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교통행동 통제소재와 위험운전행동의 관계
최병희(충북대 심리학과) ; 오주석(도로교통공단) ; 박선진(충북대학교) ; 이순철(충북대학교) pp.1-22 https://doi.org/10.24230/ksiop.28.1.20150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지향하는 교통행동 통제소재가 위험운전행동에 미치는 설명력을 밝히기 위해, 성인 운전자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상관분석과 선형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통행동 통제소재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운전행동 결정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통행동 통제소재요인의 자기 자신과 다른 운전자 요인은 모두 대인분노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차량 및 환경 요인은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대인분노와 문제회피 성향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교통행동 통제소재의 운 요인은 운전행동 결정요인의 문제회피 성향, 이익/자극추구, 대인분노 그리고 공격성 사이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교통행동 통제소재이 위험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독립적인 설명량을 살펴본 결과, 교통행동 통제소재는 위험운전행동 중 과속운전행동, 난폭운전행동, 음주운전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행동 통제소재의 자기 자신 요인은 과속운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운 요인은 모든 위험운전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통사고의 원인을 운으로 보는 운전자는 교통사고의 원인을 자신의 행동, 다른 운전자, 차량 및 환경과 같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보이지 않는 운으로 치부하여 위험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Locus of Control(T-LOC) and Reckless Driving Behavior,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for the data gathered through 294 adults. First, this study examin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LOC and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DBD). As a result, “Self” and “Other drivers” factors of T-LOC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Anger’ factor, “Vehicle/Environment” fact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oiding Problems’ factor, and external “F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oiding Problems’, ‘Benefit/Stimulus Seeking’, ‘Interpersonal Anger’ and ‘Aggression’. Whereas, there was positively correlated between all T-LOC and ‘Interpersonal Anger’. The result to examine influence of T-LOC on Reckless Driving Behavior was showed that T-LOC had significant amount of explained variance on Speed Driving and Wild Driving of Reckless Driving Behavior. And this showed that Fate effected on all Reckless Driving Behavior. That is, drivers who think that an accident caused by a ‘fate’ which can’t be observed, unlike their actions, other drivers, vehicles and driving environments tend to drive more dangerously.

접점종업원들의 협력행동에 대한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 팀 신뢰의 매개역할 및 팀 냉소주의의 조절역할
김학수(고려대학교) ; 박대훈(경희대 경영학부) ; 이준호(호서대학교) pp.23-60 https://doi.org/10.24230/ksiop.28.1.20150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접점종업원들의 협력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팀 신뢰의 매개효과,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신뢰 간의 관계에서 팀 냉소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지역 대형 백화점들의 매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150명의 매장 관리자들과 400명의 접점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114명의 매장 관리자들과 320명의 접점종업원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접점종업원들의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신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접점종업원들의 협력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신뢰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접점종업원들의 협력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신뢰 간의 관계에서 팀 냉소주의는 부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that becomes pronounced as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influences the cooperative behavior of contact employee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cy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and team trust.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150 store managers and 400 contact employees working in stores located inside department store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114 store managers and 340 contact employees, except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team trust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and the cooperative behavior of contact employees.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had a directly effect on the cooperative behavior of contact employees, as well as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had a indirectly effect on the cooperative behavior of contact employees through the team trust. Also found were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f team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store managers and team trus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ts academic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운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순열(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pp.61-74 https://doi.org/10.24230/ksiop.28.1.20150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운전자 62명을 대상으로 위험감수성 및 위험감수성 하위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운전자 집단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4시간 단회기 운전자 교육과 기존의 4시간 운전자 교육을 실시하였다. 2주후 위험감수성 수준을 교육전과 비교하였을 때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위험감수성 수준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위험감수성의 향상 정도는 위험감수성(Risk Sensitivity: RS) 측정 문항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위험감수성 측정문항은 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험지각과 불안정서에 대한 부분을 측정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은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의 위험감수성 수준은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ANOVA와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해서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4시간 단회기의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기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위험감수성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서 개발된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이 운전자들의 위험 운전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다양한 운전자 위험행동에 적용 가능한 위험감수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Risk Sensitivity Improvement program for Driver. A driver 62 people were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which can improve risk sensitivity factors was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separating the driver from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opulations was performed education program training a session, when compared to the risk sensitivity level before and 2 weeks after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isk sensitivity. The degree of risk sensitivity is improved risk sensitivity(Risk Sensitivity: RS) measure item were verified by. Risk sensitivity measure item was measured part of the risk perception and emotional anxiety.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risk sensitivity level prior to performing risk sensitivity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showed the same level.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resul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improving the risk sensitivity of a single session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isk-sensitiv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isk-sensitive development programs through improved education could verify that it can be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that can make a difference in risk driving behavior of the driver.

동료의 인상관리행동이 종업원의 조직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상관리 동기의 매개효과와 내적 통제소재의 조절효과
박소담(광운대 산업심리학과) ; 유태용(광운대학교) pp.75-97 https://doi.org/10.24230/ksiop.28.1.20150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동료효과가 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동료의 인상관리행동이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가 과업수행 및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셋째, 동료의 인상관리행동이 종업원의 과업수행과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가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종업원의 내적 통제소재 정도가 동료의 인상관리행동이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51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동료의 인상관리행동은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고,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는 그들의 과업수행 및 발언행동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또한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는 동료의 인상관리행동과 과업수행 및 발언행동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종업원의 내적 통제소재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동료의 인상관리행동과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 간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 내적 통제소재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er's impression management,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task performance and voice behavior).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Data were gathered from 251 employees from a number of companies by survey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eer's impression management influences on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influences on both task performance and voice behavior.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task performance and voice behavior),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That i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was stronger when employee's level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high.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