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정보추출결과의 시각화 표현방법에 관한 이용성평가 연구

Usability Evaluation on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Extraction Output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5, v.39 no.2, pp.287-304
이지연 (연세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동적으로 추출된 정보를 시각화 브라우저를 통해 표현하고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이용성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특정 주제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 정보추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신문기사에서 의미정보를 자동추출하였고, 그 결과로 시각적으로 브라우즈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 이용된 정보추출시스템은 신문기사의 텍스트정보로부터 다양한 자연언어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개념-관계-개념의 형태로 표현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였다. 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각화 브라우저를 구현하였는데, 이때 인터페이스 부분은 쌍곡면형 정보시각화 시스템의 하나인 PersonalBrain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PersonalBrain을 이용하면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를 논리관계의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지식베이스 정보의 시각화 접근방법에 대하여 15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질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15명의 연구대상자로 하여금 시각화 브라우저를 이용하도록 하고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이용성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결과, 이용자들은 정보추출결과의 시각화 브라우저 이용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동시에 몇 가지 이용성 관련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keywords
Information Visualz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sability Evaluation, Qualitative Evaluation, 정보시각화, 정보추출, 이용성평가, 질적평가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visually browsing the automatically extracted information. A domain-independent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was use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news type texts to populate the visually browsable knowledge base. The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automatically generated Concept-Relation-Concept triples by applying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o the text portion of the news articles. To visualiz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base, we used PersoanlBrain to develop a visualization portion of the user interface. PersonalBrain is a hyperbolic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which enables the users to link information into a network of logical associations. To understand the usability of the visually browsable knowledge base, 15 test subjects were observed while they use the visual interface and also interviewed afterward. By applying a qualitative test data analysis method, a number of usability problem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identified.

keywords
Information Visualz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sability Evaluation, Qualitative Evaluation, 정보시각화, 정보추출, 이용성평가, 질적평가

참고문헌

1.

서은경, (2002.) 정보시각화에 대한 스킴모형별 비교 분석. ,

2.

이지연. , (.2001.) 키워드탐색과 비주얼 브라우징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

3.

Allen, M. , (2002) The Hype over Hyperbolic Browsers,

4.

Bederson, B. , (2003.) The Craf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Readings and Reflections., Morgan Kaufmann.

5.

Lynch, (8) The Technologies of Elec- tronic Imaging,

6.

(g.1987) An Invitation to Browse Designing Full-Text Systems for Novice Users The Canadian Journal for Information Science,

7.

Paik, (.2000.) CHronological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Syracuse University

8.

Paik, W, (2004) Extracting Legal Propositions from Appellate Decisions with Text Discourse Analysis Method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Springer-Verlag

9.

Santorini, (u.ofpenn.) Part-of-speech Tagging Guidelines for the Penn Treebank Project,

10.

Schank, (r.1972) A Theory of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11.

Sowa, Infor- 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 chine,

12.

Sager, Com- puter Man-agement of Narrative Data,

13.

Spence, R. , (2001.) Information Visualization, ACM Press.

14.

Ware, C. , (2004.) Information Visualization: Perception for Design., Morgan Kaufman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