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척도의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Dimensions of Self Efficacy Scale for Information Litera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9, v.43 no.4, pp.307-32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307
심원식 (성균관대학교)
안혜연 (성균관대학교)
김현수 (성균관대학교)
김성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자기효능감 개념은 Bandura가 이론화한 이후에 교육, 심리, 경영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어 왔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은 관련된 척도의 개발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는 문헌정보학 영역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어 정보문해 상황에서의 자기효능감을 보다 잘 표현하고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에 유일하게 제시된 척도인 터키의 연구자 Kurbanoglu의 ILSES 척도를 평가하였다. 7개 구성 요소 아래 40문항으로 만들어진 ILSES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400명이 넘는 서울 시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를 평가하였다. 분석의 결과 ILSES 항목들은 비교적 높은 내적 신뢰도를 보인 반면 Kurbanoglu의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과 상당히 다른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6개의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요인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탐색 및 이용의 독특한 경향을 보여주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출된 여섯 개의 요소에 대해 문헌정보학 전공자와 비전공자,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 평균값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척도개발,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요인분석, Scale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Self Efficacy, Factor Analysis, Scale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Self Efficacy, Factor Analysis

Abstract

The concept of self efficacy, originally theorized by Bandura, has been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education, psychology, and business. There has been steady effort to develop relevant scales to operationalize and measure self efficacy. This article reports on the results from an analysis of Kurbanoglu's ILSES (Information Literacy Self-Efficacy Scale), the only reported such scale in the area of information literacy. Over 400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o the ILSES survey consisting of 40 items grouped in six categories. The main analysis used was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included. However, the factors derived from the study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factors in the original study. Overall, these factors seem to reflect the heuristic nature of studen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patterns, favoring Internet resources and instant gratification.

keywords
척도개발, 정보문해, 자기효능감, 요인분석, Scale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Self Efficacy, Factor Analysis, Scale Development, Information Literacy, Self Efficacy, Factor Analysis

참고문헌

1.

고영만. 2005. ꡔ정보문해론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

김성환. 2007. ꡔ정보문해 교육이 학생들이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질적 연구 기반의 개량형 설문을 바탕으로-ꡕ.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김아영, 차정은. 2003.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ꡔ교육심리연구ꡕ, 17(2): 25-43.

4.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 (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분석. ꡔ유아교육연구ꡕ, 28(2): 169-191.

5.

김아영, 김미진. 2004. 교수효능감 척도 타당화. ꡔ교육심리연구ꡕ, 18(1): 37-58.

6.

김정희. 2006. 교사효능감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ꡔ영재와 영재교육ꡕ, 5(1): 5-22.

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8.

Bandura, A. 1989. “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action through internal standards and goal systems.” In L. A. Pervin (Ed.), Goals concepts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5. Hillsdale, NY: Erlbaum.

9.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10.

Benson, J., & Clark, F. 1982. A Guide for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6(12): 789-800.

11.

Comprey, A. L. 1988. “Factor analysis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in person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Journal of Cu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754-761.

12.

DeVellis, R. F. (2003). Scale Development.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3.

Erdem, M. 2007. “Self-efficacy levels of teachers in information and computer literacy.” World Applied Sciences Journal, 2(4): 399-405.

14.

Kurbanoglu, S. S. 2003. “Self-efficacy: a concept closely linked to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long learning." Journal of Documentation, 59(6): 635-645.

15.

Kurbanoglu, S. S., Akkoyunlu, B., & Umay, A. 2006. “Developing the information literacy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Documentation, 62(6): 730-743.

16.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7.

Stephens, P., & Shotick, J. (2002). “Re-evaluation of the computer self-efficacy model: Development and use of the business computer self-efficacy scale.” Issues in Information Systmes, 3: 590-596.

18.

Tabachni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NY: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