each dimensions of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The social Anxeity and Distress Scal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Irratoinal belief Test and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623 introductory psycholog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Social anxiety was explained by catastrophizing, personal perfection, demand for approval, anxious overconcern and helplessness.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mundane social situations, social identity-threatening situations, and non-threatening self-exposure situations. Among these, social anxiety was higher in social identity threatening situations than in other situation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situation-specific irrational beliefs, mundane social situations was predicted best by anxious overconcern, social identity-threatening situations was predicted best by catastrophizing, and non-threatening self-exposure situations was little predicted by irrational belief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nxiety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