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0696
이 연구의 목적은 Sullivan과 그의 동료들(2009)이 개발한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척도를 우리나라의 기업근로자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정델파이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남녀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2개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여(N=347, N=631) 구인타당도,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정델파이법을 통해 번안된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측정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고 국내 기업근로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3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측정문항은 원척도와 같이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 13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의 적합도가 적절하게 도출되어 이를 채택하였다. 셋째, 교차타당도 분석 결과 새로운 표본(N=631)에서 13개 문항의 측정모형 적합도가 양호하였으며 남녀 성별 집단에서도 동일한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 중 균형과 도전 인식에서 성별 집단의 잠재평균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한국판 칼레이도스코프 경력태도가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을 밝혔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scale developed by Sullivan et al. (2009) to measure the new career attitudes of Korean corporate employe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version of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measurement’s psychometric equivalence and contents validity was verified. Second,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measurement items consisted of three factors, equivalent to the original scale. Third,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13 items was confirmed with the new sampl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scale could be used in the male and female groups.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was significant in balance and challenge parameters.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is valid and reliable. Based on this resul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