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사회에서는 창의적이고 자주적인 사람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자주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아 자주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도서관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매체센터로서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자주적 학습은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 매체센터로 운영될 때 가능하며 다양한 학습자료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클수록 창의적이고 자주적 능력이 향상된다고 판단된다.
A knowledge-based society values creative and independent individuals. This study depicts operational approaches to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ies as teaching/learning media center in order to support independent learning in relation to the way in which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CTL) improves learners' self-learning ab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eems to imply that self-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is possible only when school libraries are managed as teaching/learning media centers and that the more variety there is in learning materials and when more direct interaction exists, there is more creativity and self-learning abilities are achieved in the learning process.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 서울 : 문음사. 13-14.
강인애. 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 11(2).
강인애. 1998.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 교육월보 , 201: 40-43.
구병률. 1998. 평생교육과 학교도서관의 역할. 중등학교 도서담당교사직무 연수 과정 연수교재 . 제주도: 탐라교육원.
김용철. 2003. 교육정보관 운영의 이론과 실제 . 서울: 학문사. 17-19.
김용철. 1994.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김용철. 이병기. 2000.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네트워크 구성 및 미디어센터 모형개발 . 대전: 충청남도 교육청.
김용철 외. 1997. 학교도서관의 멀티미디어화에 관한 연구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김태형. 2001. 학교도서관 정책과 구축 방향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박영균 외. 200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서울: 학지사.
박영태, 현정숙. 2002.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230-231.
박선미. 1999. 구성주의적 지리수업의 설계 및 지원 환경의 구축: 도시 주제에 대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 , 32: 229-256.
박숙희. 염명숙. 2004.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 서울: 학지사.
변영계. 2009. 교수학습의 이해 . 서울: 학지사. 347-348.
변형제. 2009.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 학지사.
서울특별시 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손문철. 1981.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과 그 조직에 관한 고찰. 한사전문대 논문집 , 6: 125-129.
송기호. 2003.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이해와 실천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신군자. 2009. 학습사회와 교육의 사회학적 탐색 .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151-152.
심미자. 2001. 자기주도적 학습의 이해 . 서울: 열린. 120-123.
유양근. 2003.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4(2): 19-42.
유양근. 2004. 학교도서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5(2): 297-321.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7(1): 43-60.
이인표. 1998. 사회과에서의 신매체 활용. 사회과 교육 , 31: 213-237.
이화여자대학교. 2002. 21세기 교육 방법 및 교육공학 . 서울: 교육과학사.
임명숙, 박희숙. 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 서울: 학지사. 120-121.
전성연. 2001.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 서울: 원미사.
정재승. 1999.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지리학습. 제1회 지리과 현장교육 세미나 발표자료집 . 18.
조영남. 1998. 구성주의 교육학습관 . 서울: 교육과학사. 151-180.
최규학. 1998. 지리신문 활용을 통한 지리수업 방법-구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6-7.
서울특별시 교육청. 2002. 학교도서관운영편람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한상완 외. 2001. 지식기반사회의 학교도서관 정책방향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한윤옥 외. 2000. 지식정보시대의 학교도서관 활성화 정책 개발 .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함명식. 1999.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정보이용 교육과정 - 교과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3(3).
황윤한. 2006. 교수-학습 이론으로서 구성주의 초등교과교육연구. 한국교원대학교초등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집 , 2: 1-34.
허예순. 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33-37.
이경화 역. 2006. 교수학습의 이해와 실제 .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20-123.
Margaret E. Gredler. 2004. Learning and Instruction - Theory into Practice. New Jersey: Prentice Hall.
AASL & AECT. 1998. Information Power :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Broks. J. G., & Brooks. M. G.. 1993. The Case for Constructivisr Classrooms. ASED. 126-145.
Duffy. T. M., & Cunningham. D. J. 1996. Constructivism: Implication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instruction. In D. H.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 Macmillan.
G. C. 1996. “Using the Internet as a tool in a resource-based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36(4): 52-56.
Jonassen D. H. ed. 1996.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 Macmillan.
Lebow. D.. 1993. “Constructivist values for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five principles toward a new mindse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1(3): 4-16.
Savery. J.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 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