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목표-수행차이와 성취귀인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 of Goal-Performance Discrepancy and Achievement Attribution on Task Performance

초록

본 연구는 Carver와 Scheier(1982, 1990a, 1990b)가 제어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목표-수행차이의 부적 피드백 크기가 이후 노력의 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보다는, 그러한 차이가 존재할 때 Weiner(1980, 1985, 1986, 1992)가 성취귀인이론에서 제안한 귀인 내용에 따라서 동기와 수행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하에, 목표-수행차이의 크기와 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156명의 피험자들에게 서로 다른 3수준의 목표-수행 차이를 조작하였으며, 이러한 3 수준의 차이를 노력, 능력, 과제난이도, 운 등의 4가지 원인에 귀인시키도록 조작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성공기대, 예상된 자기불만족, 수행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4가지 귀인조건 중 노력조건에서만 목표-수행 차이크기의 효과가 나타났고, 나머지 능력, 과제난이도, 운 조건에서는 목표-수행 차이크기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가설에서 예언한 것처럼 상호작용 효과를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어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목표-수행간의 차이가 이후의 수행증가량을 결정한 다는 주장이 매우 한정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제어이론의 기존 주장을 보완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노력 귀인 조건에서 목표-수행간의 차이와 수행증가량 간의 관계가 역U자로 나타남으로써 목표난이도가 중간인 조건에서 수행증가량이 가장 많을 것이라고 주장한 Vroom(1964)의 기대×유인가 이론과 일관되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자신의 실패를 불안정차원(노력, 운)으로 귀인시키는 경우에는 안정차원(능력, 과제난이도)으로 귀인시킬 때보다 성공기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증가량도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력부족 때문에 자신의 목표달성 실패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운 부족 때문에 실패가 예상되는 경우보다 예상된 자기불만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수행증가량도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goal-performance discrepancy and achievement attribution on task performance. A control theory proposed that as th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increases, the amount of performance in the following trial increases. However, a theory of achievement attribution proposed that if the discrepancy is ascribed to stable causes(e.g., ability. task difficulty, etc.), the expectancy of success and the performance thereafter decreases, and if a failure is ascribed to unstable causes(e.g., effort, luck, etc.), the expectancy of success could change and hence the performance in the following trial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Thus,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if th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is attributed to lack of one's effort, performance increase will be maximized in the medium discrepancy condition, compared to the small or large discrepancy condition. But, if th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is attributed to the .other three causes, performance will not be influenced by th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Also, it was tested how the expectancy of success and the anticipated self-dissatisfaction affected performance in the next trial. A 4(ability. effort, task difficulty, and luck attribution) × 3(small, medium, and larg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56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the goal-performance discrepancy affected task performance only in effort condition, not in other three conditions, as hypothesized. In addition, when subjects ascribed a failure to unstable causes, the expectancy of success and task performance in the next trial were higher than they were when a failure was scribed to stable causes. Finally, the anticipated self-(dis)satisfaction was higher when subjects anticipated a failure due to lack of effort than when a failure was anticipated due to bad luck, and so was task performance.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8-11-1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