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운전상황에 따른 자동차내 항법장치의 정보제공 양상이 운전수행과 작업부하에 미치는 효과

Driving Condition and Modality Effect of In-vehicle Navigation System on Driving Performance and Mental Workload

초록

운전상황(항행상황, 추돌위험 상황)에 따라 자동차 내 항법장치의 정보제공 양상(시각, 청각, 시청각)이 운전수행과 작업부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운전수행은 종적통제(액셀러레이터와 브레이크, 그리고 속도 변산성)와 횡적통제(차선 내 차량위치 변산성과 스티어링 휠 입력 변산성) 측면에서 측정되었고 작업부하는 NASA-TLX로 측정하였으며, 주관적 측정치로 시스템 사용성도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항행상 황을 모사한 실험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법장치의 정보제공 양상이 청각이나 시청각 조건에서보다 시각조건일 때, 차선 내 차량 위치 변산성이 더 컸다. 그러나 (2) 다른 운전수행측정치들은 차이가 없었으며, 정보제공 양상에 따른 작업부하의 차이도 없었다. 마지막으로 (3) 시각조건보다 청각과 시청각 조건의 사용성 평가가 더 우수하였다. 보다 신속한 반응을 요구하는 추돌위험 상황을 모사한 실험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조건보다 청각 혹은 시청각 조건에서 더 신속한 브레이크 반응을 하였다. (2) 작업부하는 청각조건에서 가장 낮았으나, (3) 주관적 사용성 평가는 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driving performance, subjective mental workload levels, and usability evaluation when driving conditions(normal navigation vs. front-to-rear end collision situation) and the information modality of in-vehicle navigation system(visual, auditory, and audio-visual) were varied. Driving performances were measured both by longitudinal(variabilities in accelerator input, driving speed, and brake input) and lateral vehicle controls(variabilities in lane position and steering wheel rate). NASA-TLX, which was adopted to measure subjective mental workload, and the drivers' subjective evaluation for the system usability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here normal and navigational driving was required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1) The drivers showed smaller lane position variability when the naviga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through auditory or audio--visual modality than through visual modality. But (2) the other driving performance measures and subjective workload rat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ypes of information. And (3) the auditory or the audio-visual navigation systems were evaluated to be more usable than the visual system In Experiment 2, collision situation was simulated by manipula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which the drivers were asked to follow.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2 showed the followings: (1) Time to initial and fun brake application after the warnings were shorter when the information was presented auditory or audio-visually than visually. (2) Subjectively reported workload levels were lowest in the auditory condition, bur: (3) the usability evaluation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types of warning. Finally, implication and issu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4-24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