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개인의 성격, 직무 요구, 직무 통제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량희(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pp.1-20 https://doi.org/10.24230/ksiop.20.1.20070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격요인인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과 직무에서의 요구와 직무에 대한 통제가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향성, 성실성, 신경증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직무에서의 요구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직무에 대한 통제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 요구, 직무 통제, 외향성간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292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외향성, 성실성은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신경증은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직무 요구와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직무 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 요구, 직무 통제, 외향성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job demand, and job control on job stres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on job stres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a moderating effect of job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extraversion, job demand, and job control on job str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92 white collar employe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and neurotic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Job control didn'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job demand, job control, and extraversion on job stress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운전일탈행동과 정상운전행동이 가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모형 분석
박선진(충북대학교) ; 이순철(충북대학교) ; 엄진섭(충북대학교) pp.21-41 https://doi.org/10.24230/ksiop.20.1.20070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운전일탈행동과 정상운전행동이 운전자들의 가해사고에 어떻게 이르는지 알아보았다. 운전일탈행동과 정상운전행동을 묻는 조사지를 수행한 운전자 가운데 25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운전자행동은 ‘정상운전행동(Positive Driver Behaviors)’, ‘오류운전행동(Errors)’, ‘위반운전행동(Violations)’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상운전행동이 운전일탈행동과 뚜렷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전일탈행동 및 정상운전행동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오류운전행동, 위반운전행동, 정상운전행동 모두 교통사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교통사고에 대한 운전자행동 요인의 회귀분석 결과, 오류운전행동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경로분석을 통해 운전일탈행동과 정상운전행동이 가해교통사고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오류운전행동은 가해교통사고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정상운전행동과 위반운전행동은 오류운전행동을 거쳐 교통사고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focusing on aberrant and positive driving behavi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berrant and positive driving behaviors on crashes. Among drivers conducting DBQ(measuring aberrant driving behaviors) and the positive 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 258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driver behavior consisted of 'Positive Driving Behaviors’, ‘Errors’, ‘Violations’. Errors and violation fact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ffic accidents. Positive driving behaviors fact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ffic accident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ported that amongst three factors(positive driving behaviors, errors, violations) err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redictive of crashes. As expected, errors directly had effects on crashes that errors, positive driving behaviors and violations indirectly did. We identified that positive driving behavior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berrant driving behaviors and crashes.

음주 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이순열(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 이순철(충북대학교) pp.43-55 https://doi.org/10.24230/ksiop.20.1.200702.43
초록보기
초록

음주는 운전자에게 비정상적인 운전행동을 하게 만든다. 비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음주운전자는 교통사고 위험을 높이게 된다. 음주운전은 교통사고 발생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그 피해정도가 다른 사고형태보다 심대하기 때문에 음주운전행동이 내포하고 있는 위험성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확신수준 설문지를 통해서 음주운전자들의 위험운전행동의 경로를 밝혀내고 가해 교통사고를 발생시키는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주운전자집단의 운전확신수준은 가해교통사고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음주운전자들의 과속운전경험은 가해교통사고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관관계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기본 경로모형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기본 경로모형은 적합한 모형 부합치를 나타내었다. 전체 경로모형은 음주운전자들의 가해교통사고의 약 14%를 설명해 주고 있다. 음주운전자들의 가해 교통사고에 가장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상황둔감성 요인이었는데, 이는 음주운전자들이 교통상황에 대해서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음주 후에도 자신들의 교통상황 적응능력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수록 가해 교통사고를 더 많이 일으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Drunk driving is well known asa serious social concern because it raises the possibility to make drivers engage in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of these accidents are heavier than any others.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ers' confidence level and traffic accidents in DWI(Driving While Intoxicated)offenders group. Based on this relationship, paths explaining the impact of driver's confidence level on traffic accidents also have been linked. The ‘Driving Confidence Level Questionnaire’ is known to consist of four sub-factors such as ‘Insensibility to Situations’, ‘Unsafe Driving’, ‘Careless Concentration’ and ‘Self-efficacy of Driving’. The result showed that ‘Driving Confidence Level’ of DWI offenders and their speeding-offence record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raffic accidents. More over, in the path analysis, ‘Insensibility to Situations’ factor showed the biggest positive impact among four ‘Driving Confidence Level Questionnaire’ sub-factors on traffic accidents. This means drivers' inordinate optimistic attitude to traffic situations and their excessive self-confidence under influences of alcohol make driver's be in dangerous situations.

재취업 질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김태은(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57-80 https://doi.org/10.24230/ksiop.20.1.20070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취업 질을 직무만족,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부합도, 직무향상으로 규명하여 재취업 질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재취업 질의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재취업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경력계획, 자존감, 구직효능감을 제안하였고, 재취업 질의 결과변인으로는 건강(신체화, 정신건강, 생애만족)과 이직의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실직한 지 2개월 미만인 실직자 1858명을 1차 조사대상자로 했으며, 이 가운데 6개월 후인 2차 조사에서 재취업에 성공을 하고, 6개월 이후인 3차 조사시점까지 계속 취업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총 289명을 분석하였다. 한편 재취업 질의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차 조사시점에서도 계속 미취업 상태인 실직자 166명을 포함시켰다. 2차 조사시점에서 재취업 질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그리고 실직집단의 정신건강을 비교한 결과 재취업 질이 낮은 집단은 실직집단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경력계획, 자존감, 구직효능감은 재취업 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재취업 질은 재취업 후 건강 및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의 관계에 있어서 재취업 질의 매개효과는 경력계획 및 구직효능감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reemployment in an area of reemployment research and to analyze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the quality of reemployment with longitudinal data. Data were collected three times with six months intervals on each survey. For this study, 289 people who were unemployed at the first survey but reemployed at the second survey and remained reemployed at the final surve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hree groups(high quality of reemployment, low quality of reemployment, and continuous unemployment group) at the second survey,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scores between the low quality group and the continuous unemployment group. Secondly, career plan, self-esteem, and job -seek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employment quality, and reemployment qua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arious outcome variables such a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turnover. Thirdly, generally reemployment qua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with some ex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 and intention to turnov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turnov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