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Chinese Language Teacher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a Main Focus on Students' Degree of Interest in Learning at S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2, pp.65-88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06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Chinese language teacher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intended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class in operating collaborative classes of PB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ethods to raise problems by BPL at the library of S High School, class content by each round of class, and cases of students’ achievements were presented.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est in subjects on 101 students in their sophomore year who had participated in PBL cla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students’ learning-related desire to accomplish, executive ability of learning, and interes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keywords
문제중심학습, 사서교사, 송곡여고, 중국어,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협력수업, 협동학습, 교과흥미, PBL, Problem Based Learning, Teacher Librarian, Songgok Girl’s High School, Chinese, School Library, Collaborative Class,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Team-Teaching, Cooperative Lesson, Collaborative Classes, Interest in Subjects

Reference

1.

권재옥. 2007. STAD 협동학습에서 집단보상 방법과 보상의 제거가 성취목표 성향에 따라 학업성취도 및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2.

기민진, 송기호. 2013.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 123-142.

3.

박동열 외. 2006.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38(4): 63-87.

4.

박수경. 2009.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 및 효과 분석. 科學敎育硏究誌 , 33(2): 353-364.

5.

송기호. 2010. 도서관 활용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에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2): 111-127.

6.

윤혜림. 2006. PBL 수업에서 학습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7.

윤회정. 2009.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8.

이덕주. 2014. 송곡여자고등학교 열린도서관 참교육실천 보고서 . 제13회 전국참교육실천대회. 2014년 1월 14일, 오산: 한신대학교: 4-11.

9.

이덕주, 조미아. 2012.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을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3): 231-251.

10.

이병기. 2007.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4):45-65.

11.

이지경. 2010.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Learning: PBL)의 통일교육 방법론 연구: 고등학교 사회과 정치학 통일교육을 중심으로. 서석사회과학논총 , 3(2): 95-133.

12.

정진수. 2014.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1): 153-171.

13.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 서울: 학지사.

14.

조연순 외. 2003. 문제 중심 학습(PBL)을 위한 문제개발 절차 연구. 교육과정연구 , 21(3):215-242.

15.

최성환. 2013. 학교도서관 협력수업 사례 연구. 디지틀 도서관 , 71: 53-69.

16.

허난. 2009.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과교육학과.

17.

허난, 강옥기. 2010.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 20(3): 255-274.

18.

Barrows, H. S. 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cine.

19.

Barrows, H. S. and Tamblyn, A.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

20.

Lou, Shi1 and Liu. 2011.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behavioral model of STEM in PBL.”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 Design Education, 21(2): 161-183.

21.

송곡여고 3회 프로젝트 발표대회. 양귀비발의 진실. [online] [cited 2014. 4. 1.]<http://www.youtube.com/watch?v=-2c9lE7llS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