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성과의 관계모델 검증연구
이종목(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송대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한기(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송병일(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 596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양상 및 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개인적 특성(사회적 지원, A형 성격, 통제소재) 및 조직행동(직무만족,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주로 봉급, 작업환경, 의사결정 및 책임, 경계 및 집단갈등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성, 기혼, 대졸 근로자들이 여성, 미혼, 고졸 근로자들 보다 전반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직장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이를 도와주는 지원자가 어느 정도 있으며, 남성, 기혼, 대졸 근로자들이 여성, 미혼, 고졸 근로자들 보다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20대는 주로 직장 동료로부터, 40대 이상 근로자들은 주로 가정과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근무년수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로자들은 심리적 긴장 중 우울증세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남성, 미혼, 고졸, 연령이 낮을수록 보다 많은 심리적, 육체적 긴장을 보이고 있다. 조직행동에서는 기혼, 연령과 근무년수가 많을 수록 보다 많은 직무만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관련 제변인들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공변량구조분석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설정모형은 자료에 의해 상당히 만족할 정도로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초부합치=.955). 구체적으로 설정 모델에서 가정한 13개의 경로중 10개의 경로가 긍정되고 3개의 경로는 부정되었다. 그와 같은 경로들을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심리적 긴장, 직무스트레스→직무성과, 직무스트레스→직무만족, 사회적 지원→심리적 긴장, 성격→직무성과, 통제소재→심리적 긴장, 심리적 긴장→육체적 긴장, 심리적 긴장→직무성과, 심리적 긴장→직무만족, 직무성과→직무만족의 경로가 각각 긍정되었고, 사회적 지원→직무성과, 사회적 지원→직무만족, 성격→심리적 긴장의 경로는 모형에 설정되었으나 검증 결과 인정되지 못하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직장생활 양상의 관계를 폭 넓게 이해하고, 이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으며, 스트레스 척도 및 분석에서 사용된 여러 척도들의 정치화 작업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ob stress and various relevant factors. 596 white-coller workers answered the questionare designed of this research. Major stress factors are such a salaries, unpleasant enviornment, decision-making and responsibility, boundary-spanning roles. Overall males seem to suffer stress more than females. Males experience greater stress more than feamales on decision-making and responsibility, enviornment, salareie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factor. They have some social supporters to whom they turn under stress, and depression-related symptoms are the most common strain white-collar workeis experience. A proposed model was tested by the method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see the goodness of fit between the model and empirical data. The model contained six theoretical constructs. Among them, four constructs, job stress, social supprot, personality, and locus of control, were regared as exogenous factors. The other four constructs, psychological strain, physical strai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treated as endogenous factors. The paths out of 13 in the model were confirmed by the analysis. The confirmed paths are 「job stress→psychological strain」,「job stress→job performance」, 「job stress→job satisfaction」,「social supprot→psychological strain」, 「personality→job performance」, 「locus of control→psychological strain」,「psychological strain→physical strain」, 「psychological strain→job performance」, 「psychological strain→job satifaction」「job performance-job satisfaction」. Disscusion emphasized the need for better scale of measureing stress level and moderate variables.

대우의 형평 지각을 결정짓는 요인들
박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22-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형평을 구성하는 투입들과 성과들의 가능한 목록을 제시하여 그것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만족의 인과적 결정과정을 해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공정성 차원들이 보수 또는 직무만족의 예언에 기여하는 정도와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조직장면에서 조직공정성과 만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들의 다양한 심리측정적 준거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체 종사자 246명의 자료에 대해서 주성분 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 분석을 한 결과, 조직공정성 척도와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보수만족과 직무만족의 상관이 매우 높으며, 조직 내부와 외부의 비교에 의한 형평지각이 보수만족과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예언요인임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투입과 성과를 구성하는 요인을 찾지 못한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lthough the concept of relevance of inputs and outcomes plays a central role in equity theory, it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ich inputs and outcomes are taken into account in perceptions of equitable treatment. Equity theory posits that an individual perceives equity or inequity in a work situation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fairness.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 structure of Organizational Fairness Questionnaire and Pay Satisfaction Questionnaire. Job satisfaction is important to individual's goal as well as job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In this perspectives,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equity and job satisfaction. Employee perceptions of equitable treatment were found to be stronger predictors of pay and job satisfaction variables.

성ㆍ연령ㆍ직급ㆍ직무ㆍ학력별 직업적성 및 직업흥미의 분포 OO전화국 직원을 대상으로 -
유봉섭(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45-61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산업현장(한국전기통신공사 OO전화국)에서 실시한 GATB직업적성검사와 직업흥미검사의 세부 분석결과를 보고하는데 있다. GATB직업적성검사에서 지필검사로 분석되는 성능 7가지(지능, 언어능력, 산수능력, 사무지각, 공간적성, 형태지각, 그리고 협응)의 상호상관은 모두 의의있었다. GATB직업적성검사의 성능을 영역별(성별, 직급별, 연령별, 그리고 학력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1) 성별에 있어서, 공간적성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우월하였다. (2) 직무와 직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연령에 있어서, GATB직업적성검사의 성능 모두에서 젊은층(20대와 30대)이 중년층(40대와 50대)보다 더 우수하였다. (4) 학적에 있어서, 공간적성과 형태지각의 경우에는 대졸이 중졸보다 더 우수하였으나, 나머지 성능에서는 대졸이 중졸보다 그리고 대졸이 고졸보다 더 우수하였다. 직업흥미검사를 분석한 결과, 직업흥미 전체 검사대상자들은 흥미영역(18영역)에 있어서 흥미의 정도가 보통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GATB적성검사에서 검출되는 성능 중 언어능력과 직업흥미검사의 공통영역(문학, 과학, 설득, 실무, 옥외, 그리고 예술) 중 문학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port the results which has been obtained from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GATB) and Vocational Interest Test in a telephone company. The intercorrelations of the capacities in the GATB were all significant. The analyzed results of the GATB's capacities in the domains(sex, age, job, position, and scholarship) were as follows: 1 ) In sex, men-staffs were superior women-staffs in the space aptitude : 2) In job and position, all capacities were nonsignificant : 3) In age, young people(twenties, and thirties) were superior to middle-ages(fourties and fifties) in all capacities : and 4) In Scholarship, college or university men were superior to these who finished the junior high school course in the space aptitude and the shape perception, but college or university men were superior to those who completed the high school course in other capacities. The analyzed results of Vocational Interest Test, the interest level of all subjects was middle in 18 domains. At la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ability of the GATB's capacities and literature of the 6 interest domains was only significant.

직무관여와 조직몰입 : 서로 다른 개념?
탁진국(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62-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사이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인다. 먼저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변인 사이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글 변인과 다른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무관여와 조직몰입은 서로 독립적인 구조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 이 두 변인 사이의 구조상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관여를 설명하는데는 개인적 변인들이 상황적 변인들 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조직몰입을 설명하는데는 상황전 변인들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논의된다. 일반적으로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미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논리에 의해서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Using a sample of Korean workers,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address the issue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measures of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 the LISRE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items from measures of these two variables and to assess relations between a wide variety of variables and the two measure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easures of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present distinct constructs. Secon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urther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nstructs betwee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personal variables shared more variance with job involvement than did the situational variables. This was opposit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situational variables shared more variance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did the personal variables.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within a context of cross-cultural frame. Generally, many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appear to be explained by a similar logic as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findings for American workers.

직무기술지표(JDI)의 구조타당도 평가
탁진국(성균관대학교) ; Ronald G. Downey(Kansas State University) pp.87-9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Tak과 Downey(1988)의 자료를 재분석하여 한국 종업원을 대상으로 R-JDI의 구조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크게 두 가지의 분석이 행해졌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R-JDI의 5가지 요인이 한국표집에도 적용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sch의 문항반응이론분석결과 한국 표집에서 얻은 자료와 미국 표집에서 얻은 자료가 적절하게 수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가 두 나라 사이의 문화적인 차의 관점에서 논의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R-JDI by reanalyzing Tak and Downey's(1988) data with different analyses. Two sets of analyses were conducted to address this issue.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original five R-JDI scales were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A Rasch IRT analysis comparing the Korean item statistics to those from a USA sample indicated a moderate convergence between the two samples. Several items were identified where sample and/or cultural differences led to different estimates of item characteristics.

생산직과 써비스직에서의 직무동기의 예언
한덕웅(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95-109
초록보기
초록

직무동기를 예언하는 요인들에는 조직, 직무 및 개인 요소에서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대부분의 상황에 적합한 공통적 요인들이 있고, 각 상황에만 적합한 특수한 요인들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에 근거하여 여러 이론들로부터 동기에 영향을 미치리라고 주장된 22개 구성개념들을 사용하여 두개 직무에서 동기의 예언에 공통적으로나 특수하게 기여하는 요인들을 가려내었다. 써비스직 214명과 전자 생산직 462명을 대상으로 각각 동기수준의 예측에 유의한 요인들을 가려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 분석을 했다. 그 결과 써비스직과 사무직에서 모두 애사심, 사기, 및 수행이 공통적인 직무동기의 예언요인들로 추출되었다. 서로 다른 요인으로서는 써비스직에서 유동성, 형평, 사원복지 및 역할 갈등의 다양한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생산식에서는 직무성질만이 특수한 요인으로 추가되었다. 이 결과에 근거해서 서비스직과 생산직에서 공통적으로나 특수하게 적용 가능한 동기증진 기법이 검토되었고, 일반화된 통합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이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과제가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important predictors of work motivation in Korean worker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common and the industry-specific factors will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worker motivation. Based upon the assumptions which were proposed by Hahn. Hahn, Kim & Sung(1988), 22 construct measures were used as the predictors of worker motivation. Data obtained from 462 workers in an electronics industry and from 214 workers in a hotel service industry were analyzed via the forwar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ed common predictors were loyalty to the organization, group work morale, and the prior performance. The extracted specific predictors were work competence, equity, welfare and role conflicts in the hotel service organization, but only job itself was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electronics company.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a supportive evidence for the above hypothesis.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theor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f work motivation in Korean organizational context were discussed.

소비자 관여의 개념화와 측정
이상빈(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110-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여를 특정자극에 대한 지속적기저관심과 상황특유의 특출성, 개인적관련성 및 개인의 목표지향전 각성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발되는 접근 동기적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이 정의에서 특정자극에 대한 지속적이고 기저가 되는 관여를 지속적기저관여라고 하였고, 특정시점에서 상황적으로 유발되는 관여를 상황특유관여라고 명명하였다. 따라서 일반적 관여란 이 두 가지 관여의 상호작용 함수라고 보았다. 이 관여의 측정은 본 연구에서 상황특유관여의 조작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기저관여의 측정에 국한되었다. 25개의 양극형용사로 된 7점척도를 구성하여 고와 저관여제품으로 기존연구에서 밝혀진 두제품(여성의류와 치약)을 대상으로 240명의 여성에게 평정하도록 하였다.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에 의해 밝혀진 결과에 의하면 제품에 따라 그에 대한 관여를 구성하는 요인이 다르며 또 관여란 한 가지 이상의 요소로 구성, 즉 다차원으로 되어있음이 밝혀졌다. 전반적으로 관여를 구성하는 요인은 감정적, 인지적, 이미지 및 위험의 네가지로 볼 수 있고 이들에 높게 부하되는 문항들을 추출하여 13개의 양극형용사로 된 지속적 기저관여의 측정척도를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I define involvement is a approach motivating state induced by the interactions of enduring baseline interests for a given stimulus and situation-specific involvement such as that situational saliency, personal relevance, and goal-directed arousal capacity. In this definition, enduring baseline involvement is defined as enduring, ongoing, and basic involvement for a given stimulus, and situation-specific involvement is induced by situation specfically at a given time. This involvement measures is limited in enduring baseline involvement because the operation of situation-specific involvement is not included in this study. 240 female subjects rate 25-item bipolar adjective scale of 7-point for two products(female clothing and toothpaste) identifying each as high and low involvement product in the past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the factors of constructing for products are different and involvement constructing components are more than one, that is, are multidimensional rather than single. By and large, it is that the factors consturcting the enduring baseline involvement are affactive, cognitive, image, and risk. And this studs suggests a involvement measurement scale composed highly factor-loading 13-item bipolar adjectives for each four factors.

소비자의 기분상태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창우(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36-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광고에서 소비자의 기분상태가 광고정보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기분이라는 감정 구성체가 정보처리에 영양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정보처리과정에 있어서 기분이 유도된 시점에 따라 정의의 부호화시 유도된 기분과 정보인출시 유도된 기분이 광고정보의 처리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5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광고정보의 부호화시의 기분이 광고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부적인 기분일 때에 비해서 정적인 기분일 때 광고상품에 대해 더 정적인 판단을 하였고 광고정의에 대한 전체 회상량은 기분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 정적인 정보에 대한 회상량은 부적기분일 때에 비해 정적기분일 때 더 많았고 부적정보에 대한 회상량은 정적기분일 때에 비해 부적 기분일 때 더 많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정적, 부적 기분에 중립적인 기분을 삽입시키고 광고의 유형도 정적, 부적 두 수준으로 나누었는데, 그 결과 정적인 광고에서는 기분이 중립적이거나 부적일 때에 비해 정적일 때 광고상품에 대해 더 정적인 판단을 하였고 부적인 광고의 경우에는 기분이 중립적이거나 정적일 때에 비해 부적일 때 더 부적인 판단을 하였다. 실험 3에서는 광고정보의 인출시의 기분이 광고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정보 부호화시의 기분의 효과와는 달리 상품에 대한 판단이나 회상된 정보의 질 및 양에 있어서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4-a에서는 광고의 유형(정적, 부적)에 따른 부호화시 기분과 인출시 기분의 효과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부호화시에 유도된 기분에 의한 효과만 나타났을 뿐 인출시에 유도된 기분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험 4-b에서 부호화와 인출 사이에 1주일의 시간지연을 두었을 때도 동일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광고에서의 소비자의 기분상태의 효과는 광고정보의 부호화시의 기분이 광고의 처리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umer's mood states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advertisement with data from college student. Especially, it was examined if consumer's mood both at the information encoding period and at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iod differently affect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advertisement. First, experiment 1 examined the effect of induced mood at the information encoding perio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was more positive judgement on a given product under the positive mood condition than under the negative mood condition. At experiment 2 the neutral mood condition was added and two types of advertisement(positive vs. negative) were also presented. When advertisement type was positive subjects made more positive judgement on the product under the positive mood condition than under the other mood conditions. Experiment 3 examined the effect of subjects mood at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io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 mood at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iod affected none of the several dependent variables(judgement, recall). Experiment 4(4a, 4b)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uce mood at both periods(encoding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processing advertisement types, and time lag(ⓐ 1 day (4-a) and ⓑ 1 week(4-b))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duced mood at the information encoding period.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at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iod in both delay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mood at the information encoding period has a greater, effect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advertisement than consumer's mood at the information retrieval period.

대학생활 만족의 구성요인과 예언요인
김준곤(효성여대 심리학과 효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 성한기(효성여대 심리학과 효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 이춘회(효성여대 심리학과 효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 박경자(효성여대 심리학과 효성여대 학생생활연구소) pp.154-167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성요인과 만족도와 관련되는 변인들과의 관계 및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알아보았다. 먼저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원을 밝히기 위하여 5점 척도로 된 67문항의 조사지를 830명의 여대생에게 실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체감, 교수와의 관계, 학교 운영정책 등 1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별 만족도의 평균은 전체 만족도와 r=.35로서 만족스런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활 만속도는 학교에 대한 투쟁의사, 학교에 대한 신뢰, 가정 분위기, 개인적 행복도, 부모의 기대, 성격에 대한 불만, 정신건강 등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중다회귀 분석을 통하여 전체적 만족에 대한 단면별 만족 및 개인특성 변인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5개의 만족 요인과 2개의 개인특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큰 설명변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의 중요한 하위요인인 학교와의 일체감의 예언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확인해 본 결과, 21개의 만족요인과 개인적 요인 중 19개의 요인이 일체감과 유의한 단순상관을 보였으며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서 일체감의 예언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는 10개의 요인이 밝혀졌다.

Abstract

Components and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 life satisfaction were attempted to identify. A questionnaire consists of 63 items with 5 point rating scale was administered to each of 830 female students and then 14 satisfaction factors were proved by factor analysis. Mean of 14 factor satisfaction scor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score and these two criteria correlated with such factors as strife against college, confidence to college, happiness, and mental health. To find out predictors of student life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resulted that 7 factors of the 22 factors(14 satisfaction factors and 8 person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overall satisfaction. In addition, factors relating identification with college were investigated. Of the 21 satisfaction and personal factors, each of 19 factors correlated with identification with college and 10 factor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rediction of identification.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과 문화 가치 및 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홍세희(공군사관학교) pp.168-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가치(권력차이, 불확실성 회피)와 인구학적 변인(국적, 성별, 학력, 경력)이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에서 227명, 미국에서 143명의 피험자를 각각 조사 대상자로 하였으므로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첫째가설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문화적 가치가 다르다는 것이었다. 둘째가설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세째가설은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의 형성에 문화 가치와 인구학적 변인(국적, 성별)의 상호작용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위의 세가지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은 문화에 따라 다르며 동일문화권내에서도 개인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본 연구에서는 문화가치와 이상적 지도자유형에 대한 개인의 암묵적 이론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신뢰도는 약 .80이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cultural values(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and demographic variables(nationality, gender,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are the determinants of personal implicit theory of ideal leadership. For a cross-cultural research, 227 Koreans and 143 Americans were surveyed. The present study has three research hypotheses :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would influence the cultural values. Second, the demographic variables would influence a personal implicit theory of ideal leadership. Third, the cultural values, nationality and gender would influence a personal implicit theory of ideal leadership. The results showed that 1) an ideal leadership is different from culture to culture becaus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shape expectations and judgements about appropriate behaviors of leaders, and 2) within a culture, an implicit theory of ideal leadership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an individual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developed measures for cultural values and an implicit theory of ideal leadership.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approximately .8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