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학년별 독서방식이 어린이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7, v.41 no.4, pp.251-271
조미아 (중랑구립면목정보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음독, 묵독, 다독,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의 독서방식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12개반의 전체 어린이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어린이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독서방식은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독서방식은 2학년의 경우에는 통독, 4학년과 6학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정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ading Method, Self-direc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독서방식, 자기주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rad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 “oral reading”, “silent reading”, “intensive reading”, “extensive reading”, “thorough reading”, “selective reading” - influenc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12 classes of 2nd, 4th, 6th-grade, 286 children of an elementary school. The influence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surveyed throug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and through questionnaire. Out of reading methods, “intensive read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ut of reading methods of 4th and 6th-grade children, “intensive reading”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out of reading methods of 2nd-grade children “thorough reading” had most influenc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eywords
Reading Method, Self-direc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독서방식, 자기주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참고문헌

1.

김매희, (1993) 성인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특성의 비교연구,

2.

김영미, (2003) SSR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읽기 주도성 신장 방안,

3.

김형, (2005) 자기주도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독해점검전략 연구,

4.

박한숙, (2002)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Ⅰ): 읽기 학습기술,

5.

배영주, (2006)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교학습의 가능성과 실현 조건의 탐색,

6.

소경희, (1998) 학교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7.

소경희, (1999)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와 실천전략 탐색,

8.

이경화, (2005) 국어교육: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학습독서 전략 연구,

9.

이단순, (2006)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변인에 관한 연구,

10.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11.

조미아, (2007) 독서방식이 아동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성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12.

주강식, (1998) 자기주도적 읽기 학습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13.

최재복, (2006) 자기주도적 독서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습관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14.

하옥선, (2003) 수준별 독서 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15.

현정숙, (1999)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16.

현정숙,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17.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the University of Georgia.

18.

Guglielmino, Long, Hiemstra, (2004) Historical Perspectives Series: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the United Stat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