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조직만족의 측정모델 검증연구: 생산직 근로자의 만족요인을 중심으로
오세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임영식(중앙대학교 청소년학과) ; 양병화(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로자의 조직전반에 관한 만족을 측정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직무만족 측정모델(JDI)에서 명명하는 5개 요인을 보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이를 JDI의 하위요인에 따라 분류하고 그 범주에 속하지 않는 4개요인을 추가하여 모델을 구성하였을 때, 이들 9요인이 근로자의 전반적 조직만족을 측정하는 타당한 모델이 되는가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의 예측적 관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한 대기업의 생산직 근로자 747명으로 남자가 228명, 여자가 519명이었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21.37세(SD=5.39)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조직만족모델의 부합도 및 대안모델과의 비교, 요인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구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조직만족모델은 변별타당도 및 수렴타당도가 있었으며 적합한 모델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반적인 조직만족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상당히 복잡한 방식으로 조직만족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고 있었고, 이 구조모델 역시 적합하였다. 만일 이러한 조직만족모델이 타당하다면, 근로자들의 조직과 관련된 불만족 반응은 모델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고 불만족의 해소방안 역시 보다 체계화될 수 있다. 특히, 각 조직내에서 고충처리 프로그램과 같은 제도적 장치들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한계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tness of a model that was proposed to measure overall organizational satisfaction which could be considered more broad concept than job satisfaction. The proposed model consisted of 9 factors which included 5 factors derived from JDI's subfactors and 4 other factors derived from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fittness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 the model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28 male and 519 female line workers in a large corporation and their average age was 21.37(sd=5.39).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a moderate level of goodness of fit.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in the model were meaningfully and complicate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to th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조직구성원의 경력개발 장애요인에 대한 지각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25-3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조직에서 자신의 경력을 쌓아 나가는데 장애가 된다고 지각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수적으로 장애요인이 구성원의 성별, 결혼여부 및 직위에 따라 달리 지각되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15개 조직에 속한 138명의 조사대상자가 기술한 장애요인을 먼저 21개 소범주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음에 이 범주들을 4개의 대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범주로 분류한 경우, 회사정책, 대인관계, 업무특성, 능력, 적성 및 흥미, 회사분위기/조직문화, 성차별 등의 범주가 상대적으로 커다란 장애 요인으로 지각되었다. 대범주로 분류한 경우 개인특성과 회사관련 범주에 속하는 장애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남녀간의 비교에서 성차별, 배경, 그리고 회사정책 등의 범주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대범주에서는 회사관련과 사회관련 범주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기혼과 미혼 집단 사이에는 장애요인의 지각에서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일반 사원과 관리자 집단 사이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barriers of career development perceived by organization employees.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barrie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based on employees' sex, marital status, and job level. Data were obtained from 138 employees across 15 organizations, 21 subcategories were obtained and then these we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21 subcategories, company policy, interpersonal relations, job characteristics, ability, aptitude and interes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x discrimination were perceived to be relatively severe barriers. Among the four areas, employees perceiv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any-related areas as more severe barriers.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subcategories of sex discrimination, background, and company policy and the areas of company-related and society-related. Employees' marital status and job level did not affect their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의료서비스 품질지각과 의료소비행동: 종합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김완석(아주대학교 심리학과) pp.37-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의 품질을 환자의 평가를 바탕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입원환자들의 의료서비스 품질지각 차원을 밝히려 하였다. 또한, 입원환자들의 품질지각이 후속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한 종합병원에 입원했던 경험이 있는 퇴원환자 600명에게 질문지를 우송해서 이 중 269명의 자료를 얻었다. 51개의 품질평가 문항 중 무응답이 많은 문항을 제외하고 33개 문항을 공통요인분석법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의사의 치료, 병원/병실 환경, 간호, 정보제공, 입원, 퇴원, 식사라는 7개의 차원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차원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타당도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의 문항들이 후속 연구에 매우 유용하계 쓰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얻은 7개의 차원이 단일 문항으로 측정한 전반적 만족도, 두 문항으로 측정한 치료효과 지각, 재이용/추천의도 등 이론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른 변수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입원환자들의 품질평가는 전반적 만족도나 향후 재이용/추천의도와 상당히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효과지각에 대해서는 그보다 상관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지각의 차원별로 볼 때,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서는 병원/병실 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의사의 치료와 간호였다. 재이용/추천의도나 치료효과지각에는 의사의 치료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7개 차원의 특성에 관해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고, 이들 차원과 전반적 만족도, 치료효과의 관계에 대한 결과에 대해서도 가능한 설명을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과 본 연구의 제한점도 논의했다.

Abstract

An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based an the patients perception. As a first step,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imensions of inpatients perceptions of medical servi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onsumer behavior. Randomly sampled 600 subjects from 1300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a General Hospital of the Suwon city, were asked to fill out a mailing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51 key items regarding to the quality of the radical services. The 26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of 'D.K.' responses of each item as a criterion, the 33 items were selected as common and relevant items, With a common factor analysis(principle axis factoring) by Kaiser criterion, 7 factors were revealed which were easy to interpret. The 7 factors included easily identifiable aspects of the in-patients experience: Medical care, Hospital/ward Environment, Nursing, Information, Admissions, Discharge, and Food, Using a multi-trait scaling analysis(correlation matrix of dimension scale and item correlations), the author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items underlying the factor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items would have acceptably hig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ould be used in the future study.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dimensions of quality perceptions and other theoretically related variables, the dimension scores were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score, overall health outcome score, and behavioral intention(to return visit/recommend) sc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Hospital/ward environment, Medical care, Nursing, and Information might be the major factors which could affect post-consumption behaviors of the patien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resent study was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that studied the inpatients perceptions of medical service. The author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lity perceptions and the post-consumption behaviors. Also the author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far future study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조직내 교육 훈련의 학습 및 전이 효과 모델 검증 연구
이도형(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59-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직내 교육훈련 성과(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간의 보다 복잡한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조직내 교육훈련의 성과를 설명하는 포괄적인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직내 교육훈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로서 피훈련자 특성, 교육훈련 설계, 작업 환경의 세 가지 변인을 설정하고, 관련 연구 및 현장 자료의 수집을 통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개발하였다(측정 문항의 개발). 그리고, 피훈련자 특성, 교육훈련설계, 작업 환경과 학습 및 전이간의 관계성을 밝히는 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교육훈련의 전이 과정에 관한 포괄적인 모델을 개발하였다(모델의 개발). 이러한 본 연구의 모델 개발을 위해 6개 대기업에서 입사후 교육훈련의 경험이 있는 816명의 사원들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피훈련자 특성, 교육훈련 설계, 작업 환경이 학습과 전이에 미치는 효과 및 이들 변인간의 관계성을 알아 보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위계적 희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훈련자 특성과 교육훈련 설계는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작업 환경은 피훈련자 특성을 통해 학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과 피훈련자 특성 및 작업 환경은 전이에 직접지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과 피훈련자 특성 및 학습과 작업 환경간의 전이에 대한 조절 변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델에 대한 공변량 구조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도 재안된 모델이 타당한 것으로 밝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rganizational training model that explains the effect of many variables on the trainig outcomes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in organizations). Items that were supposed to measure each of the three constructs were collected, an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to find out subfactors of each of the three constructs using 816 employees, who had experience on any kind of the organizational trainings, from six different corporations. The comprehensive training model that explains relationships among antecedent variables,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was propos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816 employees in six different corporation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ify the proposed model. Reseults indicated that the trainee characteristics and training design affected learning directly, and work environment had indirect effect on learning via the traine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earning, the trainee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environment affected the transfer of training directly. The trainee characteristics didn't hav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and also the work environment didn't hav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According to these relationships, the traning model was developed.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veloped model was well-fitted to the data.

직무수행의 금전적 가치측정을 위한 총체적 추정법의 적용가능성 연구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89-115
초록보기
초록

동일직무에 종사하는 종원원들의 직무수행분포의 표준편차를 금전적으로 추정하는 방법들 중에서 총체적 추정법이 효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이 연구의 주목적은 직무에 내포된 사물조작, 대인관계, 자료취급 정도가 서로 다른 다양한 직무에 총체적 추정법이 어느정도 적용가능한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부수적으로 조직내의 서로 다른 직군들이 사물조작, 대인관계, 자료취급 정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한 것이었다. 국내외 한 자동차제조회사에서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고 있는 807명의 대리가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의 사물조작, 대인관계, 자료취급 정도를 평정하였고, 자신들과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직무수행분포에서 15백분위, 50백분위, 85백분위에 해당하는 사람이 조직에 금전적으로 기여하는 값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서로 다른 직군간에 사물조작, 대인관계, 자료취급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고 직무에 내포된 사물조작, 대인관계, 자료취급 정도가 총체적 추정법의 다양한 직무에의 적용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세 변수 중에서 대인관계 변수가 금적으로 환산된 직무수행 분포의 정상성 정도와 평정자간 신뢰도를 가장 잘 예측하였다. 즉, 직무에서 고객상담이나 타인접촉과 같은 대인관계가 더 요구될수록 금전으로 환산된 직무수행 분포가 비정상적 분포(정적 편포)를 나타내었고 추정에 있어서 평정자 간에 불일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인관계 요구도가 높은 직무일수록 총체적 추정법의 적용가능성이 낮고 대인관계 요구도가 낮은 직무일수록 총체적 추정법의 적용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Costing human performance has long been a goal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on the benefits expressed in economic terms like money. One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utility of job performance has been developed by Schmidt, Hunter, McKenzie, and Muldrow(19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chmidt-Hunter global estimation method to a broad range of jabs as a function of the Data, People, and Things variables of work.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was evaluated by the the degree of normality of economically-expressed distribution of job performance(the index of normality) and the degree of agreement in the utility estimates among raters(inter-rater reliability). Raters in this study were 807 assistant managers in a large motor manufacturing company. Raters provided the degree of manipulating things, interesting people, and dealing with data in performing their jobs. Also they estimated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employee at the position of 15, 50, and 85 percentile of economically-expressed distribution of job performance. It was find that the Data, People, and Things variables of work can explain the applicability of the global estimation method across a variety of jobs. More specificically, the People variable was highly related to the normality of economically-expressed performance distribution and the degreee of agreement among raters. While the jobs dealing less with people had more statistically normal distribution of job performance and produced higher agreement, the jobs dealing mare with people had non-normal(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and produced lower agreement in the three estimates among rater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jobs, which require more frequent contacts with other people have low applicability of the global estimation method, and vice versa.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산업장면에서의 실용적 지능 / 능력
김명소(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김명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도형(삼성인력개발위원회) pp.117-137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인간의 학문적 지능/능력(academic intelligence:AI)을 반영하는 IQ가 삶의 적응력이나 성공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일상에서 사용하는 실용적 지능 혹은 능력(practicial intelligence:PI)에 관한 개념들이 새롭게 제시되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PI는 학문적 지능 혹은 능력과는 다르며 어떤 능력이 더 중요한가는 상황(contexts)에 따라 변한다. 본 연구는 산업장면에서 필요로 하는 PI에 초점을 맞추어 PI에 관한 이론과 이를 측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개관하고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지능에 관한 Stemberg의 상황적(contextual) 이론에 바탕을 두고 PI의 구성개념을 살펴보았고 이를 근거로 개발된 Tacit Knowledge 검사(TKIM)를 소개하였다. 또한 TKIM을 응용하여 국내 모 기업을 대상으로 개발된 PI검사의 제작절차 및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PI검사는 준거변인(상사평가)과 의미있는 상관을 나타냈고, 예측력도 일반적인 학문적 지능검사보다 약 2~3배 높았다. 끝으로 효과적인 인재선발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사용될 심리검사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 조직의 인사선발, 배치, 교육훈련과 같은 인사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의 PI 검사 활용 가능성에 관해 생각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산업 심리학자의 역할을 논의해 보았다.

Abstract

Practical Intelligence (PI) for solving everyday problems in living is distinguishable from academic intelligence as measured by IQ tes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spect of intelligence will vary from one situation to the next,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real-world pursu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PI, focusing on the PI in organizational setting. Specifical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textual subtheory of Sternberg's 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the construct of PI and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it, the TKIM (Tacit Knowledge Inventory for Manager) were discussed. Also, the development of a PI test for a large company in Korea and the findings on the test were described. The results provided strong support for the hypothesis of Sternberg & Wagner. The PI tes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riterion measure of supervisors' ratings, with the value of r<sup>2</sup> being 2 to 3 times larger than that typically found between performance on tests and job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experiment in the large company in Korea is to suggest that in addition to other measures (e.g. IQ, personality), PI plays a nontrivial role in work-related practical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tests as an effective selection tool were proposed, and the roles of PI test for selection, placement, training and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role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ists should play in this process was also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