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창간 10주년을 맞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의 내용분석 및 앞으로의 제언
유태용(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0-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98년에 창간 10주년을 맞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에 실린 논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1988년의 창간호부터 지난 10년 동안 12권의 학회지에 게재된 총 74편의 논문들 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논문들을 논문저자 특성,연구주제,연구장면,연구방법,연구참가자 유형,사용된 통계분석의 종류 및 사용빈도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자의 소속이 산업현장이나 산업 및 조직심리학과 인접한 학문 분야인 경우는 매우 적었고,논문의 저자도 소수에 편중되어 있었다. 논문을 연구주제별로 분류했올 때,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하위분야 중 조직심리관련 논문이 35편(47%), 소비자 및 광고심리관련 논문이 21편(28%)으로써 전체의 75%를 차지하여 연구주제가 두 분야에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연구장면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진 논문이 35편(47%)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가 49편(66%)으로 가장 많았다. 산업현장의 현직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한 논문 이 29편(39%),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얻은 논문이 27편(37%)이었다. 다양한 통계분석이 사용되었지만 조사연구에서는 요인분석,상관분석,회귀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실험실 연구에서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끝으로 지난 10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연구결과를 주제별로 개관하였으며,이러한 내용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이 나아갈 방향과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연구주 제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ntent of 74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KJIOP) from 1988 to 1997.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uthors,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setting, the research method, the type of participants, and the type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st of authors belonged to university and very few authors belonged to industry. The research topics concentrated on two subareas of I/O psychology: organizational and consumer psychology. The topics of 35 (47%) articles were related to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f 21 (28%) articles were related to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In the research setting, the majority (47%)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industrial settings including business companies, hospital, and army. Most of (66%) studies collected data by questionnaires. Twenty-nine(39%) studies obtained data from job incumbents in the industrial settings and 27 (37%) studies used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Although a variety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in the 74 articles, factor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urvey research and analysis of variance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laboratoty experiment.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research findings published in the KJIOP during a decade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in Korean I/O psycholog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광고전략과 관련한 연상망 이론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고찰
윤소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22
초록보기
초록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광고가 어떻게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함일 것이다. 본 문헌연구에서는 연상망 이론에 근거하여 광고효과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상망 이론을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기존 연구와 이를 광고에 적용한 경험적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여 주요 연구결과들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각 원리가 광고내용 구성과 광고맥락 조성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실제 광고전략에 의미하는 바를 검토하였다.

Abstract

This literature review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the effect of advertising based on the network theory. The potential effects caused by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lements of advertisements were respectively explained withi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e psychological studies and experiments were reviewed, related to this issue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framework on the context construction and the content of development of advertisements. Finally, the future research possibilities were discussed.

근로자들의 정서관련 특성이 직무로 인한 탈진감에 미치는 영향: 탈진감에 대한 저항기제로서의 정서지능
유재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수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3-53
초록보기
초록

현 연구는 직장인들이 업무수행 과정상에서 느끼는 탈진감이 어느 정도이며,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수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찾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정서적인 적응 정도가 상황적인 스트레스를 견디어 나가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이라 정의된 정서의 인식, 조절, 표현, 그리고 개인의 정서적 특성들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동기적인 특성들(자아융통성, 자기효능감, 낙관주의)이 직장인들의 직무로 인한 탈진감을 경험하는 데에 어떠한 중재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한국 표본에 아직까지 적용된 적이 없는 자아융통성 척도와 낙관주의 척도에 대한 타당화 작업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표본에 포함되었던 직장인들 중에서 청년층이나 노년층보다 직무연한이 5년 내지 15년 정도 된 중장년층 근로자들이 가장 직무로 인한 탈진감을 많이 경험하며, 연령에 관계없이 융통적인 사고를 하며 자신의 정서적인 갈등을 잘 해소하는 사람일수록 직무로 인한 탈진감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발 더 나아가 이런 인구사회적 변인들과 정서적인 특성들이 직무로 인한 탈진감을 경험하는데 상호작용을 함이 드러났다. 즉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에 가장 위험한 중장년층 근로자들 중에서도 자신의 정서적인 문제를 가능한 억압하고, 어려운 상황이 닥쳤을 때 융통성 있는 사고를 하지 못하는 경우 직무 관련 탈진감을 가장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행히도 직장인들의 낙관주의 점수는 척도 자체의 통계적인 취약함 때문에 탈진감의 유의미한 변산을 설명해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much burnout feeling individuals experience at work and which individual related variables give influence on the burnout experience. Emotional characteristics have been recently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to deal with stress from the outside world of individuals. In accordance to this regard,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f the burnout experience is mediated by emotional dispositions (mood - awareness, mood - regulation, mood - expressiveness), emotion related motivations (ego - resilience, self - efficacy, optimistic thinking). Among scales measuring these variables, scales of ego - resilience and optimistic thinking, not introduced before in Korea, had been analyzed for their validity evidence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burnout experience had quadratic relationship with months for participants to work at present job positions.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flexibly individuals made thoughts and the better they dealt with emotional problems, the less they experienced burnout feeling caused by work. Furthermore, the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a quadratic term of months to work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burnout experience. In other words, middle - aged workers repressing emotional conflicts with rigid way of thinking could be most vulnerable to job - associated stress.

직업 동일시 모형: 서비스 질,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과의 관계
김원형(대전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77-95
초록보기
초록

직업 동일시란 자신과 자신의 직업과의 일체감(oneness) 지각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개인은 자신의 직업과 동일시하는 정도에 따라 자신과 직업을 공동 운명체로 느끼게 되며 직업의 명성이 자신의 명성이라고까지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 동일시가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과는 서로 다른 구성 개념임을 밝히고 직업 동일시가 서비스 질,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조직 동일시가 서비스 질,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of profession identification and, service quali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find implication for hotel management. Profession identif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perceptions of common fat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ccupation, as suggeste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Employees identify their occupation, so that they considere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s theirs. The present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conceptual discrimination of Profession identification from bot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onses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profession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collected from 163 employees of the Korean large hotels, and analyz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l items in questionnaire consisted of 7-point Likert-type scales. Results supported three factor solutions as proposed. The seco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personal service quality dimensions. Personal service quality was measured by service consistency, readiness for service, kindness, understanding customer, understanding hotel's normative service policy. To identify the consequents, that is service quali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fession identifica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performed. Majo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follows. First, profession identification influenced on employee's service quality. Second, profession identification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fluenced on employee's service q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신입사원 선발용 실용적 지능ㆍ검사의 변별타당도
김명소(호서대 경영.산업심리학부 산업심리학전공) pp.97-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통적인 지능이론의 '확장과 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실용적 지능(Practical Intelligence: 이후 PI)의 구성개념을 이해하고 선행연구(김명소, 김명언, 이도형, 1996)에서 개발한 PI검사를 실제 인사선발 상황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는 Sternberg의 삼위일체 지능이론에 근거한 묵시적 지식(tacit knowledge)을 이용하여 신입사원 선발용 PI검사를 개발하였고 자율채용 응시자 및 현직자를 대상으로 집단간 차이분석 및 상사평가와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구성개념 및 준거관련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3차례에 걸친 실제 채용장면에서 얻어진 PI검사와 학업지능(Academic Intelligence: 이후 AI)검사, 성격검사, 면접, TOEIC, 학력 등의 기존선발변인들과의 변별타당도를 중심으로 구성개념 타당도를 재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AI검사와는 평균 .26의 약한 상관을 보여, AI검사와 중복되는 면이 크지 않은 반면, 성격검사와의 상관은 기대한대로 무시할만했고 면접점수 및 TOEIC점수와도 .10미만의 낮은 상관을 보였다. 그 외에도 학력과는 .26의 상관을 보였는데, AI 하위검사들에 비해서는 비교적 학력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신학교의 등급 및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PI검사는 종래의 선발상황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예측변인들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측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PI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Researchers have begun to explore new selection variables in search of measures to complement a long industry tradition of IQ-type intelligence or ability tests as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Among the most promising variables is practical intelligence(PI), the construct supposed and measured by Sternberg. A PI inventory for entry-level job applicants was developed and known to have predictive validity with the criterion measure of supervisor's ratings in Kim, Kim, Lee(1996)'s stud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particularly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inventory in a large corporation.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I inventory and other common selection measures such as general or academic intelligence(AI) test, personality test, interview, TOEIC, education level, etc. to examine whether the PI inventory has the potential to mak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selection testing. The inventory was which comprised of 25 job-relevant situations or scenarios with 4 or 5 response alternatives was administered to approximately 20,000 entry-level job applicants each time in May, 1995, December, 1995, and May, 1996. It was found that the PI inventory showed weak correlations with AI inventory ranging from .22 to .29 across five job groups. It also correlated trivially with personality test(about -.14~.14), interview(about .06), and TOEIC(about .09).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 test and education level was .26 which was much smaller than that between AI inventory and education level. Consequently, PI is not a proxy for measures of AI, personality or interview, and the test of PI could increase the variance not accounted for in the real-world criterion of job performance by existing selection measures.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so additional research tasks on PI were suggested.

노조몰입과 회사몰입: 상호관계성 및 선행변인들
김명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효선(Sloan School of Management, MIT) pp.113-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 회사몰입과 노조몰입의 양립적 또는 대립적 상호관계성과, 노조몰입과 회사몰입에 대해 2) 평노조원의 개인적인 특성 (긍정적 정서성향, 근무기간, 노조 참여도, 성별, 결혼여부), 3) 노사관계 분위기, 노조 분위기, 소속노조의 영향력 등의 노사관계적 특성, 4) 단체교섭대표(노조대표와 회사대표)들의 효과성 및 5) 단체교섭대표들의 효과성에 대한 노조원과 노조대표간, 노조원과 회사대표간 지각적 합치성 등이 갖는 효과를 알아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10개 기업의 평노조원 251명, 회사대표 33명, 노조간부 7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사몰입과 노조몰입의 관계는 직종에 따라 달랐으며, 사무직에서는 정적인 관련성(양립적 관계)을, 그리고 생산직에서는 부적인 관련성(대립적 관계)을 보였다. 하지만 원만한 노사관계를 가지는 생산직 노조원들에게서는 두 몰입간에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노조원의 개인 특성변인들은 부분적으로 그리고 직종에 따라 상이하게 회사물입 또는 노조몰입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체적으로 노사관계의 특성변인들은 두 몰입과 정적인 관련성을 가졌으나, 생산직 평노조원의 노조몰입은 노사관계의 분위기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조대표의 단체교섭 효과성이 높을수록 두 직종 모두에서 노조원들의 노조몰입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회사대표의 효과성이 높을수록 생산직 노조원들의 회사물입은 증가하였지만, 노조몰입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단체교섭대표들은 자신들의 단체교섭행동 효과성은 높게, 상대 대표의 효과성은 낮게 평가하는 자기 중심적 경향성을 보였다. 여섯째, 회사대표의 효과성에 대한 회사대표와 노조원간의 지각적 합치성이 높을수록 노조몰입이 낮아지는 반면, 노조대표의 효과성에 대한 노조대표와 노조원간의 지각적 합치성이 높아질수록 노조몰입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plore (1)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commitment(CC) and union commitment(UC) and (2) the relationship of union memb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union-management relation, the union climate, and the influential power of the union with CC and UC. It also examined (3) the effect on the CC and UC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presentatives from the union and the company management in the collective bargaining. The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4) to test whether perceptual congruence between the union members and their representatives and that between the union members and the company representatives have any effect on CC and UC.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union members, 73 union representatives, and 33 company representatives of 10 unionized compani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UC wa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job type (i.e., white or blue col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UC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or the white collar workers, but negative for the blue collar. (2) The union memb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but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CC and UC, depending upon the job type. (3)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bor-management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OC/UC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 better the labor-management relation, the lower the blue collar's UC. (4) The effectiveness of the union representatives' behavior during the collective bargaining was found to increase both OC and UC whereas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ny representativ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C and a negative one with UC. (5) The representatives from both the union and the company tended to evaluate their own bargaining effectivenes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6) The perceptual congruence between the union members and the company representatives on the bargaining effectiveness of the company representatives tended to make a significant decrease in UC whereas that between the union members and their representativ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union representatives increased UC. Finally,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발언의 도구성, 배려성, 및 주체와 공정성 지각
서용원(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오동근(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37-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 지각의 주요 변인인 발언효과에 대한 도구적 관점과 비도구적 관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구적 관점에 의하면 발언이 자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에만 발언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비도구적 관점에서는 발언내용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청취자가 자신의 발언에 대해 배려적이라고 지각하게 되면 발언효과가 나타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거의 연구들과는 달리, 발언을 발언자의 유형에 따라 자기발언(self-voice)과 대리발언(vicarious-voice)으로 구분하고, 청취자의 유형에 따라 직접발언(direct-voice)과 간접발언(indirect-voice)으로 구분한 후, 직접발언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발언의 주체(2수준: 자기발언, 대리발언)×발언의 도구성(2수준: 도구적, 비도구적)×발언의 배려성(2수준: 배려, 비배려)의 세 변인 모두가 피험자간 변인인 삼원 완전무선 요인설계이며, 여기에 대리발언 효과와 비도구적 효과 및 비배려 효과를 검중하기 위한 비교집단으로서 아무런 처치도 주어지지 않은 채 과제만 수행하는 통제집단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도구적인 조건에서 뿐 아니라, 비도구적인 조건에서도 피험자의 발언에 대해 청취자가 배려적인 경우에는 발언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세 변인간 삼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도구적 배려효과를 밝히고자 한 과거의 연구들이 피험자들에게서 도구성을 완전히 배제시키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직접 발언을 사용함으로써 도구성을 완전히 배제시킨 상황에서 비도구적 배려효과를 검증했으며, 조직 장면에서 널리 활용 되는 대리발언의 효과를 처음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instrumental and noninstrumental voice enhance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The instrumental explanation proposes that the opportunity to excercise voice over procedures enhances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because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a favorable outcome. In contrast, the noninstrumental explanation asserts that voice effects work irrespective of its influence on outcomes because the opportunity to speak one's view has symbolic value in itself.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test noninstrumenal hypothesis have failed because they were not successful at manipulating noninstumentality of the voice. Unlike them, the present study distinguished between direct-voice and indirect voice, and manipulated direct-voice. A 2(agency of voice: self-voice and vicarious-voice) × 2(instrumentality of voice: instrumental and noninstrumental) × 2(consideredness of voice: considered and nonconsidered)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control (no-voice) condition. Results showed noninstrumental voice effects as well as instrumental effects, and the noninstumental effect was shown only in conjuction with considered voice. Thu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indicating noninstrumental voice effects and vicarious voice effects which could be utilized a lot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형평이론에서 투입과 성과요인의 가중치와 분배원칙 선호 -한국과 미국의 비교문화 연구-
박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Wayne Harrison(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pp.155-177
초록보기
초록

투입과 성과의 관련성은 형평이론을 구성하는 중추적 개념이지만, 사람들이 여러 투입과 성과요인 중에서 어느 투입과 성과를 중요하게 지각하는지는 아직 분명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입요인으로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노력과 능력의 상대적 가중치를 실험상황에서 피험자들의 보상분배 결정으로부터 추론하고, 성과요인들 중에서 중요하다고 지적되는 경제적 보상과 성취관련보상의 상대적 가중치를 실험상황에서 피험자들의 공정성지각으로부터 추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투입과 성과요인의 가중치는 피험자들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대적 가중치를 한국과 미국에서 비교하였다. 피험자들은 심리학개론을 수강하는 396명의 한국 대학생과 225명의 미국 대학생이었다. 투입요인들의 상대적 가중치를 비교하기 위한 보상분배 결정에서 능력보다는 노력의 가중치가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과요인들에서 경제적 보상과 성취관련보상의 가중치를 비교한 결과는 공정성 지각에 대해서 한국은 경제적 보상의 가중치가 훨씬 높았으나 미국은 성취관련보상의 가중치가 높았고,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성취관련보상의 가중치가 높았다. 한편, 한국은 균등원칙을 더 사용하였고 미국은 형평원칙을 더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투입과 성과요인의 가중치를 파악함으로써 형평계산을 할 때 가중치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구에서 발전된 형평규범을 한국에서의 적용을 통해 미국과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형평이론은 무언가를 주고 그 대가로 무언가를 받는 교환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형평이론에서 교환관계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는 투입과 성과이다. 이러한 투입과 성과의 중요성 때문에, 투입과 성과의 개념이 먼저 정확하게 정의되어야 실험조작이 가능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가 있어 형평이론의 명제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Although the concept of relevance of inputs and outcomes play central roles in equity theory, they have not been clearly grasped which inputs and outcomes are perceived more importantl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fer relevance of effort and ability among inputs from the subjects' allocation and relevance of ecomomic reward and achievement-related reward by asking fairnes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e examined the weight of inputs and outcomes in Korea and America. Effort was weighted more importantly than ability in Korea and America. For fairness perception, economic reward was weighted more importantly than achievement-related reward in Korea, whereas achivement-related reward was weighted more importantly than economic reward in America. Korean students preferred equality allocation and American students preferred equity alloca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weight of inputs and outcomes and preference of allocation principl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