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시설이며,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학생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는 자율적이며, 창조적인 인재 양성을 강조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1년부터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설치 기준이나 지침 그리고 객관적인 모형에 의존하기보다는 학교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이 갖추어야 할 적정 규모와 공간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각급 학교의 현황을 고려하여 4개의 규모별 시설·설비 모형(A형, B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School libraries are one of the essential parts for high quality educatio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autonomous students who can solve problems in a self-directed wa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me into forcing the installation of school digital library since 2001. Als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prensented the Master Plan of School’s Activation in July 2002. In this situation, the reserch and discussion on effective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are very important. Thu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differentiated School’s sizes depending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ent status. This study is proposed 4 facility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based differentiated school’s sizes and designed A-type, B-Type model on individu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