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광고에서 주의의 역할
곽원섭(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교) pp.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광고와 같은 설득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광고 자극에 대한 주의의 영향과 그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 주의 양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결과 주의 양에 따른 인지반응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속성의 중요도 판단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보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광고에 대한 주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그로 인한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고 자극중 그림이 상품 속성과 관련된 정도, 광고 메시지의 진술형태, 그리고 반복수준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고 개인의 인지 욕구와 지식 정도를 공변인으로 포함시켰다. 그 결과 반복수준이 주의 양의 주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인지반응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속성관련 인지반응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실험 1의 실험맥락을 기초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at the amount of attention drawn to an advertisement mediates the effect of advertising. The first experiment manipulated the amount of attention to an advertisement and found this have an impact on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 The second experiment manipulated the relevance of the ad`s picture, the type of statement,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ad, and found that repetitions of the ad attracted more attention, but the attention was not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attribute.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 변인들간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김원형(성균관대학교) pp.1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 제시한 조직 동일시 정의인 개인과 조직과의 공동 운명체 지각으로 조직 동일시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린 다음 이러한 조직 동일시 정의하에서 조직 동일시가 조직 몰입과 조직 내재화와는 어느 정도의 구별이 되는 개념인지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조직 내재화에 대한 문항 분석을 위해 7점 Likert형 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대기업 사무직 사원 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의 결과는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 개념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는 연구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대기업 사무직 사원 701명을 대상으로한 확인적 요인 분석의 결과도 또한 탐색적 요인 분석의 결과를 지지해주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는 상관은 있지만 서로 다른 개념임이 밝혀졌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conceptual discrimin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rom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nternaliz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perceptions of common fat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as suggeste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Responses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nternalization were collected from 513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and analyz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l items in questionnaire consisted of 7-point Likert-type scales. Results supported three factor solutions as propose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three factor structure from 701 white-collar workers of the Korean large corporations. Thu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identified as a distinct concept from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nternalization.

조직 혁신의 전개와 관리 : 거시적 한계와 미시적 여지
박광량(홍익대학교 경영학과) pp.36-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 제시한 조직 동일시 정의인 개인과 조직과의 공동 운명체 지각으로 조직 동일시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린 다음 이러한 조직 동일시 정의하에서 조직 동일시가 조직 몰입과 조직 내재화와는 어느 정도의 구별이 되는 개념인지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에 대한 문항 분석을 위해 7점 Likert형 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대기업 사무직 사원 5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방법을 이용한 연구의 결과는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 개념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는 연구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대기업 사무직 사원 701명을 대상으로한 확인적 요인 분석의 결과도 또한 탐색적 요인 분석의 결과를 지지해주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조직 동일시, 조직 몰입, 조직 내재화는 상관은 있지만 서로 다른 개념임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organizational change and its strategic management. Reviewing theoretical views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 presented a framework to intergrate macro process and micro pro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Then, the detailed process of planned change is discussed in its temporal order. While presenting strategic issues of change management, the author argued that GOMUD strategy is a viable alternative of change management. He also argued that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an ideal model of organizational change in Korea.

종업원의 분배원칙 선호와 직무만족
박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55-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성별과 개인의 투입량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따른 종업원들의 분배원칙 선호의 차이를 실제 조직장면에서 파악하고, 형평지각과 전직의사간의 관계를 직무만족이 매개한다는 직무만족의 매개변인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가지의 투입항목과 성과항목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이것들이 각기 어느 범주에 속하는 투입과 성과인지를 측정적으로 정의하고 각 범주별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였다. 국내의 산업조직에서 근무하는 59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한 결과, 분배원칙의 선호에서 본봉의 경우에는 균등분배를 가장 선호하였고, 수당의 경우에는 형평분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보너스는 절충분배를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보너스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형평분배를 더 선호하였고 여성은 남성보다 균등분배를 더 선호하였으며, 투입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투입이 높은 사람이 형평분배를 더 선호하였다. 형평지각과 직무만족 및 전직의사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경로분석 결과, 직무만족의 매개변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을 보장하기가 어려워서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긴 하지만, 이제까지 문제가 되어왔던 투입과 성과요인의 중요도를 고려함으로써 형평이론이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dividual preference of allocation principle and the relationship among equity percep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se purpose, a wide variety of measures of inputs and outcomes were listed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spective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 field setting.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591 company workers. Workers preferred an equality allocation the most in a case of regular salary, an equity allocation the most in a case of allowance, and a compromise allocation the most in a case of bonus. For bonus, male workers preferred the equity allocation while female workers preferred the equality allcation. Workers with high inputs preferred the equity alloca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quity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Although this research had a limitation of generalizability, it provided the basis of applicability of equity theory in field settings by conside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variety of input and outcome measures.

실증적 연구에서 관련강도의 보고 필요성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Kathy A. Hanisch(Department of Psychology Iowa State University) pp.92-107
초록보기
초록

실증적 연구논문에서 중요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통계적 유의도(p값)를 오랜동안 사용해왔다. 본 논문은 연구결과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통계적 유의도와 더불어 관련강도가 사용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산업 및 조직심리학 분야의 세 학술지(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Personnel Psycholog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에 발표된 논문들 중, 변량분석을 사용한 21개 연구결과들을 관련강도의 보고여부와 저자들의 결과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1개 논문들 중에서 11개의 논문들은 여전히 통계적 유의도에 의해서만 결과를 해석하고 관련강도는 제시하지 않았다. 통계적 유의도와 관련강도를 함께 제시한 나머지 10개 논문들에서도 통계적 유의도와 관련강도에 관한 적절한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연구의 결과보고에서 통계적 유의도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통계적 유의도에 관한 잘못된 해석을 논의하고, 결과로부터 얻어진 관련강도가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지니게 되는 실제적 중요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The p value as an index of "important", "meaningful", and "scientific" results has long been used in empirical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reporting measures of association strength in addition to statistical significance(p value)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tudy results. Different measures of association strength and their relations to each other were presented using a hypothetical example. The twenty-one articles using ANOVA in three refereed journals(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Personne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published in 1988 and 1989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number of articles reporting measures of association strength in addition t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se articles, the fashion of reporting and interpreting results was also examined. It was found that eleven articles among them did not report the measures of association strength and still interpreted the results by only the p value. Continued heavy reliance on the p value, the misinterpretation of the p value, the need of reporting the measures of association strength in the future studies, and the need of considering practical importance of study result were discussed.

환경변화지각에 있어서의 개인차 및 친숙도 효과
장재윤(삼성전자 인재개발연구소) pp.108-128
초록보기
초록

기업환경이 불확실하고 복잡해질수록 환경변화에 대한 조직의 적응이 기업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조직구성원이 환경변화를 어떻게 지각하는가는 이후의 조직행동을 결정하기에 매우 중요하다. 90명의 기업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환경변화를 시나리오형태로 제시하여 조직구성원들의 환경변화(기회 및 위협)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변인(통제위치, 모호성에 대한 인내력, 경력특성 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나타난 위협편파(threat bias)에 대한 친숙도변인의 효과를 조사하였고, 위협상황에서의 리더에 대한 의존 현상의 검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인차변인들이 환경변화 지각에서의 유의미한 변산을 설명하였다. 특히 위협편파(threat bias)현상의 제약조건으로서의 친숙도 변인의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협상황에서의 리더의존현상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관련된 이론적 및 경험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Abstract

Understanding how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the information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change is important to the understanding the major issue in the study of organizational behavior. However, not much studies were done about what sort of variables are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his study of 90 organizational members of a profit organization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locus of control, tolerance of ambiguity career background, etc) and familiarity of the situ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By the method of simulation using the scenarioes representing environmental change, findings indicated that locus of control and tolerance of ambigu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that the career background was also related to the perception. Additional results indicated that familiarity could be the boundary condition in the threat bias phenomenon which was found in the Dutton & Jackson(1988)'s study.

경력 개발 지향적 조직으로의 변화
탁진국(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pp.129-142
초록보기
초록

현대의 급변하는 환경에 조직이 잘 적용해 나가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 중의 하나로 종업원의 경력 개발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경력 개발의 정의와 역사를 살펴보고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경력 개발 프로그램을 실제 사례와 함께 소개하였다. 또한 한국 기업에서 경력 개발의 필요성과 이의 실행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Career development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to consider that organization needs to adjust to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review the definition of career development and its history and introduce various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used within organizations. The necessity of career development in Korean organizations and various considerations in implementing it were also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