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서인식 조사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Library User Priva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3, v.47 no.3, pp.73-96
https://doi.org/10.4275/KSLIS.2013.47.3.073
노영희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설문응답자의 의견, 도서관 기록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정도,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서 및 도서관의 노력, 그리고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 교육의 필요성 등 크게 네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들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문제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높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서관의 어떤 기록과 어떤 업무가 이용자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어느 정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도서관 이용자 프라이버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지하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도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도서관프라이버시, 이용자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 침해, 도서관 기록, Library Privacy, User’s Privacy, Privacy Violation, Library Records, Library Privacy, User’s Privacy, Privacy Violation, Library Rec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ibrarians view library user privacy. To this end, a four-part survey was conducted: respondents’ opinions about the privacy of library users, the degree to which library records violate the users’ privacy, the role libraries and librarians fulfill to ensure user privacy protection, and librarians’ need for privacy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librarians were very aware of privacy issues, but they perceived that library users’ privacy awareness was not high. In particular, they had little knowledge of what library records or which library tasks might have the potential to violate users’ privacy. In addition, awareness efforts of librarians to ensure user privacy was very low. On the other hand, the need for library user privacy educational programs was shown to be very high,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also relatively high.

keywords
도서관프라이버시, 이용자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 침해, 도서관 기록, Library Privacy, User’s Privacy, Privacy Violation, Library Records, Library Privacy, User’s Privacy, Privacy Violation, Library Records

참고문헌

1.

강순희. 2003. 사서 및 정보서비스직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시민과 도서관.., 4(4): 20-59.

2.

김기문..2003. 미국의 애국법(Patriot Act)과 도서관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시민과 도서관.., 4(4): 60-71.

3.

김혜선. 1994. ..사서직 윤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노영희. 2012a. 디지털도서관서비스기록과 이용자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3): 187-214.

5.

노영희. 2012b. 도서관의 이용자맞춤형서비스와 프라이버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53-384.

6.

노영희. 2012c. 도서관의 개인정보보호정책 개발 및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207-242.

7.

이미화. 2006..프라이버시 및 도서관 기록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사대도협회지.., 7: 225-240.

8.

임리사, 변나향, 최재필, 임승빈. 2010. 대학도서관 열람실 시각적 프라이버시와 좌석선호도의 관계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5): 139-147.

9.

Adams, Helen R. 2002. “Privacy & Confidentiality: Now More Than Ever Youngsters Need to Keep Their Library Use Under Wraps." American Libraries, Nov.: 44-48.

10.

Fifarek, Aimee. 2002. “Technology and Privacy in the Academic Library." Online Information Review, 26(6): 366-374.

11.

Klinefelter, Anne. 2007. “Privacy and Library Public Services: Or, I Know What You Read Last Summer.” Leg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26(1-2): 253-279.

12.

Sturges, Paul, Eric Davies, James Dearnley, Ursula Iliffe, Ursula Iliffe, Charles Oppenheim, & Rachel Hardy. 2003. “User privacy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of policies and preparedness.” Library Management, 24(1-2): 44-5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