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upon its variety and specialties, Korean food has the potential power to become globalized, and a national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global competitiveness. In this process, a proper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bout Korean foods should be given a prior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status and case studies of Korean foods in Korean libraries, to understand how much Korean foods are represente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what should be improved, and to suggest a modified expansion of DDC 22. In so doing, an attempt is made to provide some evidences of the revision of DDC 22 as well as useful practices of modified DDC 22 in Korean libraries.
강인희. 1987. 韓國의 맛 .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경미, 김경임, 김상연, 안선정. 2005. 푸드 스타일링 . 서울: 교문사.
김정현, 강명수. 2008. KDC 제4판 식품영양학 분야의 수정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9(4): 171-188.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2: 서울․경기도 . 파주: 교문사.
방신영. 1957.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 서울: 장충도서출판사.
이미화, 정연경. 2010.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2): 117-137.
이민아. 2008. 한식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한식 세계화 비젼 및 전략안. [online]. [cited 2010.8.8]. <http://www.visitkorea.or.kr/kor/tt/knowledge_db/tour_industry_info/seminar_forum/content/627280_binary2_1.pdf>.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 서울: 신광출판사.
정연경, 최윤경. 2010.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1): 43-57.
한식재단 홈페이지. <http://www.hansik.org/>.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1989. 한국의 전통음식 . 서울: 교문사.
Juvan, Simona, Bartol, Tomaz, & Boh, Bojana. 2005. “Data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in newly-emerging scientific fields.” Online Information Review, 29(5): 438-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