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기업 인력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 여성인력의 전략적 활용
강혜련(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pp.1-14
초록보기
초록

인구 및 산업구조의 변화는 여성인력의 수요를 증가시켰지만 여성의 조직내 역할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조직내 중심계층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를 심리적 장애요인과 정책적 후진성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여성인력의 전략적 활용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직실천적 개선방안들이 제시되었는데 가족지원적 회사정책수립, 여성편견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경력관리적 접근, 여성고용할당제의 다양한 적용방안등이 포함된다. 이의 실천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인력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기업의 근본적인 사고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The status of women work force has not substantially changed even though structural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the economy are accompanied by increases in the demand for wome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barriers experienced by employed women who have seldom advanced toward managerial positions. Some remedial alternatives are presented to better accommodate women work force including family-responsive polices, career management approaches, and diversified applications of quotas. To obtain fruitful outcomes, organizations need to change traditional personnel practices so as to build a new paradigm.

고객만족을 위한 은행 서비스의 품질과 인적 서비스 수행을 위한 조직요인
곽원섭(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5-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객만족 접근에 기초한 우리나라 은행서비스의 품질과 인적 서비스의 수행에 기여하는 조직요인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은행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 185명을 대상으로 22개의 서비스 내용에 대한 지각과 기대를 평점토록 한 뒤 그 차이점수를 요인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은행 서비스 품질의 구성은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 수익성, 그리고 유형성 차원으로 밝혀졌다. 연구 2에서는 서비스의 품질 차원 가운데 서비스 제공자의 인적 수행에 의해 이루어지는 차원들을 분리해 내고 그러한 인적 수행에 영향을 주는 조직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나타난 서비스 품질 차원 중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그리고 확신성 차원의 내용을 서비스 제공자의 수행개념으로 구성하고 이를 예언해 줄 수 있는 7개의 조직요인을 가정하였다. 217명의 일선 은행 서비스 직원을 대상으로 해서 수행수준의 예측에 유의미한 요인들을 가려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전향적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수행을 예언해 줄 수 있는 유의미한 조직요인들로서 팀웍,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직원-직무조화, 그리고 평가 및 보상체계가 추출되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조직개발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고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제한점과 추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bank service quality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o extract organizatio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of personal servic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I, total 185 customers rated each of 22 items on their perception and expectation in describing service quality. The difference scores between perception and expectation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bank service quality is composed of six dimensions Responsiveness(32.9%), Reliability(70.3%), Empathy(6.8%), Assurance(5.4%), Profitability(4.5%), and Tangibles(4.5%). In study II,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erformance of personal service will represent the 4 dimension of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and which will be related to organization factors. Based upon this assumptions, 7 factors of organization were used as the predictors of service performance. Data obtained from 217 first line workers in bank were analyzed via the forwar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ed specific predictors were teamwork,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employee-job fit, and evaluation-reward system.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additional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감성의 기능화를 통한 신제품개발에의 접근
권규식(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pp.33-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제품개발에 응용하기 위해 감성의 기능적 표현에 관해 다루었다. 감성의 기능적 표현이란 감성이 고려된 제품을 설계하고자 할 때, 감성이 제품설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이를 기능어휘로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접근방법으로서 요인분석을 통해 감성과 감각, 정성적 기능과 정량적 기능 등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계통화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들을 감각을 매개로 하여 서로 연계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요소로서의 감정적 느낌이 제품의 기능적 역할측면에서 어떻게 설명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로 전환되기 위해 기능으로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는 인간의 감성이 가미된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functional representation of emotion for applying human's sensibility to product development. It means to express human's sensibility to functional words for identifying its role and extracting the design elements in designing product based on human's sensibility. The systematic methods are introduced to categorize the structures of sensibility, senses, qualitative function, and quantitative function by factor analysis and to combine them with the senses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how to consider the emotion in functional roles aspects and transform it into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can be verified. And,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designing the new products considered human's sensibility.

조직 몰입 세 성분 모형의 개념화
김원형(대한주택공사 연구소) pp.51-7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Meyer와 Allen(1991)의 조직 몰입의 삼성분 모형과 조직 동일시의 변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몰입의 3가지 성분인 감정적(affective), 타산적(continuance), 규범적(normative) 몰입의 존재는 513명의 대기업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1,682명의 대기업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감정적, 타산적, 규범적 몰입과 조직 동일시에 대한 문항 분석을 위해 7점 Likert형 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의 결과는 감정적, 타산적, 규범적 몰입과 조직 동일시 개념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는 연구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의 결과도 또한 탐색적 요인 분석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경쟁적 대안 모형들간의 검증을 통해 감정적 몰입이 조직 동일시보다는 규범적 조직 몰입과 더 유사한 개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로 감정적, 타산적, 규범적 몰입과 조직 동일시는 상관은 있지만 서로 다른 개념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conceptual discrimination of J.P.Meyer and N.J.Allens(1991) 3-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Responses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3-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ere collected from 513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and analyz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l items in questionnaire consisted of 7-point Likert-type scales. The existence of 3 face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generally support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our factor structure from 1,682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national corporation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ompare the one-, three-, and four-component model, affective, continuance, norma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lso were identified as distinct concepts. Results supported four factor solutions as proposed.

이직자의 (離職者) 생활사
박영석(코오롱연수원) pp.75-1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직자의 생활사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985년에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 91명과 1995년에 같은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 295명을 대상으로 285문항의 생활사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MMPI, CPI, 그리고 적성검사도 이들에게 동시에 실시하였다. 285개의 생활사 문항 중 6개 범주에 속하는 연속적 문항 116개를 대상으로 범주별로 요인분석하여 30개의 생활사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생활사 요인과 MMPI 13개 하위척도, CPI 18개 하위척도, 그리고 12개 적성검사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개 생활사 요인들의 적성, 성격 및 정신적 특성들이 비교적 명료하게 드러나 생활사 요인의 심리적 의미를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었다. 이 생활사 요인들을 기초로 조사대상자들을 군집분석하여 10개의 생활사 유형을 추출하였는데 10년 후에 남은 사람과 떠난 사람간에 유의미한 빈도의 차이를 보인 유형은 1개 유형이었다. 또한 30개의 생활사 요인 중에서 3개 요인과 23개 생활사 문항에서 남은 사람과 떠난 사람 간에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있었다. 1985년 조사대상자 중 1994년까지 회사를 떠나지 않고 남은 사람 39명에게 동일한 생활사 문항을 재실시 했을 때, 30개 생활사 요인 중 12개 요인에서 10년 전후의 자료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관찰되었고 9개 요인에서 10년 전후의 평균치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남은 사람들의 특성도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직자의 생활사 특성, 생활사 유형과 기업문화의 상호작용이 이직에 미치는 효과, 생활사 문항의 안정성,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fe history of withdrawers who quitted their jobs. 285 life history items with MMPI, CPI, and aptitude tests were administrated to 91 employees in 1985 and 295 employees in 1995. 30 factors of the life history items were observed by hierarchical factor analysis of 116 continuous items from the life history items. The mental, psychological, and aptitudinal meaning of the 30 life history factors were interpret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subscale scores of MMPI, CPI, and aptitude tests. 10 types of life history were identified by clustering the employees and most of the members of one type named 'Entreprenuer' among 91 employees in 1985 were quitted their jobs within 10 yea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withdrawers and others in three among the 30 factors and 23 items among the life history items. Th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of people who quitted their job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life history of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urnover,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인의 경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조선 중ㆍ후기 소설을 중심으로
성영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철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고동우(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3-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전통적 경제 가치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 중ㆍ후기 소설인 '흥부전', '허생전', '양반전'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물질의 요소가 개입되어 있는 신념들을 경제 가치관의 내용으로 규정하고, 물질 가치관과 인간 관계 속의 물질 가치관을 기본적인 분석의 틀로 삼았다. 본 연구예서 분석한 물질 가치관의 내용은 i) 물질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신념들 ii) 빈부에 대한 신념들 iii) 돈의 심리적 의미이며, 인간 관계 속의 물질 가치관의 내용은 i) 개인과 물질 ii) 가족과 물질 iii) 사회적 관계와 물질이다. 분석 결과 도출한 물질 가치관의 주요 내용은 분수(分守)의 이중적 적용기준, 빈부의 운명론, 신분과 부의 밀접한 관련성, 황금 만능주의 신념 등이었으며, 또 인간 관계 속의 물질 가치관의 주요 내용으로는 마음의 안정(특히 修養)과 물질의 연관성, 가족을 위한 물질 추구 신념, 물질 추구에 있어서 사회적 정(情)과 의(義)의 중요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종교적 신념이나 행동에서는 기복신앙의 측면이 두드러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의 경제행동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며, 차후의 가치관 연구와 마케팅 전략 개발에 있어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raditional values in Korean economic behavior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lassical novels, 'Heungboojeon', 'Heosaengjeon' and 'Yangbanjeon' that have been popular with Korean since the mid-late Chosun-era. The framework for the content analysis with these literatures consisted of i) material values, ii) human-relation values, and iii) material values in the human relations. i) and iii) among these values refered to economic values. More specifically, the material values constituted beliefs about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material, beliefs about poverty/wealth, and psychological meanings of money. Material values in the human relations dealt with relationships-individual vs. materials, family vs. materials, and social network vs.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Korean economic behaviors in the present. Also it might have implications on the future reseach about economic values and marketing strategies.

기업이미지 측정을 위한 모델개발 연구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41-159
초록보기
초록

유태용(1994)은 기업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용어들에 내재되어 있는 다섯가지 요인들(知性, 生動性, 非人間性, 野性, 堅實性 요인)을 탐색적으로 알아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용어들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기업이미지 측정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태용(1994)의 연구에 기초하여 기업이미지 측정을 위한 모델을 탐색적으로 설정한 후, 모델개발 및 교차타당화를 위하여 총 789명의 대학생들이 5대 그룹(현대, 대우, 삼성, 엘지, 선경)의 이미지를 평정하였다. 이 자료를 무선적으로 반으로 나누어 395명의 자료를 측정모델의 개발에 사용하였고, 394명의 자료를 측정모델의 교차타당화를 위하여 사용하였다. LISREL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선행연구(유태용, 1994)에서 탐색적으로 밝혀진 다섯가지 요인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업이미지 측정을 위하여 총 30개 특성용어들로 구성된 척도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5대 그룹들 간의 이미지를 중다비교하였고, 다섯개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5대 그룹이미지의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비교 결과,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삼성이 다섯개 차원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좋은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고 현대는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비인간적으로 평가되었다. 군집분석을 한 결과, 선경, 엘지, 대우의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고 삼성과 현대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상이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연구과제와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Yoo(1994) exploratorily extracted five factors(Intellect, Vitality, Dehumanization, Propulsion, and Stability) from trait adjectives describing corporate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five factors, and develop a model for measuring the corporate image.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exploratory mode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 of Yoo(1994)'s study.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y LISREL 8 to develop the measurement model for the corporate image. In the step of model development, 395 college students rated the image of Korean five largest corporations(Hyundai, Daewoo, Samsung, Lucky-Goldstar, Sunkyong) using 154 trait adjectives describing corporate image.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ed of the five factors was well fitted to the data, and the model consisted of 30 trait adjectives(6 trait adjectives per a factor) was the best model. Another confirmatot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ross-validate the model using 394 college students. Result indicated the model was valid across different samples. Based on the five factor model of the corporate image, the five corporations were compared each other. Results from multiple comparison indicated that Samsung had generally good image in almost all of the five dimensions. The image of Hyundai was the worst in terms of Dehumanization factor. These results were exactly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Yoo, 1994).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e images of Sunkyong, Daewoo, and Lucky-Goldstar were similar each other, and the images of Samsung and Hyundai were quite different. Lastly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so additional research tasks were suggested.

한국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 성별, 성역할유형 및 문화에 따른 차이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61-17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한국문화에서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성별, 성역할유형 및 문화의 차이에 따라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녀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분석한 결과, 직업군인, 건설현장감독, 중장비기사, 소방공무원, 그리고 기관사 등이 가장 남성적인 직업으로 지각되었으며, 간호사, 유치원교사, 비서, 전화교환원, 그리고 에어로빅강사 등이 가장 여성적인 직업으로 지각되었다. 남녀간의 차이를 비교해볼 때 여학생의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서 남성적 직업을 덜 남성적인 것으로, 여성적 직업을 더 여성적인 것으로 지각함을 말해준다. 조사대상자를 성역할 유형에 따라서 "남성적"유형과 "여성적"유형으로 구분하여 두 유형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성적"유형에서의 점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적"유형의 학생은 "남성적"유형의 학생에 비해서 남성적 직업을 더 남성적인 것으로, 여성적 직업을 덜 여성적인 것으로 지각하였다. 남녀 각 성별에서 "남성적"유형과 "여성적"유형으로 구분하여 두 유형의 점수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를 합해서 분석했을 때와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국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정도와 비교해 보았을때 한국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이 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남성적 직업의 경우 강하게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남녀로 구분해서 분석했을 때와 "남성적", "여성적"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이유와 문화의 차이에 따라 일부 직업에서 큰 점수 차이가 나타난 이유를 추론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단점과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rongly Korean college students hold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Stereotype differences based on sex, sex-role, and culture were also examined. With a 7-pont scale, college students rated the 100 occupa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persons in these occupations contained masculine or feminine traits. Overall, the most masculine occupation was military soldier and the most femine occupation was nurse. Women had higher scores than men. This suggests that women perceived masculine occupations as having less masculine traits and feminine occupations as having more feminine traits. Stereotype differences were also found within a sex-role type category. Feminine-typed students perceived masculine occupations as having more masculine traits and feminine occupations as having less feminine traits. Finally, Korean college students had stronger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than Americal college students. Especially,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d traditional masculine occupations as having more masculine traits. The plausible reasons of the above results were discussed. The problems with this study and a number of ways to reduce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were also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