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유교적 근로가치가 직무관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은희(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교적 근로가치와 한국인들의 직무태도 관련변인들간의 효과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제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657명(의사 227명, 간호사 428명)이었다. 공변량 구조분석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모형이 의사, 간호사 집단 모두에서 여러 가지 제반지수에서 대체로 양호한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설정 모형에서 가정한 6개의 경로 중 5개의 경로(유교적 근로가치 → 직무관여, 유교적 근로가치 → 직무만족, 직무관여 → 직무만족, 직무관여 → 조직몰입, 직무만족 → 조직몰입)가 확인되었으며 1개의 경로(유교적 근로가치 → 조직몰입)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산업상담 현장에서의 유교적 근로가치의 순기능적 측면이 논의되었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방향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nfucian work value wish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229 doctors and 428 nurses. An attempt was made to propose a model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Confucian work value and job related variables, and we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between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data by the method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purposed models were supported by a variety of indicators. More specifically, 5 paths out of 6 paths(Confucian work value → job involvement, Confucian work value →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confirmed, although 1 path among 6 paths(Confucian work value → organizational involvement) were disconfirmed. The present finding suggested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Confucian work value in the industrial counseling area, and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전문 판매원의 성과 수준에 따른 지식구조 차이 연구
강혜련(이화여대 경영학부) ; 최일호(명지대 바둑학과) pp.27-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로자의 성과 수준에 따라 지식구조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문 판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저-중-고 3개 수준의 성과집단으로 나누고, 지식구조가 이들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지식구조는 범주 지식과 스크립트 지식이다. 범주 지식 중 수평적 차원인 범주 수가 사용되었고, 스크립트 지식은 세개의 하위 차원인 연계성, 변별성, 추론성으로 나뉘어진다. 전반적 분석결과는 첫째, 범주 지식과 스크립트 지식을 합한 지식구조 전체에서는 저중고 세 성과집단간 유의미한 차이(저성과<중성과<고성과)가 나타났다. 둘째, 지식구조의 차원 분석에서, 범주 지식의 경우 저성과자와 중간성과자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이들과 고성자간에는 차이가 관찰되었다. 스크립트 지식의 경우는 중간성과자와 고성고자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이들과 저성과간에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스크립트 지식의 하위차원 분석에서는 연계성 및 변별성 차원이 스크립트 지식 전체의 경향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 주었으나, 추론성 차원은 이러한 경향과는 달리 저성과자와 중간성과자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이들과 고성과자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가 전문 판매직 종사자의 교육훈련에 대해 갖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knowledge structure among the high, middle and low performance groups of insurance salespeople. The knowledge structure of salespeople were analyzed in terms of categorical knowledge and script knowledge. The number of categories used to classify customers was used to measure the horizontal dimension of categorical knowledge. The script knowledge was examined using 3 dimensions: contingency, distinctiveness and hypotheticality.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the higher the scores of overall knowledge structure. Secondly, in the case of categorical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group and middle or low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core of script knowledge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high groups than in the low performance group. Thirdly, analyses of 3 dimensions of script knowledge showed that the scores of contingency and distinctiveness dimensions were higher in the middle and high group than the low performance group. The score of hypotheticality, on the other hand, was higher in the high group than the middle and low performance group. Finally, the study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ed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심리적 계약의 네 가지 유형: 거래적, 관계적, 안정적, 그리고 발전적 계약
박영석(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여하나(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45-67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으로 조직과 개인간의 심리적 계약은 물질적 의무를 교환하는 거래적 계약과 심리적 의무를 교환하는 관계적 계약의 두 유형으로 구분되어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유형 외에 조직의 물질적 의무와 개인의 심리적 의무를 상호 교환하는 안정적 계약과 반대로 조직의 심리적 의무와 개인의 물질적 의무를 서로 교환하는 발전적 계약의 유형이 기업 조직에서 존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42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조직과 개인간에 상호 교환하는 의무의 내용에 관한 면접을 실시하여 이러한 네 가지의 심리적 계약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 2에서는 네 가지 심리적 계약과 경쟁 가치 모델(Quinn, 1988)의 조직과 개인의 특성을 질문지로 구성하여 321명의 종업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거래적 계약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계약이 특정 경영모델의 특성을 다른 유형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띠고 있었다. 즉, 관계적 계약은 인간관계모델, 안정적 계약은 내부과정 모델, 그리고 발전적 계약은 개방체계모델의 일부 특성을 다른 계약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갖고 있었다. 논외에서는 심리적 계약 유형의 변화와 관련될 수 있는 조직 내 외부의 특성, 이 유형들의 상대적 효과성,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다루었다.

Abstract

Past work has documented and described two types of psychological contracts: transactional and relational contracts. The latter assum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 exchange reciprocally psychological obligations and the former assumed exchange material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 investigate another two types of psychological contracts: Maintenance contracts in which individual's psychological obligations and organization's material ones are exchanged, and developmental contracts in which individual's material obligations and organization's psychological ones are exchanged. In study 1, 42 employees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obligations they exchange, and four types were founded. In study 2, 421 employees participated in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competing values model(Quinn, 1988) with the obligations they exchange. It was founded that each three types of contracts except the transactional contrac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compare to ocher contracts i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model: The relational contracts had mote characteristics of the clan cultur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orale, and affiliation motivations of the human relation model, and the maintenance contracts had more of the hierarchy culture and the hierarchic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internal process model, and the developmental contracts had more of the adhocracy culture, the broker and innovator role of leadership, the growth and resource acquisition of effectiveness, and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open system model. The expected antecedents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four types of psychological contract were discussed.

수행예측 판단에서 합치성에 따른 판단편향 효과
이종구(대구대학교 심리학과) pp.69-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두 속성 정보를 토대로 수행을 예측하는 상황에서 속성 정보의 척도와 반응(판단)척도간의 합치성이 판단에 미치는 편향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첫째, 예측 판단에 중요한 두 입력정보 중 반응 척도와 합치되는 정보가 예측판단에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한 속성 정보는 중요하지 않은 속성정보보다 예측 판단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응척도와 합치되지 않을 경우 그 영향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요하지 않은 정보가 반응 척도와 합치될 경우 이 정보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the weight of a input attribute is enhanced by its compatibility with the response scale(mode).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the weight of a input attribute in predictive judgments of performance was greater when it matches the response scale than when it does not. Some possibl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전자상거래에서의 신기술 수용성 모형 검증 및 확장
김명소(호서대학교 경영.산업심리학부) ; 서화정(호서대학교 경영.산업심리학부) pp.77-100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이용자들의 행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연구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변인으로 시스템에 대한 태도 및 사용 의도와 사용행동을 설명하고 있는 Davis(1989)의 신기술 수용성 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검증해 보고, (2) Davis의 모형에 지각된 불안감(perceived anxiety) 변인을 첨가해서 전자상거래 수용성 모형을 제안ㆍ검증하고, 이에 대한 교차타당화 연구를 실시하며, (3) 전자상거래 수용성 모형의 외부 변인들을 탐색하고, (4) 이 모형 상에서 전자상거래 사용 경험자와 미경험자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911명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조사와 일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LISREL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 부합도 지수들로 보아 Davis(1989)의 신기술 모형은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자상거래 수용성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 지수들도 기초모형 연구와 교차타당화 연구 모두에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밝혀져, 그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또한 전자상거래 사용 경험자와 미경험자간에 모형에 포함된 변인들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었으나 모형 자체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web users is increasing very rapidly, and understanding the consumer behavior on electronic commerce becomes an important issue.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fourfold: (1) to tes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Davis, 1989) in the e-commerce environment, which explains attitude toward system use and intention of using the system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2) to propose and test the E-commerce Acceptance Model which includes 'perceived anxiety' variable in addition to the two variables (3) to explore external variables which affec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anxiety (4) to compare e-commerce users with non-users in this model. 911 web users participated in both off-line and on-line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pplied in e-commerce environment. They also demonstrate that perceived anxiety relates to the attitude toward e-commerce and intention of using e-commerce, which results in supporting the validity of the E-commerce Acceptanc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전기자료(Biodata) 문항의 가중치 부여체계간의 타당도 연구: 분석집단크기에 따른 비교연구
박동건(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전인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1-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료 문항의 경험적 척도화 및 요인 척도화 방법들간의 타당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험판매사원 4813명을 대상으로 154문항의 전기문항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인원에 따라 대(4118명), 중(835명), 소(393명)로 나누어 각 집단에 경험적 척도화 방법(등가중, 희귀가중, WAB, Stokes, 상관계수 방법)과 요인 척도화 방법(등가중, 희귀가중 방법)을 실시하여 타당도 계수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교차타당화에서 타당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대집단에서 경험적 척도화 방법의 등가중, WAB, Stokes, 상관계수 방법과 요인 척도화의 등가중 방법은 교차타당화시에 타당도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회귀가중 방법은 경험적 척도화와 요인 척도화 모두에서 교차타당화시에 타당도의 감소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회귀가중 방법은 경험적 척도화의 개발 및 교차표본에서 다른 방법들보다 높은 타당도를 보였고, 세 집단의 개발표본에서 얻은 타당도 계수들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회귀가중 방법이 다른 가중치 부여 체계에 비해 가장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시 회귀가중 방법의 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폭넓게 수용되기 위해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본 논문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empirical scaling methods and factor scaling methods of biographical items. 154 biographical items were administered to 4813 insurance salesperson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arge(4118 salespersons), middle(835), and small(393) group. For each group, empirical scaling methods (unit weighting, regression weighting, WAB, Stoke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actor scaling methods (unit weighting, regression weighting)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variation of the validity coeffici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arger the sample, the more stable the cross-validation. It was also found that in large groups, empirical scaling methods (unit weighting, WAB, Stoke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actor scaling methods (unit weighting) showed stable validity in crass-validation. The regression weighting, however, showed meaningful decreases in validity when cross-validated for both the empirical scaling method and the factor scaling method. Nevertheless, the regression weighting was more valid than the other weight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empirical scaling and for the cross validation sample. Furthermor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size of validity coefficient in the developing samples for the three groups. Because regression weighting is more easily available than any other weighting method, it should be considered to use the regression weighting method for future research.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서비스 회복 경험에 대한 고객만족의 선행요인과 결과의 관계
곽원섭(호서대 산업심리학) ; 이종구(대구대 심리학과) pp.115-12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험서비스의 회복과정에서의 서비스품질과 전반적인 고객 만족도간의 관계구조 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회복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12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시초에 가정한 것과 동일하게 절차품질,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이러한 3가지 품질 요인을 독립변수로, 전반적인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 3가지 품질 요인이 모두 유의하게 불만처리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개의 서비스회복 품질요인을 외생요인으로, 전반적인 고객 만족도와 구전 및 재거래의사(고객충성도)를 내생요인으로 한 관계 모형에 대한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가설적 모형에서 가정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부합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ervice recovery process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otal, 808 customer(insurant)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 exploratory commo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factor structure of 12 items that were suppo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recovery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ree service recovery quality factors: Interaction, Results, and Procedu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its anteced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three quality factor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ree service recovery quality factors, customer satisfaction, and its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hypothetical model was well-fitted to the data. The implication, some possible limits,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