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C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1, pp.289-309
https://doi.org/10.4275/KSLIS.2012.46.1.289
양병훈 (숭의여자대학)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서울시 소재 142기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현황과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 도서관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공․사립 모두 자료대출반납, 문화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프로그램 또한 공․사립 모두 과반수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기관들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문화프로그램 수는 공․사립 모두 1~3개이고, 그 유형은 문화교양과 독서관련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는 공립은 행정직원, 사립은 도서관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운 점은 공․사립 모두 예산과 인력확보로 조사되었다.

keywords
Small Library, Cultural Program, Cultural Activity, Reading Culture, Local Culture, Small Library, Cultural Program, Cultural Activity, Reading Culture, Local Culture,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문화 활동, 독서문화, 지역문화

Abstract

In an attempt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revitalize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is study surveyed 142 small libraries based in the Seoul. Two most important function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found to be the loan/return of materials and cultural programs; over 50% of small libraries are operating cultural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institutions that did not operate the cultural program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Both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operating one to three cultural programs, and their types varied from cultural refinement to reading-related programs. There was a higher rate of answers stating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operating cultural programs for public small libraries were administrative personnels, while the chief librarian was the person in charge for private small libraries. The hardships both types of libraries encountered were found to be budget-related and on securing manpower.

keywords
Small Library, Cultural Program, Cultural Activity, Reading Culture, Local Culture, Small Library, Cultural Program, Cultural Activity, Reading Culture, Local Culture,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문화 활동, 독서문화, 지역문화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2007. 『작은도서관 선진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3.

김미선. 2010. 『작은도서관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세훈 외.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김승환. 2010. 작은도서관의 운동과 현황. [online]. [cited 2011.12.26].<http://blog.daum.net/alskalsk/8989063>.

6.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140(3): 10-15.

7.

김홍렬. 2010.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1(1): 77-98.

8.

문화체육관광부. 2007.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9.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0.

유병장. 2007.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안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2007 작은도서관 활성화 추진 워크숍 사례발표』, 77-85.

11.

윤명희 외. 2011. 『소통과 협력으로 성장하는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12.

이경민. 2003.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27-151.

13.

정현태. 2006. 작은도서관 조성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1: 217-253.

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작은도서관(문고포함)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5.

홍미선. 2008. 『김해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16.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19-244.

17.

Champ, P. A., Bishop, R. C., Brown, T. C., & McCollum. D. W. 1997. “Using donation mechanisms to value nonuse benefits from public good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3(2): 151-162.

18.

Holt, G. E., Elliott, D., & Moore, A. 1999. “Placing a value on public library services.” Public Libraries, 38(2): 98-108.

19.

Jennifer, Rowley, & Dawes, Jillian. 1999. “Customer loyalty: A relevant concept for libraries.” Library Management, 20(6): 345-351.

20.

Marry, J. Lynch. 1978. “Educational, cultural and recreational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y for adults.” The Library Quarterly, 48(4): 476-487.

21.

Thrasher, Ferry A. 2000. “Branch library development in Cumberland Country, North Carolina.” New Library World, 101: 309-3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