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상사 공정성과 조직 지향 행동: 동일시와 상사의 조직 전형성의 조절된 매개모형

Supervisory Justice and Organization Target Behavio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Identification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초록

본 논문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공정성 인식에서의 상사 역할에 주목하여 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상사 공정성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 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는 것으로, 다중초점 공정성과 동일시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이 인식한 상사 공정성이 구성원의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OCBO)와 조직지향 반생산적 직무행동(CWBO)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사 공정성이 OCBO 및 CWBO와 유의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았으며, 구성원의 상사 동일시와 조직 동일시가 상사 공정성과 OCBO 및 CWBO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조직 전형성이 조직 동일시를 통한 상사 공정성의 간접적 효과를 조절할 것이라고 보았다. 연구 결과, 상사 공정성은 OCBO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CWBO와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사공정성과 OCBO, CWBO의 관계에서 상사동일시 및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의 경우 상사 공정성의 영향으로 조직 구성원이 조직에 동일했을 때 상사 공정성은 OCBO와 CWBO 모두와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성원이 상사에 동일시 했을때에는 상사 공정성이 OCBO와는 간접적인 정적 관계를 보이지만 CWBO에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으로 상사 조직 전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사의 조직 전형성은 조직 동일시를 매개로 한 상사 공정성과 OCBO 및 CWBO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OCBO를 향한 매개 효과는 정적으로 강화된 반면, CWBO를 향한 매개 효과는 부적으로 강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사 공정성이 조직에 대한 행동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동일시가 형성되는 대상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 때 상사의 조직 전형성이 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함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upervisory justice, OCBO, CWBO, Supervisory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상사 공정성, OCBO, CWBO, 상사 동일시, 조직 동일시, 상사의 조직 전형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ervisory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s the organization(OCBO)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owards the organization (CWBO), and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 based on the concept of identification and multifoci justice. Specifically, we assumed that supervisory justi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CBO and CWBO, and also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upervisory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Finally, we expected that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moderates the indirect effect of supervisory justice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 results showed supervisory justi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O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WBO. Also, when supervisory ident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y justice with OCBO and CWBO, supervisory justice has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O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WBO. On the other hand, wh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mediates, supervisory justice has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O and a significant indirec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WBO. Finally, the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of supervisory justice with OCBO and CWBO, based on th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pecifically, the mediation effect for OCBO was strengthened positively, and the meditation effect for CWBO was strengthened neg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differential effect according to the object in which identification is form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supervisory justice to behavior toward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Supervisory justice, OCBO, CWBO, Supervisory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상사 공정성, OCBO, CWBO, 상사 동일시, 조직 동일시, 상사의 조직 전형성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