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참고문헌을 해당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 사회적 산물임을 전제로 하여, 한국의 사회 과학분야의 참고문헌리스트에서 발생하는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의 동시공존현상을 연구자들의 지식생산의 논의과정에서 작동된 인용동기와 그 참고문헌의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국의 사회과학분야의 학술지에서 24종의 43부가 선정되어 321명(73.8%)의 저자들에게 연구채널과 인용동기가 서베이되었고, 이들의 11,358개의 참고문헌이 분석되었으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의 인용동기의 차이와 국외문헌의 인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참고문헌의 동시공존의 정도는 국외문헌이 국내문헌보다 1.9배 (65.3%)로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언어와 출판지 분포에서 영어(61.5%)-미국(50.4%) 우세성이 발견되었다. 2) 연구아이디어 획득의 정보원이자 연구자의 정체성 지표로서 작용된 연구채널은 상당히 국외채널 지향적(55.8%) 이었다. 3) 인용동기는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우세한 국외문헌의 인용동기는 개념적인 동기(20.7%)와 형식적 동기(16.0%)였다. 4) 국외문헌의 인용동기는 제 변인과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연구채널은 국외문헌의 다양한 인용동기를 예측하는 주효과임이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과제가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on the basis of a premise that reference lists are one of the social products, reflecting various social environments of their own society, was made as part of an attempt to explore the co-occurrence phenomenon of both Korean and Non-Korean literatures occurred within the Korean references. 321 authors (articles) of 43 issues of 24 Korean journals on Social Sciences were surveyed on research channels and citation motivations and their 11358 referenc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extent of the co-occurrence was that Non-Korean literatures were more 1.9 times (65.3%) cited than Korean ones and English (61.5%)-American (50.4%) predominancy was heavily found. 2) Research channel, worked as an indicator of the identity of researcher as well as the source of research ideas was most Non-Korean channel orientedness (55.8%). 3) Citation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depended on whether Korean or Non-Korean literatures and Non-Korean literatures were cheifly cited to be concetual motivations than other motivations. 4) Research channel among variables was worked as a main effect predicting major citation motivations on Non-Korean literatures. Finally, this study is very suggestive : 1) It might be a new approach and interpretation by adopting citation motivations to exlpore a processs of knowledge production of researchers 2) Partly, it prov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producted by Korean researchers to Non-Korean knowledge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 moti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