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정보자원의 유형별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공공도서관의 수적 증가와 함께 디지털 정보원을 매개로 한 정보서비스의 고도화에 있어서도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현재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자원은 주로 디지털자료실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소극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디지털 정보원을 활용한 서비스도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콘텐츠에서 찾고자 하였다. 시설투자에 비하여 적정한 규모를 확보하지 못한 정보자원 측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에서 디지털 정보원을 수집, 관리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콘텐츠 측면의 요소들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 각각의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연구와 해외 주요 공공도서관 사례로부터 정보자원에 해당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서베이를 거친 후 도출된 정보자원 요소들과 중요도를 조사하여 제안함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콘텐츠 구성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rtray the current condition of digital reading rooms in public libraries in specific terms of information resource constituencies. With the growth in number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emphasis was also put on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digital reading rooms in public libraries. However,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se digital reading rooms are merely traditional reading rooms with equipment.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for the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types of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The focus was especially put on investigating the quality and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of electronic resources. Data for this case study was collected from four relatively big public libraries in three citi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document reviews an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and patrons. The study found that digital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put on a new stage, especially in terms of education and reliable information for the regional community. The study also adde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김영기. 2002. 디지털 자료실 구축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인터넷 콘텐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3(3): 153-171.
김용근. 2006.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봉사: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7(3): 265-287.
문성빈, 김판준, 이미경. 2009.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6(1): 321-350.
서태설, 장덕현. 2008. 도서관을 위한 디지털 포맷 선정 전략 연구. 정보관리연구 , 39(3): 1-21.
오경묵, 노영진. 2003. 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0(3): 261-276.
오경묵. 2004.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회․문화적 측면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1(4): 49-65.
문화관광체육부. 2009. 문화정책백서 . 서울: 문화관광체육부.
정보통신부. 2003.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조성사업 . [서울]: 정보통신부.
Bagellini, Maria L., & L. Bordoni. 2001. “The role of the liobrary in a new learning scenario." The Electronic Library, 19(3): 153-157.
Rebecca R. Brumley. 2009. Managing Electronic Collection Management Forms, Policies, Procedures, and Guidelines Manual. New York: Neal Schuman.
Joan. E. Conger. 2004. Collaborative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From Acquisitions to Assessment.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Gregory, Vicki L. 2006. Selecting And Managing Electronic Resources: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New York: Neal Schuman.
BPL Homepage. [online]. [cited 2010. 10. 19]. <http://www.bpl.org/>.
SFPL Homepage. [online]. [cited 2010. 10. 19]. <http://sfpl.org/index.php?pg=0000000301>.
IPL Kidspace. [online]. [cite 2010. 10. 19]. <http://www.ipl.org/div/kidspace/>.
LAPL Homepage. [online]. [cited 2010. 10. 19]. <http://www.lap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