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uter Programmer Aptitude Inventory (CPAI)

초록

일반적으로 심리검사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잘 계획된 예비 연구들을 통하여 검사 문항들을 개발한 후, 신뢰도ㆍ타당도 검증 및 규준작성을 위해 다수의 해당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다단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컴퓨터 관련 인력의 효율적인 인재선발을 위해서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를 개발하고 예비검사와 타당화 작업을 통한 검사의 수정ㆍ보완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검사시 문헌 조사 및 기존의 검사를 검토한 후, 체계적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선발 차원들을 측정하는 250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한다. 예비검사 결과 문항분석을 통해 각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내적 일치도를 고려한 후 총 100문항이 선정되었고, 다양한 집단의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을 대상으로 위 검사에 대한 4차례의 타당화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내적일치도 신뢰도 지수를 얻었을 뿐 아니라 기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력별, 계열별, 직군별로 전체검사 및 하위검사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본 검사는 이분야의 학문적 적성검사로서 의미 있는 구성개념 타당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검사는 준거변인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준거변인(상사지도관찰표)과 .36의 의미 있는 상관이 있어 높은 예측력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요인구조를 분석한 결과, 자료처리/전환능력 및 분석/평가능력 요인의 두 요인이 도출되어 앞으로 이 분야의 검사개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차례의 타당화 연구가 진행되면서, 본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는 그 문제점과 제한점이 다각도로 검토되어 하위검사 및 개별 문항이 수정되고, 또 하위검사 시간도 조정되어 처음 제작시보다 더욱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 발전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해 보았다.

keywords

Abstract

Computer technology is being applied everyday to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problems. These vast applications create a demand for able computer programmers and for valid selection tools to identify persons with aptitudes for this posi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systematically define the job of computer programmers and develop job-related, specific aptitude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1) to develop a computer programmer aptitude inventory reflecting the selection dimensions resulted from a worker-oriented job analysis, and (2)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inventory for various groups of computer programmers. The 250 experimental items were pilot tested with 15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nd analyzed for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finally 100 item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form of the CPAI. Four field studies were then conducted with approximately 1600 computer programmers to revise and validate the experimental CPAI.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most of the subtests were acceptably high. As expecte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uter programmers on the bases of education level, job level and college major, reflecting adequate construct validity of the CPAI. For the concurrent validation of the inventory, the CPAI was administered to currently employed computer programmers of a large software company, and the scores correlated with supervisors ratings of each programmer on overall performance (i. e., ability, personality, attitude, and the like). The validity coefficient of the CPAI was .36 for this group. The CPAI total score, as well as four of its subtes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relate to the ratings, although the group appeared to be highly selected and restricted in range of both predictor and criterion, and the ratings were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not on specific job-performance. Factor analysis revealed two significant factors, the data transformation factor and analysis/evaluation factor, which could provide test developers with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tests in the areas of software. In shot,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al CPAI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nd revised thorough the validation studies, and this resulted in an enhanced, i. e., more reliable and valid, aptitude instrument consisting of 6 subtests with 110 item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ndicate that the CPAI can be used as a selection tool in industrial setting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7-02-17
수정일Revised Date
1997-05-0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