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소비자 만족 /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이 요인이론의 검증과 확장
성영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완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요인에 대한 Swan과 Comb(1976), Maddox(1981)의 연구결과를 이들의 분석방법 외에도 Herzberg 등(1957)의 방법을 통해 재검증하고 또한 대상을 써비스에까지 확장하여 이론의 일반화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8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품 및 써비스에 대한 만족/불만족 경험을 중대사건기법을 이용해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떤 요인은 만족과만 특별히 관계가 있으나 다른 요인은 만족/불만족 모두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wan과 Comb(1976), Maddox(1981)의 이 요인이론 즉, 소비자의 만족/불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이 서로 다르다는 주장이 부분적으로만 지적되는 것이다. 이런 결과를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고려해서,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은 만족/불만족에 모두 작용하며 기타 부수적 요인들은 불만족에는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replicate and to investigat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two-factor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suggested by Swan and Comb(1976) and Maddox(1981). For these purposes, the critical accident method of Herzberg(1957) was used and the objects were extended by adopting a service(restaurant) besides products(shose and clothing). Th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the 287 students with the critical acciden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some factors had strong relation to satisfaction, but other factors had relation to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e hypothsis that the different factors determine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as partly supported. We interpreted these results as "the physical/primary factors affecting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ut the psychological/secondary factors having no direct effects on dissatisfaction".

1990년대를 대비한 중소기업 조직개발에 관한 연구
박재호(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13-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사원 및 관리자(경영자 포함)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영관리자 상"(MEM)과 "가장 비효율적인 경영관리자 상"(LEM)에 대한 지각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SYMLOG장다이아그램과 막대그레프를 활용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조직개발을 위한 행동프로그램(action program)에 활용될 기준을 설정하였다. MEM/LEM에 대한 지각차이를 SYMLOG 3차원(지배성차원, 친절성차원, 과업지향성차원)별로 기업특성(우수기업 대 비우수 기업)및 계층(관리자 대 사원)에 따른 요인설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MEM/LEM을 평정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사원 및 관리자 3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SYMLOG 3차원별 지각차이는 다음과 같다. MEM에 대한 지각은 지배성차원과 과업지향성차원에서 기업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친절성차원에서는 계층간의 나타났다. LEM에 대한 지각은 지배성차원에서는 기업특성과 계층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친절성차원에서는 기업특성에서, 그리고 과업지향성차원에서는 계층간의 차이가 각각 나타났다. MEM/LEM에 대한 SYMLOC 3차원별 분석과 아울러 SYMLOG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직개발을 위한 각 변인별 MEM/LEM의 기준을 밝혀냈으며, 이것은 해당 집단구성원이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수정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ual difference on images of managers in the medium size enterprises and was intended to suggest the norms of action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for the purpose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To adjust the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change, organizations should try to accomplish organizational development. Bales(1979) developed a new theory and methodology 'SYMLOG'(A System for the Multiple Level Observation of Groups), which could be applied for the purpose of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OD. 356 subjects selected from managers and employees in the medium size enterprises in Taegu and Kyongbuk areas rated MEM/LEM image on SYMLOG General Behavior Rating Forms. The present study employed 2(organizational traits : high performance vs. low performance) × 2(position : manager vs. employee)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YMLOG Field Diagram and Bargrap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perceptions of MEM image, U-D and F-B dimens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traits(high performance vs. low performance). P-N dimens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 of position(manager vs. employee). 2. The interaction effect(organizational traits × position) was found significantly in the U-D dimension. P-N dimen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traits. F-B dimens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Besides SYMLOG 3 dimensional analysis by field diagram, SYMLOG Bargraph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study EME/LEM norms. The norms of MEM/LEM were discussed as criteria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Job Satisfaction in Korea : Equivalence of a Translation
Jin Kook Tak(Kansas State University) ; Ronald G. Downey(Kansas State University) pp.44-5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job satisfaction and its correlates for a sample of 417 Korean workers. A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JDI (R-JDI), eleven demographic and 2 job variables were developed and put into a questionnaire form.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JDI scales appeared to generalize, in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to the korean sample. Also, job satisfaction was related to workers statements concerning their intentions to stay on the job but not related to performance(self-r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jod satisfaction and a variety of background variables and these were consistent with findings for American workers.

직무만족의 측정과 관련변인들의 영향
金俊坤(효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55-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무 만족의 측정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직무만족 척도와 가치관 및 직무관련 태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국내 대규모 섬유회사인 "T"회사 안양공장 사원 4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30문항 구성된 직무만족 척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리더쉽 및 회사 정책, 임금, 및 승진의 보상요인, 복지제도, 동료 등의요인으로 밝혀져 기존 연구들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전체적 만족과 단면별 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r=.19에서 r=.38까지 적절한 수준의 상관을 보였다. 3) 일반적인 가치항목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근무부서, 직위, 직무경험, 성별, 연령, 학력등의 인구학적 변인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은 대체로 기존연구들의 경향과 부합되는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For the purpose of the empirical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its demographic variable's effects, it was surveyed for the job satisfaction scales and value orientation scales. The subjects were 429 employeed in a large scale textile production company. The major findings are follows. 1)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e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are leadership, company policies, salaries, promotion, working condition, benefits, and co-workers. These results are similiar with established researche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adopt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s moderate. 2) The facet or factor satisfaction correlations with overall satisfaction are relevant coefficients(from r=.19 to r=.38). 3) The general valu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4) The demographic variables effects of the job satisfaction have similiar tendency with the established researches.

중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소비자 선택 이유의 독특성에 관한 연구
곽원섭(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79-9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상품선택에 있어서 그 이유의 독특성에 대한 지각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즉 특정 상품내의 많은 상표들간의 차이를 알고자 했던 기존의 미시적인 관점을 지양하고 소비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상품들에 대한 선택 이유를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탐색코져 하였다. 이를 위해서 소비현상이란 소비자가 한 인간으로서 지니고 있는 욕망(欲望, wants)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임을 가정하고 욕망충족을 위해서 여러가지 대안들 가운데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게 되는 심리적인 이유의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들을 근거로 해서 그 유형들이 소비자의 선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평가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중다차원척도법(MDS)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여 45가지의 상품유형에 대한 선택 이유의 독특성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화시켜 보았으며 아울러 각 이유에 대한 회귀(vectors)를 구해봄으로써 상품들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을 비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 의사결정이나 구매이유에 대한 분류화 혹은 개념화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광고전략이나 마케팅전략을 위한 기초로 삼을 수 있는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ived saliences of reasons underlying consumer's product selections by adopting a macro level(i, e., product)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micro level(i, e., brand) as the units of analysis. In pursuing this issue, this study argued that consumption phenomena might be sought in the types of wants that consumers attempt to satisfy and related reasons for selecting one product version over mother, then developed a typology of want-based reasons and assessed the role of the wants and reaons for purchas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53 Korean housewives on 45 product categories. The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s to these data reflected the wants typology by distinguishing meaningfully among products bought for various reasons, as indicated by the position of the relevant reason vector.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basis for meaningful conceptualisation or classification of buying reasons as well 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분배자, 계산의 복잡성 및 분배자의 투입양이 보상 분배에 미치는 영향
박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91-1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여도가 많은 사람에게 더 분배한다는 형평이론의 가설을 검증하고 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배자의 유형, 계산의 복잡성, 성, 분배자의 투입양을 조작하여 이것들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역할수행법으로 실시된 실험 결과를 보면, 형평이론의 기본 명제가 지지되었으나, 감독자는 형평원칙을 더 선호하고 공동수형자는 균등원칙을 더 선호하였다. 계산의 복잡성에 따른 효과는 분명치가 않아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또한 분배자의 투입양에 따른 남여 차이도 가설과는 달리 나타났다. 즉, 남성은 자신의 투입이 높을 때에 균등원칙을 선호하고 낮을 때에는 형평원칙을 선호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실제 상황이 아닌 모의 상황이어서 인상관리를 위해서 상대방에게 후에게 분배하였다고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I tested the hypothesis of equity theory that variations in individual contributions led to an equitable allocation of reward, and examined the effects of allocator, computational complexity, sex, and allocator's inputs on reward allocation. The results provided strong support for the equity hypothesis. As predicted by hypothesis 1, those who contributed more received more money than those who contributed less. And consistent with hypothesis 2, supervisors preferred the equity principle and corecipients preferred the equity principle. Effects of computational complexity were not obvious and sex differences according to allocator's inputs were opposed to hypothe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further researches were recommended.

광고의 판단차원에 관한 연구 (Ⅰ)
김완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최광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7-1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의미판단의 차원을 밝혀내고, 이 과정을 통해 소비자연구의 중요변인인 광고에 대한 태도, 반응프로파일 등의 측정에 이용될 수 있는 우리말 형용사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이다. 이를 위해 801개의 우리말 형용사를 수집하여 먼저 광고평가에 대한 적합도평정을 거쳐 189개의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해서 10종의 티브이광고와 10종의 인쇄광고를 평정하게 하고 그 결과를 요인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징적인 결과는 1) 광고에 대한 평가가 호-오라는 양극적 판단을 넘어서 이중 부정적 측면이 분화되어 또다른 부정적 요인을 형성하며 이는 외국의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2) 다른 외국연구들에서 보고되는 차원들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차원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비교적 일관성있게 보고되는 '개인적 관련'차원이 본연구에서는 독립적 차원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3) 다른 연구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차원이 나타나기도 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가 후속연구들을 꼭 필요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만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연구에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 part of a series of studies which explore the dimensions of semantic judgement of consumer on advertising and make a korean adjective scale which can be used for measuring the attitude and response profiles about advertising. 801 korean adjectives were collected and 189 words survived as a result of relevancy evaluation. 10 TV-CFs and 10 print ads were rated with the 189 adjectives. The data were dealt with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negative side of 'evaluation' factor was differentiated and formed an independant negative factor. 2) The factors identified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some foreign studies, but the 'personal relevancy' factor, which was reported consistently, wasn't identified in this study. 3) A unique factor that wasn't reported by other foreign studies was discovered. Because of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we didn't make any conclusion based on our results.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송대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이종목(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한기(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123-1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상관적 관계를 밝혀 보는데 목적이 있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정의는 크게 두 가지 상반되는 가정에서 이해되고 있다. 하나의 개념은 직무 스트레스는 본질상 혐오적인 것이어서 각종 직무행동 특히 직무만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지금까지의 전통적 개념이다. 그리고 또 다른 개념은 직무 스트레스는 부정적 측면 이외에도 긍정적 기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동기적 배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무만족과 정적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보다 최근의 가정이다. 전통적 개념은 어떠한 직무 스트레스도 제거되어야 직무만족을 느낄 수 있다는 개념으로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그만큼 낮아진다는 가정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 관심을 갖는 새로운 개념은 직무만족과 정적상관을 맺는 직무 스트레스원이 존재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비록 직무만족과 부적상관을 갖는다 하더라도 어느 수준까지는 직무만족과 부적 상관을 갖을 수 있다는 가정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개의 상반된 개념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무직 근로자 280명과 생산직 근로자 319명 등 모두 599명을 표본으로 하여 직무만족척도와 직무 스트레스 척도를 적용하였다. 직무만족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는 기존의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모두 8개 직무만족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 스트레스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는 연구자들이 개발하였는데 사무직 근로자용은 5개 차원으로 모두 1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산직 근로자용은 5개 차원으로 모두 13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전통적 개념이 가정하는 내용과 일치하였다. 1. 직무 스트레스원은 직무만족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다. 2. 직무 스트레스원은 직무만족과 의의있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다. 3. 직무만족과 정적 상관을 갖는 직무 스트레스원은 전혀 없었다. 4. 직무 스트레스원과 직무만족과는 점진적 부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직무 스트레스가 어떠한 수준에 있더라도 직무만족과는 의의있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다.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as been puzzling the field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Two opposing viewpoints exist about the concept of job stress. A traditional view regards job stress exerting negative effects on almost every aspcet of job, especiall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view, the more job stress, the less job satisfaction and vice versa. A more recent view considers job stress not necessarily negative. According to this, certain amount of job stress can motivate workers to perform better and, as a consequence, may provide greater satisfaction. That is, a job stressor may be a positive stresstr to certain extent and may turn into a negative stressor beyond that extent.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surveyed 599 workers consisting of 280 white collars and 319 bole collars with two measures. The measure of job satisfaction, previously developed by Kim, Joon-Gon, is composed of eight subdimensions. A measure of job stressors was developed by our team for each class workers; the measure for blue collars has 13 subdimensions and the one for white collars has 15 subdimensions. Examinations of the correlational nature between the two constructs reveal firm support far the traditional viewpoint. The major findings are; 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satisfaction is direct and negative. 2, No job stressors exer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3, Regardless of its level, job stressors alway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