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특질 성실성과 개인수행 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이윤주(성균관대학교) ; 박형인(성균관대학교) pp.1-27 https://doi.org/10.24230/kjiop.v35i1.1-27
초록보기
초록

메타특질(metatrait) 가설(Baumeister & Tice, 1988)에 따르면, 개인 성격의 수준은 시간이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 성격은 특질 성격과 개인의 수행 간 관계를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하여 특질 성실성과 개인수행 간 관계에서 시간에 따른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큰 개인에게서보다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작아 성실성을 더 안정적으로 나타내는 개인에게서 특질 성실성과 개인수행 간 관계가 더 강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온라인 패널 회사를 통해 모집한 전일제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흘 간 매일 상태 성격을 측정하는 경험표집법을 바탕으로 상태 성격의 변산성을 계산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에서는 상태 성실성의 조절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특질 성실성과 과업수행 간 정적 관계 및 특질 성실성과 반생산적일행동 간 부적 관계를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조절하였다. 특히, 상태 성실성의 변산성이 작을수록 기존 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업이 상태 성실성에 초점을 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조직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내포한다.

Abstract

The concept of metatraits (Baumeister & Tice, 1988) reflects that state personality, the levels of personality that vary based on time or role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moderating effects of state conscientiousness variabi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conscientiousness and individual performance indicators; task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s),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CWBs). It was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conscientiousness and performance would be stronger in case of small variability than in case of large variability, as small variability would imply stable expression of conscientiousness. An experience sampling method was applied to 300 full-time employees recruited through an online panel survey company. Variability of state personality was measured by the standard deviation of state personality measured for three day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revealed that state conscientiousness variability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conscientiousness and OCBs. However, i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trait conscientiousness with task performance and CWBs, such that the relationships were stronger when the variability was small rather than when large. Th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can intervene to the performance of their employees by providing training programs focused on state conscientiousness.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에 대한 지식제공자의 인식이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은폐 동기의 매개효과와 상사 모니터링의 조절효과
고윤진(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pp.29-63 https://doi.org/10.24230/kjiop.v35i1.29-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에 대한 지식제공자의 인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동기(사적소유, 손실회피, 부정평가 염려, 부정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상사 모니터링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서 근무하는 4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에 대한 지식제공자의 인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동기 중 사적소유 동기, 손실회피 동기, 부정평가 염려 동기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지식은폐 동기 중 부정적 관계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상사 모니터링은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과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행동 간 관계에서 지식제공자의 사적소유 동기와 손실회피 동기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식제공자가 인식하는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동기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식은폐 행동을 더 하도록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을 요청하는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동기를 통해 지식은폐 행동을 높이는 과정을 상사 모니터링이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모니터링 수준이 높을수록 지식요청 동료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은폐 동기(사적소유, 손실회피)를 통해 지식은폐 행동을 높이는 영향을 완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s(personal ownership, fear of loss, concern for negative evaluation, and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request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knowledge hiding.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upervisor monitor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00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knowledge hiding motivations(personal ownership, fear of loss, and concern for negative evaluat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knowledge request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knowledge hiding. But, negative relation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supervisor monitoring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s(personal ownership, fear of loss motivation) between the knowledge requester’s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knowledge hiding. But, concern for negative evaluation motivation and negative relation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upervisor monitoring.

다차원 일중독 척도(Multidimensional Workaholism Scale, MWS) 타당화 연구
남기은(충남대학교) ; 이선희(충남대학교) pp.65-87 https://doi.org/10.24230/kjiop.v35i1.65-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미국 표본을 이용하여 개발된 ‘다차원 일중독 척도(Multidimensional Workaholism Scale, MWS)’가 한국 직장인들의 일중독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간 신뢰도, 측정 동일성, 변별타당도, 준거 타당도의 증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MWS 척도는 한국 표본에서도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도도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한국 직장인 표본(N=358)에서 양호한 문항 간 신뢰도를 나타냈다. 둘째, MWS는 한국 표본에서도 미국 표본(N=407)과 동일하게 행동, 인지, 동기, 정서 4개의 하위차원을 측정하고, 하위차원별 문항과 요인계수도 두 집단 간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일중독과 직무열의 간의 변별타당도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넷째, 한국 표본 중 2차 조사에 참여한 228명의 자료에 대한 단순 상관분석 결과, 일중독은 정서적 소진, 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 및 근무시간과 기대하는 관계를 보였다. 단순 상관에서 기대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직무만족, 삶 만족, 신체증상도 직무열의를 통제했을 때 일중독과 기대한 관계를 보였다. 이는 MWS의 준거타당도 증거를 제시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일중독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al Workaholism Scale (MWS) among Korean employees. Evidence in terms of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measurement invariance tests,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support that the MWS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workaholism for Korean employees. First, the MW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among full-time Korean employees (N = 358). Second, measurement invariance analyses showed that a four-factor model (behavior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emotional) also holds in the Korean sample, and factor loadings were equivalent between the Korean and the U.S. (N = 407) samples. Third, correlation analysis and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provide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between the MWS and work engagement. Finally, a portion of the Korean sample (N= 228) provided data for criterion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MWS revealed the expected relationships with emotional exhaustion, work interfering with family, family interfering with work, and work hours. For th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symptoms, the expected relationships with the MWS appear when work engagement was controlled for. Overall,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WS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workaholism for Korean employe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