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A study on an exit interview process, influencing the withdrawal of a turnover decisi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 case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asons why employee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s make a turnover decision, and their experience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withdrawal of a turnover decision during an exit interview with one’s superior and a human resources department staff in charge.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twelve,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determinants of making a turnover decision: personal reasons irrelevant to an organization, conflicts with one’s superior, colleagues and subordinates, and a stress due to uncontrollable tasks. Four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one’s withdrawal of a turnover decision during an exit interview with one’s superior and a human resources staff in charge were found: the interviewer him or herself, interviewer’s interview skills and attitude, participants’s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and the problem solving. Following the making of a turnover decision and a withdrawal,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weakening of a self-concept and the changes to their perspectives on an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respects. The research aimed 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who actually had a turnover decision,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withdrawal of a turnover decision through an exit interview proces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could serve as the basis when introducing a workplace counseling system or a training program for counseling techniques within an organization or a company, whilst also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interview,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s for the managers carrying out employee interviews within an organization.

keywords
turnover, exit interview, turnover decision, withdrawal of a turnover decision, 이직, 이직면담, 이직결정요인, 이직결정 철회요인

Reference

1.

김기현 (2002). 산업디자이너의 이직원인에 관한실증적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옥희 (2010).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원인 및해결방안에 관한 인식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창대, 한영주, 손난희, 권경인 (2009).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10(1), 83-107.

4.

김한용 (2010). 중소기업 핵심 종업원의 이직결정 및 억제 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형자 (2007).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 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7.

박근수 (2013).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척도의탐색적 요인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9(1), 175-204.

8.

박성호 (2009).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을 통한사회과 교사의 태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성희 (2000). 상담과 의사소통 통로.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38(4), 25-41

10.

박수영 (2011). 상담자가 지각한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영근 (2014). 반도체설비 산업에 종사하는 엔지니어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형인, 남숙경, 양은주 (2011).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457-491.

13.

손진희 (2013).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 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01-522.

14.

신지화, 탁진국 (2011).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385-407.

15.

오인수, 김광현, Darnold,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2007).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메타분석: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인사․조직연구, 15(4), 43-86.

16.

왕은자 (2009).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왕은자, 김계현 (2010). 진로상담: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분석, 상담학연구, 11(2), 641-656

18.

우종민 (2005).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기법의효과에 대한 고찰. 인지행동치료. 5(1), 43-52.

19.

유성경, 손난희 (2010). 내담자의 상담 기대와실제 상담 성과와의 관계에서 치료 동맹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31-947.

20.

윤희석 (2012). 반도체 산업의 미래, 사람에 달렸다.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

21.

은화리 (2013). 대졸 초기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상민, 유규창, 박우성 (2010). 인사관리연구에 게재된 인사관리 분야 논문 분석: 1980년대부터 2008년까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1), 177-218.

23.

이상헌 (2004). 국내외 기업의 퇴직자 면담(EIS)에 대한 인식과 현황.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4.

이영석, 오동근, 서용원 (2004). 회사신뢰 및상사신뢰의 결정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7(2), 147-186.

25.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2005). 상담심리학의기초, 서울. 학지사.

26.

이정화, 연문희 (2009). 치료동맹의 발달 유형과 상담성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1-24.

27.

장연희 (2013). 이공계인력의 이직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장진혁, 유태용 (2013). 조직 내 정치적 행동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정직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3), 413-436.

29.

조은현, 탁진국 (2011).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127-155.

30.

조인철, 김명소 (2010). 이탈과 관련된 역기능적 성격요인의 구성 타당화 및 대학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HDS(Hogan Development Survey)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3), 575-603.

31.

채지형. (2003). IT종사자 93%, 기회오면 이직. 디지털타임즈. www.dt.co.kr.

32.

최지윤, 오경자 (2013) 통제욕구와 우울: 스트레스 상황 내 통제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13(1), 258-258.

33.

최천학 (2002). 진주지역 대학행정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통계청 (2012). 사회조사: 스트레스 정도(직장생활, 13세 이상 인구).

35.

한국반도체산업 산업발전사 (2013).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홈페이지.

36.

한소영, 신희천 (2010).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01-929.

37.

한허정 (2007). 조직 중간 관리자의 코칭 역량에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Carroll, M. (2010). 기업상담 [Workplace Counseling]. (전종국, 왕은자, 심윤정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6 출판).

39.

Giacalone, R. A., Stuckey, L., & Beard, J. W. (1996). Conditions influencing biased responding in exit interviews and surveys.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4, 27-39.

40.

Griffeth, R. W., Hom, P. W., & Gaertner, S. (2000).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lt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nium. Journal of Management, 26, 463-488.

41.

Griffiths, K. E. & Campbell, M, A. (2009)Discovering, applying and integrating: the process of learning in co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Coaching and Mentoring, 7(2), 16-30.

42.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43.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44.

Hom, P. W. (2011). Organizational exit.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 pp. 325-37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5.

Mobley, W. H., Griffeth, R. W., Hand, H. H. & Meglino, B. M. (1977).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Psychological Bulletin, 86(3), 493-522.

46.

Schleicher, D. J., Hansen, S. D., & Fox, K. E. (2011). Job attitudes and work values. In S. Zedeck(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 pp. 137-1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7.

Summerfield, J. & Oudtshoorn, L. (2014). 조직개발, 인사관리 관점에서 접근한 기업상담. [Counseling in the workplace]. (김계현, 왕은자, 권경인, 박성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1995에 출판).

48.

Wampold, B. E. (2000). Outcomes of individu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Empirical evidence addressing two fundamental questions.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 711-739). New York: Wiley.

49.

Wampold, B. E. (2007). Evidence based practice. 서울경기인천상담학회 초청 워크샵 자료집. 1월 13일. 서울. 서울대학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