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효율적 산업안전관리를 위한 행동주의적 연구에 대한 개관
오세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산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실험적 방법을 적용한 행동주의적 연구들을 개관하여 유형별로 분류해보고 그 특징 및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포함된 피험자 및 실험상황, 그리고 독립변인에 따른 연구의 분석이 이루어진 뒤, 종속변인 및 측정, 관찰절차, 실험설계, 후속검증 및 장기적 관리에 관련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행동주의적 연구는 안전관리에 있어서 성공적 결과를 가져왔으며, 앞으로도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적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행동주의적 연구는 앞으로 해결해야 될 여러 가지 이론적, 실질적 문제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이론적, 실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많은 체계적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behavioral studies that have been designed to increase industrial safet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ns of subjects, experimental setting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observational procedures, experimental designs, and follow-up and maintenan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behavioral studies have been very successful and have a great potentaility for the future. Despite of this success, however, behavioral studies do hav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in the present. Therefore,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in order to make safety management more effective.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재창(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송관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재조업체와 서어비스업체에 근무하는 사원 469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그로 인한 개인적 긴장 및 대처 능력이 조직 몰입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개인적 긴장이 높았고, 조직몰입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직무스트레스원과 조직체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원 중 역할경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이 역할불충분성, 조직체계, 책임감 요인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긴장이 높더라도 조직몰입의 정도에 따라 대처능력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조직몰입, 조직몰입과 개인적 긴장의 상호작용, 개인적 긴장의 순이었다. 이를 조직물입과 개인적 긴장의 정도에 기초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개인적 긴장이 높고 조직몰입이 낮은 사원들의 대처능력이 가장 낮았고 개인적 긴장이 낮고 조직몰입이 높은 사원들의 대처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물입이 높은 사원들은 직무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개인적 긴장이 높더라도 대처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서 스트레스와 긴장에 잘 대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occupational stress,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number of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9 male and female workers selected from five diverse manufacturing industries including two service company.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occupational stres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Also employees with high occupational stress showed more commitments to their organiz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ment as dependent variable and occupational stress, organizational climates as the predicto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le boundary, role insufficiency, organizational climates, responsibility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The study hypothesized that personal strain gives influences on stress coping ability a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vene between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study obtained an interesting finding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The personal strai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ress coping ability in the group that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was high.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 that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was low.

제품 선택 모형
남승규(순천공업전문대학 경영과) pp.39-55
초록보기
초록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에 관한 제품 선택 모형을 개인적 가치에 토대를 두고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형처럼, 개인적 가치는 먼저 고려속성의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런 속성의 중요도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식으로 간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반적 가치 중에서 전통지향 일반가치는 품질지향 소비가치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쾌락지향 일반가치는 심미지향 소비가치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성공지향 일반가치는 두 소비가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에서 품질지향 소비가치는 질적 속성의 중요도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심미지향 소비가치는 미적 속성의 중요도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제품속성의 중요도가 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구체적 가치인 소비가치는 전반적인 일반가치보다 제품선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oduct choice model. This model was based on personal values. In study, total 220 college studednts was consisted 107 male and 113 female. As suggested model, personal values not only indirectly but directly influenced on product choice. Personal values influenced on importance of attributes, importance of attribute influenced on product choice behavior. And personal values directly influenced on product choice. In general values, tradition oriented general value influenced on quality oriented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choice, hedonism oriented general value influenced on aesthetics oriented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choice, and success oriend value influenced on both consumption value. In specific values, quality oriented consumption value influenced on importance of qualitative attribute and product choice, aesthetics oriented consumption value influenced on importance of aesthetical attribute and product choice. And importance of attribute influenced on product choice. Also, consumption values were stronger than general values in effects on product choice.

감성측정기술의 개발 및 제품개발에의 활용
권규식(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pp.57-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제품개발에 응용하기 위해 감성을 측정ㆍ평가하는 방법과 감성을 실제 제품의 디자인 요소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감성을 측정ㆍ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퍼지집합을 이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감성과 제품의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를 파악한 다음, 이들의 관계를 다목적계획법을 통해 모형화 함으로써 감성과 제품의 디자인 요소를 서로 연결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차원으로서의 인간의 감성과 물리적 차원으로서의 제품의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정 감성을 유발하기 위한 제품의 디자인 요소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감성이 반영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method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human sensibility and translating sensibility to design elements of products for applying human sensibility to products development. In order to compose scale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sensibility, fuzzy set was used. And the relation between sensibility and design elements of products was found out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n sensibility and design elements was connected by modelling the relations of them using multiple objective linear programm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out concretely what kind of the relation exists between human sensibility as a psychological side and design elements of products as a physical side, and design elements of products that raise some sensibility were shown quantitative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designing the products considered human sensibility.

5요인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김명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도형(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85-102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격의 5요인(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호감성, 성실성, 이지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성격의 5요인과 신입사원 연수장면에서의 수행준거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5요인 성격검사의 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국내 기업의 총 1,187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하여 단문 형태의 총 119개 문항으로 구성된 5요인 성격검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를 기업의 연수원에서 연수 중인 3,593명의 신입사원들에게 실시하고 성격검사점수와 연수과정에서의 다양한 수행준거측정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5요인 성격검사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성실성 요인이 연수과정에서의 종합수행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외향성 요인과 정서적 안정성 요인은 관찰자들이 6개 항목에서 주관적으로 평정한 평가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이지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볼 때, 5요인중 외향성 요인이 가장 많은 수의 수행준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낸 반면, 호감성 요인이 가장 적은 수의 수행준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5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수행준거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상관분석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업장면에서 직무수행을 예측하기 위한 5요인 성격검사의 사용 가능성과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ig-Five personality tes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dimensions(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 and performance criteria in the newcomer training setting. The Big-Five personality test which composed of 119 statements was developed through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using 1,187 job incumbents in a large company. This test was administered to 3,593 trainees in the training center and the personality test scores were obtained. Then, several performance criteria regarding their training proficiency were also obtain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performance criteria. Results indicated that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nd Conscientious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composite score derived from all of the performance criteria. But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small except Extraversion.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nd Intellect were related with the sum of subjective ratings by observers regarding creativity, responsibility, active disposition, judging ability, leadership, and cooperation. Overall, while Extraversion dimension was related to most of the performance criteria, Agreeableness dimension was related to least of the performance criteri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ig-Five fac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revealed very same results to those of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ability of the Big-Five personality test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job performance in the industrial set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agenda in this area were discussed.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명소(호서대학교 경상학부 산업심리학과) pp.103-121
초록보기
초록

일반적으로 심리검사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잘 계획된 예비 연구들을 통하여 검사 문항들을 개발한 후, 신뢰도ㆍ타당도 검증 및 규준작성을 위해 다수의 해당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다단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컴퓨터 관련 인력의 효율적인 인재선발을 위해서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를 개발하고 예비검사와 타당화 작업을 통한 검사의 수정ㆍ보완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검사시 문헌 조사 및 기존의 검사를 검토한 후, 체계적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선발 차원들을 측정하는 250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한다. 예비검사 결과 문항분석을 통해 각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내적 일치도를 고려한 후 총 100문항이 선정되었고, 다양한 집단의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을 대상으로 위 검사에 대한 4차례의 타당화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내적일치도 신뢰도 지수를 얻었을 뿐 아니라 기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력별, 계열별, 직군별로 전체검사 및 하위검사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본 검사는 이분야의 학문적 적성검사로서 의미 있는 구성개념 타당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검사는 준거변인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준거변인(상사지도관찰표)과 .36의 의미 있는 상관이 있어 높은 예측력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요인구조를 분석한 결과, 자료처리/전환능력 및 분석/평가능력 요인의 두 요인이 도출되어 앞으로 이 분야의 검사개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차례의 타당화 연구가 진행되면서, 본 컴퓨터 프로그래머 적성검사는 그 문제점과 제한점이 다각도로 검토되어 하위검사 및 개별 문항이 수정되고, 또 하위검사 시간도 조정되어 처음 제작시보다 더욱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 발전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해 보았다.

Abstract

Computer technology is being applied everyday to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problems. These vast applications create a demand for able computer programmers and for valid selection tools to identify persons with aptitudes for this posi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systematically define the job of computer programmers and develop job-related, specific aptitude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1) to develop a computer programmer aptitude inventory reflecting the selection dimensions resulted from a worker-oriented job analysis, and (2)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inventory for various groups of computer programmers. The 250 experimental items were pilot tested with 15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nd analyzed for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finally 100 item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form of the CPAI. Four field studies were then conducted with approximately 1600 computer programmers to revise and validate the experimental CPAI.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most of the subtests were acceptably high. As expecte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uter programmers on the bases of education level, job level and college major, reflecting adequate construct validity of the CPAI. For the concurrent validation of the inventory, the CPAI was administered to currently employed computer programmers of a large software company, and the scores correlated with supervisors ratings of each programmer on overall performance (i. e., ability, personality, attitude, and the like). The validity coefficient of the CPAI was .36 for this group. The CPAI total score, as well as four of its subtes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relate to the ratings, although the group appeared to be highly selected and restricted in range of both predictor and criterion, and the ratings were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not on specific job-performance. Factor analysis revealed two significant factors, the data transformation factor and analysis/evaluation factor, which could provide test developers with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tests in the areas of software. In shot,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al CPAI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nd revised thorough the validation studies, and this resulted in an enhanced, i. e., more reliable and valid, aptitude instrument consisting of 6 subtests with 110 item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ndicate that the CPAI can be used as a selection tool in industrial setting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