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불확실성 속의 소비자 판단에 있어서 맥락단서에 따른 효과
곽원섭(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확실성속의 판단에 있어서 정보사용의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기저율정보의 무시라고 하는 현상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판단과 관련된 정보로서의 중요성 지각에 의한 결과임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아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맥락단서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I에서는 그러한 지각을 유발시키는 한 요인으로서 각 정보내에 내재된 피상적인 단서값의 정도에 따라 판단이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 II에서는 정보의 판단과의 관련성 지각가설을 보다 타당화시키기 의해서 특히 사례정보내의 정보출처에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같은 조건의 사례정보라도 출처의 신빙성에 따라 판단결과가 달랐다. 이러한 결과들은 판단에 있어서 기저율정보의 무시현상에 대한 기존의 인구들과는 일치되지 않는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contextual effect on consumers' cue-utilization policies in making judgments under uncertainty. Study I suggested that the utilization of base and case information varies as a function of numerical values of the cues. And study II experimentally manipulated the source of case information which influence perceived relevance with judgment and explored its effects on cue utilization. Two studies revealed evidence in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on under-utilization of base-rate information.

노조가치관 및 직무만족이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기석(고려대학교) ; 성영신(고려대학교) ; 김철민(고려대학교) pp.14-43
초록보기
초록

한국 노사관계의 심리학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노조 몰입도의 예언 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무직 근로자 237명과 생산직 근로자 146명에게 노조에 대한 가치관, 직무 만족도 및 노조몰입도를 측정한 결과, 근로자들은 한국의 산업 민주화 수준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소속회사 노조의 힘이 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또한 직무 만족도 수준이 낮을 수록 노조 활동에 더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들이 노ㆍ사간의 갈등에 대해 어떠한 가치관을 갖고 있느냐가 노조 몰입 수준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데, 노ㆍ사관계에 대해 급진적 성향을 가진 근로자들이 합일론적 혹은 다원론적 성향의 근로자보다 훨씬 더 노조에 몰입하고 있음을 보였다. 한편, 직종에 따라 노조 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변인의 하위 차원은 서로 달라, 생산직 근로자의 경우 급여 및 동료에 대한 만족 변인의 예언력이 컸으며 사무직의 경우에는 업무의 양과 질에 관련된 만족 변인이 중요하였다. 근로자의 연령, 학력, 경제수준 및 직무 유동성에 따른 노조 몰입도의 차이는 없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union commitment in order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industrial relations in Korea Values on union, job satisfaction, and union commitment were measured from 237 white collar workers and 146 blue collar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the workers thought of the level of industrial democracy in Korea, the stronger they perceived of the power of the individual union, and the lower their job satisfaction, the more they were committed to union activities. Furthermore, as the degree of commitment gets very much influenced by the values the workers have on industrial conflicts, it appears that workers with radical views on industrial relations are much more committed to unions than those with a unitarist or pluralist view. On the other hand, the sub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variable that affect the degree of union commitment vary depending on the types of job. In the case of blue collar workers, satisfactions with pay and coworkers had high predictive values and in white collar workers, satisfactions wi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were import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ion commitment depending on the workers' age, education, financial status, nor job mobility.

광고의 반응차원에 관한 연구 (Ⅱ) : 인지적 평가와 감정반응
김완석(고려대학교) pp.44-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김완석과 최광현(1988)에 이어 텔레비젼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판단과 감정반응의 차원구조를 밝히고 이들 반응차원들이 광고와 상표에 대한 전체적 평가에서 하는 역할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결과 1) 인지적 판단차원은 광고에 대한 호오성, 유용성, 독창성과 품위에 대한 판단으로 이루어진 포괄적 평가차원, 그리고 광고의 감각자극성차원과 표현성차원이 비교적 안정적인 차원으로 드러났고, 2) 감정반응 차원은 서로 구분되는 차원을 형성하는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차원 외에 내적 활성차원과 비활성차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3) 인지적 판단과 감정반응의 차원별 총 점수로 광고와 상표에 대한 전체적 평가를 예측한 결과, 인지적 판단은 광고에 대한 전체적 평가에 대해, 감정반응차원은 상표에 대한 전체적 평가에 대해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s a succeeding study to Gim & Choi(1988), this research investigated 1)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gnitive judgements and affective responses of consumers on TV advertising, 2) the role of cognitive judgements and affective responses in mediating the effects of advertising. The author found that 1) the stable factors of the cognitive judgments to advertising are (i) comprehensive evaluation factor which includes preferene, usefulness, creativity, and dignity as subdimensions, (ii) sensory stimulating characteristics factor, and (iii) representativeness factor ; 2) the affective responses dimensions are (i) negative affect, (ii) positive affect, (iii) internal activation, (iv) internal deactivation ; 3) cognitive judgements was more important than affective responses in prediction overall evaluation to advertising and affective responses to the brands in turn. Nevertheless, both cognitive judgements and affective responses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overall evaluation to the advertising and the brands.

형평과 불형평에 따른 정서의 차이 및 불형평 해소 책략
박희랑(Nielsen Marketing Research) ; 박세영(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67-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소지급, 형평지급 및 과다지급에 따른 만족, 분노 및 죄책감의 차이를 검토하고, 분배자를 달리하였을 경우에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다음에, 불형평을 해소하기 위해서 선택되는 책략에 있어서 과소지급과 과다지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실시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다지급 집단에 비해서 형평지급 집단이 더 만족하였고, 과소지급 집단은 덜 만족하였다. 둘째, 형평지급 집단에 비해서 과소지급 집단이 더 분노하였고, 과다지급 집단은 죄책감을 더 느꼈다. 세째, 동료 작업자에게 과다지급받은 집단이 감독자에게 과다지급받은 집단보다 죄책감을 더 보였다. 마지막으로, 불형평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과다지급 집단은 과소지급 집단보다 인지적 책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일반화 시키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급여정책에 시사를 줄 수 있으리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subjects' mood responses to the underpaid inequity, equitable payment and overpaid inequity, (b) to examine the effect of allocator on mood, and (c)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inequity reduction tactics between underpaid and overpaid subje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equitably paid subjects were more satisfied and underpaid ones were less satisfied than were overpaid ones. Second, compared with equitably paid subjects, underpaid ones feat more angry and overpaid ones felt more guilty. Third, Subjects felt more guilty when they were overpaid by coworker than they were overpaid by supervisor. Finally, cognitive tactics were more frequently used when subjects were overpaid than were underpaid.

인쇄광고의 오도 (誤導) 효과에 관한 연구 : 주장의 종류와 그림정보의 관련성
성영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완석(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9-100
초록보기
초록

인쇄광고의 오도(誤導)효과에 관한 이전 연구(성영신과 김완석, 1988)를 바탕으로 인쇄광고의 언어적 주장의 종류와 그림정보의 속성관련성이 소비자 오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식품과 피임약의 2가지 제품분류를 선정해 16종의 잡지광고를 제작하여 대학생 피험자에게 노출시키고, 광고제품에 대한 오도신념강도와 상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1) 오도신념측정 7개 문항중 5개 문항에서 피험자가 오도된 것으로 나타났고, 2) 주관적 주장만으로 된 광고보다는 객관적 주장이 첨가된 광고에 노출하는 것이 오도신념강도가 더 높았으며, 3) 그림요소의 효과는 그림의 속성관련성과는 관계없이 그림이 있는 광고가 그림이 없는 광고에 비해 피험자를 더 오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주장의 종류와 그림의 속성관련성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ype of claims(subjective versus subjective / objective) and the attribute-relatedness of pictorial elements in allegedly misleading advertisements on consumer's beliefs about product attributes. 16 magazine advertisements of two product categories(pill and health food) were produced and presented to the student subjects in laboratory setting. Belief strengths of the attributes of the advertised brands, attitudes toward the brands, and intentions to purchase the brands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We found that 1) subjects were misleaded in 5 of 7 questions for measure the belief strengths of product attributes ; 2) in subjective / objective arguments condition, subjects were more misleaded than in subjective-only condition ; 3) the ads contained pictures were more effective in misleading subjects than the ads didn't contain pictures regardless of the attribute-relatedness ; 4) the type of claims and the attribute-relatedness of pictures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belief strengths.

한국판 Kuder 흥미검사(KKPR)의 타당화 연구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최광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1-1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흥미검사가 진학지도를 위해 어느정도 타당한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타당화 표본은 고려대학교 4학년 864명이었으며, 이중 7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타당화 준거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학과만족도 척도였다. 10개 흥미영역의 신뢰도 계수(α)의 범위는 .68~.92였다. 중다판별분석 결과, 전공분류 예언의 정확도는 44.4%(기본확를 24%)였으며, 교차타당화 표본에서의 정확도는 43.9%였다. 중다회귀 분석결과, 준거예언 점수와 준거점수간의 상관의 범위는 .25~.45로 7개 전공계열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준거예언 점수의 준거예언률을 기대표를 작성하여 살펴본 결과, 준거만족 집단에 속하는 비율은 준거예언 점수의 하위 25%미만에서 30%~42%였으며, 준거예언 점수 상위 75% 이상에서 65%~85%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정된 흥미검사의 타당도를 밝혔으며, 진학지도를 위한 검사의 활용방안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tested the validity of Korea Kuder Preference Record(KKPR). The sample consited of 864 juniors and seniors attending Korea University in Seoul, 788 of 864 ca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 20-item Major Satisfaction Scale which had been constucted for this study were used as the validity criterion. The range of reliability coefficients(α) of 10 interest areas was .68~.92. Using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 accuracy of predicting major classification was found to be 44.4%(base probability being 24%), and the accuracy in cross-validation sample 43.9%.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even majors between criterion-prediction score and criterion-score was found to be .25~.45, and al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expectancy table made from the criterion-prediction rate of criterion-prediction score was examined. In this expectancy table, the range of the rate of belong to the satisfaction group was 30%~42% in the lower 25% percentile of the criterion prediction score, 65%~85% in the upper 75 percentile prediction score. With the above results the validity of KKPR was obtained, and the application of KKPR and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군 지휘관의 권력유형에 관한 연구
조남국(육군사관학교 심리학처) ; 이재윤(육군사관학교 심리학처) pp.115-1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군의 육군 보병 지휘관들이 사용하는 권력유형 요인을 알아 보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서 학자들 사이에 논의되고 있는 7개 권력근원을 기초로 예비문항이 작성되었으며, 그 설문을 통하여 육군 0개 사단 병사들로부터 획득된 80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요인 분석된 결과 ① 준거권력 ② 강제권력 ③ 전문성 권력 ④ 합법적 권력 ⑤ 보상 권력 ⑥ 배경권력의 6개 권력유형 요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유치의 감소 경향이나 Cronbach의 α계수를 고려할 때 3-4개 요인이 보다 적당할 것이라는 추정도 가능하였다. 본 연구가 탐색적인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권력유형 척도 제작과 차후의 계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ich power form are generally exercised by military commander in the ROK-Army. For this purpose a power form scale(PFS) was prepared with 93 preliminary items which based on the seven power sources however the extent of power sources is still in discuss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802 enlisted men enrolled in several combat division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ix power forms were extracted, which could be named as ① referent power, ② coercive power, ③ expert power, ④ legitimate power, ⑤ reward power and ⑥ association power. But with regard to the decreasing tendency of eigenvalue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among items in respective factors it was also possible to presume three or four factors instead of six. Because this study has still exploratory character, such a result can offer basic materials in order to complete scale and further studies in this thematic are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