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were done: 1) by clarifying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its significance as “Daejanggyeong” produced to expel the Kitan was more clearly explained; 2)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o provide evidence of the artistic and creative features of its engraving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ebo Tripitaka made in China; and 3) its structure was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a systematic bibliography. It was found that since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contained all the earlier lists of Buddhistic scriptures in China(and individual scriptures were thoroughly examined and included into its content since the reign of King Munjong), it had a systematic bibliographical significance demonstrated by its comprehensive and cumulative nature.
開元釋敎錄. 『大正新修大藏經』, 제55권. 東京: 大正新修大藏經刊行會, 1977.
『高麗史』.
『高麗史節要』.
김기화, 이재영. 2010. 南禪寺 所藏 初雕大藏經의 形態的 特徵. 『古印刷文化』, 17: 91-132.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
김두종. 1974. 『한국고인쇄기술사』. 서울: 탐구당.
김성수. 2006. 고려 초조대장경 분류체계 및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도서관․정보학회지』, 37(1): 405-428.
김성수. 2010. 고려대장경 조조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佛敎硏究』, 32: 133-165.
김성수. 2011.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75-98.
김영미. 2002. 11세기 후반 - 12세기 초 고려․요 외교관계와 불경 교류. 『역사와 현실』, 43: 47-77.
金潤坤. 2002.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
남권희. 2010. 『日本 南禪寺 所藏 高麗 初雕大藏經 調査報告書』. 서울: 고려대장경연구소.
文暻鉉. 1991. 高麗大藏經 雕造의 史的 考察. 『(李箕永博士 古稀紀念論叢) 佛敎와 歷史』, 489-529.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민현구. 1978. 고려의 대몽항쟁과 대장경. 『한국학논총』, 1: 39-54.
석혜영, 이재구. 2010. 南禪寺 所藏 「御製秘藏銓」 硏究. 『古印刷文化』, 17: 133-174.
『宋史』. <高麗傳>.
守其.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안계현. 1975. 대장경의 조판. 『한국사』, 제6권: 19-69.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우진웅, 임기영. 2010. 남선사 소장 초조대장경과 고려본 현황. 『古印刷文化』, 17: 47-90.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
義天. 新編諸宗敎藏總錄 序文. 『大覺國師文集』 卷1.
義天. 諸宗敎藏雕印疏. 『大覺國師文集』 卷14.
義天. 代宣王[宣宗]諸宗敎藏彫印疏. 『大覺國師文集』 卷15.
李奎報. 大藏刻版君臣祈告文(丁酉(1237)年行). 『東國李相國集』 第25卷. 雜著. 18-20(張).
이기영. 1976. 고려대장경 그 역사와 의의. 『高麗大藏經』, 제48권: 1-17. 서울: 동국대학교 역경원.
이승재. 2006. 『50권본 「화엄경」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병욱. 2011. 중국역경사. 『역경학 개론』, 129-180. 서울: 운주사.
장애순 외. 2006. 고려대장경의 편찬 배경. 『고려대장경의 연구』, 19-58.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정재영. 2010. 南禪寺 所藏 高麗 初雕大藏經의 角筆資料에 대하여. 『고인쇄문화』, 17: 365-404.
천혜봉. 2011. 초조대장경. 『천년의 기다림, 초조대장경』, 221-244. 서울: 성보문화재단.
청주고인쇄박물관. 2010. 『고인쇄문화』, 제17집. 청주: 청주고인쇄박물관.
최종남 외. 2011. 『역경학 개론: 불전(佛典)의 성립과 전승』. 서울: 운주사.
최연주. 2009. 符仁寺藏 高麗大藏經 조성과 체제. 『제1발표: 초조대장경의 성립 배경과 성격』, 1-11.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학술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호림박물관. 2011. 『천년의 기다림, 초조대장경』. 서울: 성보문화재단.
Max, Loehr. 1968. Chinese Landscape Woodcuts. Boston: Harvar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