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이순묵(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27
초록보기
초록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경험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논문을 작성할 때 그 절차와 결과에 대해 적정한 정도로 논문에 명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필요는 논문의 심사자와 논문의 독자를 위한 것이다. 어떤 논문이 공인된 학술지에 실리기 위해서는 소수의 심사위원들이 평가를 하여 그 논문에서의 연구절차, 결과 및 논의가 과연 그 학술지의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바람직한 수준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심사위원들에게 그러한 평가를 허용할 수 있는 정도의 정보가 논문에서 본문에 또는 부록에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술지에 제시된 논문을 통해서 학문사회에서 지식이 누적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도의 정보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이 응용될 경우 현재 심리학계의 학술지에서 얼마나 그런 내용들이 충실히 보고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개선점을 논의하기로 한다.

Abstract

It is necessary and required for an author to provide information for reade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his/her paper submitted to a journal for publication. In this article, factor analysis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of Psychology are reviewed to examine if proper information has been provided. It is uncovered that authors using factor analysis do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for the reviewers and the readers of their research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review practice should be tightened more than now in order for the articles to communicate and accumulate academic findings.

기업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용어들의 요인구조 탐색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29-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사람이나 대상을 기술할 때 흔히 사용되는 특성용어들 중에서 기업의 이미지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특성용어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성용어들에 내재되어 있는 요인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926명의 대학생들이 기업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770개의 특성용어들 각각이 얼마나 적절한지를 평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총 755명의 대학생들이 연구 1에서 기업이미지를 나타내기에 적절하다고 평정된 332개의 특성용어들이 얼마나 좋거나 또는 나쁜 이미지를 나타내는지를 평정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에서 기업이미지를 나타내기에 적절하다고 밝혀진 332개의 특성용어들 중에서 적절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157개의 특성용어들을 사용하여 총 764명의 대학생들이 5대 그룹(현대, 대우, 삼성, 럭키금성, 선경)의 이미지를 평정하였다. 이 자료를 요인분석하여 기업이미지를 나타내는 다섯 가지 요인을 발견하였다. 다섯 가지 요인들은 知性(31%), 生動性(27%), 非人間性(20%), 野性(12%), 堅實性(10%) 요인이었다. 이러한 요인에 기초하여 부수적으로 5대 그룹들 간의 이미지를 중다비교하였고, 다섯개 요인을 동시에 고려할 때 그룹이미지의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비교 결과, 삼성이 다섯개 차원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좋은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 반면 대우와 럭키금성은 다섯개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현대는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비인간적으로 평가되었다. 군집분석을 한 결과, 대우와 럭키금성의 이미지와 삼성과 선경의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과제와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ppropriate trait adjectives describing corporate image and identify the latent factor structure represented in those trait adjectives. For this purpose,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total 926 college students rated each of 770 trait adjectives on appropriateness in describing corporate image. Among 770 trait adjectives, 332 trait adjectives were judged as appropriate in representing the corporate image. In study 2, total 755 college students rated each of 332 trait adjectives on favorableness in describing corporate image. In study 3, total 764 college students rated image of Korean five largest corporations(Hyundai, Daewoo, Samsung, Lucky-Goldstar, Sunkyong) using 157 trait adjectives. Ratings were analyzed by common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ive latent dimensions in represented in those trait adjectives: Intellect(31%), Vitality(27%), Dehumanization(20%), Propulsion(12%), and Stability(10%). Based on these five dimensions, the five largest corporations were compared each other. Results from multiple comparison indicated that Samsung had generally good image in all of the five dimensions. The images of Daewoo and Lucky-Goldstar were relatively less favorable than those of other three companies.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e image of Daewoo and Lucky-Goldstar and the image of Samsung and Sunkyong were similar each other. Last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additional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조직 동일시 모형: 선행 변인, 결과 변인과의 관계
김원형(대한주택공사 연구소) pp.55-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체성이론의 조직 동일시 정의인 개인과 조직과의 공동 운명체 지각으로 조직 동일시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내렸다. 조직 몰입과 조직 내재화와 변별이 되는 구성 개념으로서 조직 동일시를 설명해주는 선행 변인 및 조직 동일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 변인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개괄하였다. 조직 동일시와 이들 변인들간의 인과 관계성에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모형찾기 연구와 경쟁모형들간의 부합도 검증 연구, 교차 타당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들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동일시의 선행 변인으로서는 배려적 리더십 변인, 부서의 중요성 변인, 조직의 특성 변인, 직무 특성 변인 및 개인의 조직 사회화 경험이 조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조직 동일시는 조직 몰입과 조직 내재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기존 연구들에서 매개변인으로 보다 많이 간주되었던 조직 몰입은 결과 변인으로 보아야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심리적 변인인 조직 동일시가 한 개인이 조직에 애착을 갖게 하는 출처로서 조직 행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선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과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받는 조직 내재화, 조직 몰입을 포괄한 통합 모형을 찾고 이 모형을 교차 타당도 연구로 다시 모형 검증을 했지만 보다 조직 동일시 모형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얻고 일반화를 이루기 위해선 장차 여러조직에 대한 검증 연구들과 종단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겠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conceptual discrimin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rom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nternaliz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perceptions of common fat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as suggeste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Responses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antece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nternalization were collected from 513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and analyz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analysis. All items in questionnaire consisted of 7-point Likert-type scales. To identify the antecedent variables and consequen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were performed two stages. A model search was first conduct 431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and the finally identified model was confirmed in a cross-validation study with 270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Major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follows. First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1) considerate leadership measured by leader-member relation, leader's comprehension of subordinate's task, leader's consideration of subordinate's career development, 2) significance of working department, 3) individual'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experience measured by met expectation, favorable attitudes of peer group, 4)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measured by organizational prestige, organizational distinctiveness, inter-organizational competition, 5) job characteristics measured by job satisfaction, and job significance. Seco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irectly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국형 인지욕구척도 개발연구
김완석(아주대학교 심리학과) pp.87-1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인지욕구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한 우리말 도구를 개발하고자 했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풀(item pool)을 구성하고 문항분석을 해서 34문항으로 줄였다. 34문항을 대상으로 한 연구1에서는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25문항으로 줄였다. 연구2에서는 25문항을 이용해서 연구1의 결과를 재검증하고 또한 사회선희도(社會選希度)척도, 좋은 인상 척도를 함께 실시해서 척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는 연구를 거듭하면서 문항 수를 줄였음에도 더 나아져서 25문항의 경우 .93으로 매우 높았고, 요인구조도 연구1과 마찬가지로 단일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선희도나 좋은인상척도와는 .28과 .23의 유의미한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크기는 그리 크지 않았다. 또한 평균학력이 다른 두 집단 간의 인지욕구차이도 학력이 높은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연구1과 연구2 모두에서 인지욕구의 성차(性差)가 있어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3에서는 소비관련 행동에 대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인지욕구가 높을수록 상품선택 이전의 정보탐색이 더 많고 상표선택에 걸리는 시간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속성의 양이나 중시하는 속성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신뢰도나 타당도 측면에서 받아들일만한 결과로 보았고, 연구결과와 후속연구의 필요성, 본 연구의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Need for Cognition Scale. In a pilot study, 57 items were prepared as an item pool. Item generation procedure was not based on translation of Need for Cognition Scale items(Cacioppo & Petty, 1984) but based only on the original concept of Need for Cognition. 25 items were retained after the two studies(pilot and study 1) had been finished. Those criteria for item selection were item-total correlation, mean difference of high-low groups(classified by total score), and internal consistency. The sample of the pilot study was consisted of 273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For study 1, 72 adults and 25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were tested. 34 items which survived the pilot study were factor analysed and yield one major factor. In study 2, the remaining 25 items scale was administered to 556 respondents(180 adults and 376 university students)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btained in study 1, to examin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adults and between sex(male and femal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scale tapped a construct distinct from social desirability and good impression. The factor structure was replicated in study 2, significant tests were revealed that the mean of students'(male') was more higher than adults'(females'). Where as, the scale score was weakly but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good impression score. Study 3 was prepared to examine whether the scale taken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Cognition, and a questionnaire which asked some aspects of consumption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need for cognition was related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to the time consumption of choice decision.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ypes of information which had more weighted in choice were different by the level of need for cognition. Results form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the scale had an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상사-부하의 교환관계가 상호간의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이재창(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03-12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리더십의 교환 이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상사-부하의 의존성, 상사의 피드백,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부하의 상사에 대한 호감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상사-부하의 의존성, 부하의 성과가 상사의 부하에 대한 호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1, 2가 실시되었는데, 실험 1에서는 상사와 부하의 평가를 구분하여, 부하의 경우는 상사로부터의 피드백과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기술문(description)의 형태로 조작하여 상호의존성(2) × 상사의 피드백(2) × 상사의 리더십 유형(2) 요인설계를, 상사의 경우에는 상호의존성(2) × 부하의 성과(2) 요인설계를 하였다. 그러고 실험 2에서는 상사로부터의 피드백과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보다 생생하게 조작하기 위해 녹음(recording) 방법을 이용했으며, 실험설계는 실험 1과 동일한 요인설계였다. 실험 1, 2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하의 상사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 상사의 피드백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의존성과 상사의 피드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부하의 상사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 상사의 피드백과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서, 부하들은 상사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권위적이든 민주적이든 상사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리더십 분야에서 교환 이론적 관점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한편 상사의 부하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서는 부하의 성과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의존성과 부하의 성과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uperior-subordinate's interdependency,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s feedback and superior's leadership styles on subordinate's liking of his superior.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uperior-subordinate's interdependency and the levels of subordinate's performance on superior's liking of his subordinat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laboratory setting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s feedback and his leadership styles were differently manipulated in each experiment, that is, by the written message in the first experiment(study 1) and by the sound message in the second experiment(study 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ordinate who received positive feedback from his superior evaluated him more favorable than one who received negative feedback. Second, superior-subordinate's interdependency by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s feedback interaction showed that the subordinate who can control benefit of his superior evaluated him more favorable in the positive and less favorable in the negative feedback condition than the subordinate who can't control benefit of his superio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s feedback and his leadership styles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subordinate's liking for him. Fourth, the superior evaluated his subordinate more favorable when his subordinate achieved high level of performance than low level of performance. In addition, superior-subordinate's interdependency by the levels of subordinate's perfomance interaction showed that the superior who can control benefit of his subordinate evaluated him more favorable in the high level of performance and less favorable in the low level of performance than the superior who can't control benefit of his subordinat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exchange theory of leadership.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