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군 장병의 역할구별, 응집력, 생활관만족 및 지각된 분대수행의 관계: 생활관구조와 분대장 과업리더십의 조절효과
임정인(연세대학교) ; 손영우(연세대학교) ; 이수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신재현(연세대학교) ; 박인조(연세대학교) pp.1-25 https://doi.org/10.24230/ksiop.29.1.20160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군 장병의 역할구별, 응집력, 생활관만족 및 지각된 분대수행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생활관구조와 분대장 과업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육군 보병대대 장병 92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응답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역할구별은 응집력, 생활관만족 및 지각된 분대수행에 각각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집력은 역할구별과 생활관만족, 역할구별과 지각된 분대수행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할구별과 생활관만족의 사이에서 생활관구조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역할구별이 강할수록 위계생활관의 장병들이 동기생활관을 사용하는 장병들보다 생활관만족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역할구별과 지각된 분대수행의 사이에서 분대장 과업리더십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분대장의 과업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역할구별과 지각된 분대수행의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가 정리되었으며,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role differentiation, cohesion, team memb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barrack’s structure and squad leader’s initiating structure in these relationships. A total of 924 ROK Army soldi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role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hesion, team memb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respectively. Also, cohe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team member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barrack’s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team membe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eam member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hierarchical barrack than in the horizontal barrack when soldiers perceived that the role differentiation was high. The moderating effect of squad leader’s initiating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was also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squad leader’s initiating structure was high than low. Lastly,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한 한국 근로자들의 동기 구조 및 유형 탐색
박지현(서강대학교) ; 장재윤(서강대학교) pp.27-60 https://doi.org/10.24230/ksiop.29.1.201602.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Ryan과 Deci(2000a)의 자기결정성이론이 제안하는 동기들의 분류체계가 한국 근로자들에게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개별 동기들의 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을 도출하여 각 군집 유형이 (부)적응적 지표들(예, 조직몰입, 정서 소진 등)에서 어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였다. 대기업 근로자 50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1과, 병원 및 제약회사 근로자 15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2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근로자들은 자기결정성이론이 제시한 분류 체계와 달리 자율적 동기 범주의 동기들인 동일시동기, 통합동기, 내적동기를 개별적으로 구분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근로자들의 동기 군집 유형은 크게 (1) 자율동기형 집단, (2) 통제동기형 집단, (3) 의욕저하형 집단으로 나뉘었으며, 그 중 통제동기형 집단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변량분석 결과, 자율동기형 집단은 적응적 지표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의욕저하형 집단은 부적응적 지표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에 기초하여, 한국의 조직 장면에서 자기결정성이론이 분류한 동기 구조와 실제 한국 근로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일 동기 군집 유형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posits the existence of distinct taxonomy of motivation (i.e., amotivation, external, introjected, identified, integrated,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SDT’s work motivation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that of Korean employees, and to identify the motivational profiles for Korean employees together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organizational outcomes. Data was collected from two separate samples of Korean employees(Study 1: 509 employees; Study 2: 153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unlike SDT taxonomy, autonomous motivations were not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ive categories(identified, integrated,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three distinct motivational profiles(i.e., autonomous motivated, controlled motivated, and amotivated), and the largest proportion of Korean employees was covered by controlled motivated cluster. The autonomous motivated cluster had the most favorable levels of adaptive organizational outcomes(i.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whereas the amotivated cluster was strongly related to non-adoptive organizational outcomes(i.e., turnover, emotional exhaust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regarding the distinct features of work motivation structure and motivational profiles in Korean work setting, and also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