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3, v.47 no.2, pp.25-4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25
이미영 (중앙대학교)
남영준 (중앙대학교)

초록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ural Communities, Local Library, School Library, Uri-school Communities Library, Relationship of Public Library, Relationship of School Library, 지역사회, 지역도서관, 학교도서관, 우리학교마을도서관, 공공도서관연계, 학교도서관연계

Abstract

South Korea has fewer public libraries than other developed nations of OECD. This calls for a more diverse role of school libraries in the geographically isolated areas. School libraries should provides services for not only its students and faculty, but also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as a part of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needs for an expanded role of school librari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necessary factors for school libraries to provide services to their local residents. Two things should be identified for this research. First, we should confirm the necessity of policies that provide librar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of school libraries. Second, we should propose a way to have the libraries as a part of cultural community where meet the information and cultural demand of their local residents. The study surveyed users, school principals and working-level staff members of cultural communities in order to study the two questions. These groups were from Uri-school Village Library, which is supported by the NHN Culture Foundation. Through the survey, the research confirmed the need for a consistent outside assistance, job training, open door policy for local residents and diverse library services in order for school libraries to serve their local community.

keywords
Rural Communities, Local Library, School Library, Uri-school Communities Library, Relationship of Public Library, Relationship of School Library, 지역사회, 지역도서관, 학교도서관, 우리학교마을도서관, 공공도서관연계, 학교도서관연계

참고문헌

1.

강경원. 2011. 학교도서관 개방에 대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디지틀도서관.., 61: 86-120.

2.

곽철완. 2007.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37-352.

3.

권은경,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현장 지원 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225-248.

4.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7-31.

5.

김하정. 2012. 지역문화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개방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디지틀도서관.., 67: 19-39.

6.

남영준, 최성은, 김규환. 2009.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 이후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60.

7.

송기호. 2009.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335-353.

8.

신지연, 김유승. 2012.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277-297.

9.

이경민. 2004.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도서관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95-117.

10.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03-223.

11.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353-380.

12.

정동열, 김성진. 2002.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5-28.

13.

조미아. 2009.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93-516.

14.

한상완. 2006.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and the Promotion of Read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21-31.

15.

한국도서관협회. 2012.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구축. 한국도서관협회.

16.

e나라지표. 공공도서관현황. 2013년 4월 1일. [online] [cited 2013.4.30]. <http://www.index.go.kr/>.

17.

Auld, H. 2002a.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facilities: Opinions, case studies, and questions to consider, Part 1.” Public Libraries, 41(5): 248-255.

18.

Benstead, Kerry, Spacey, Rachel, & Goulding. Anne. 2004. “Changing public library service delivery to rural communities in England.” New Library World, 105(11-12): 400-409.

19.

Bundy Alan L., & Amey, L. J. 2006. “Libraries Like No Others: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Progress of Joint Use Libraries.” Library Trends, 54(4): 501-518.

20.

Everhart, N. 2003. “Combined school-public libraries.” Knowledge Quest, 32(1): 58-61.

21.

Haggis, S., & Goulding, A. 2003. “Books to rural users: public library provision for remote communities.” New Library World, 104(3): 80-93.

22.

Kluever, Joanna, & Finley, Wayne. 2012. “Making Connections: Challenges and Benefits of Joint Use Libraries as Seen in One Community.” School Libraries Worldwide, 18(1): 48-55.

23.

Nichols, L. 2002.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ublic Libraries, 41(6): 312-314.

24.

McNicol, Sarah. 2006. “What Makes a Joint Use Library a Community Library?” Library Trends, 54(4): 519-534.

25.

Pearlmutter, Jane, & Nelson, Paul. 2011. “When Small is All: The Successful Small Public Library Director Wears Many Hats Smartly.” American Libraries, 42(1-2): 44-47.

26.

QUEENSLAND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1996.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Joint-use School-Community Libraries, Queensland.

27.

Special Library Association, Dual Use Libraries. [online] [cited 2013.4.30]. <http://www.sla.org.uk/dual-use-libraries.php>.

28.

Villag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online] [cited 2013.4.30]. <http://vil.marbleheadschools.org/Library/library%20polic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