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rvice Image of Public Library: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3, pp.265-28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265
윤혜영 (중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지역대표도서관 이용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대해 신뢰성과 공공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비스충족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절차품질이 높고, 인적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중 긍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신뢰성의 ‘유용한 정보제공’, 공공성의 ‘신분에 상관없는 처리’, 유형성의 ‘편리한 시설’이었으며, 부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접근가능성의 ‘좋은 교통여건’, 응답성의 ‘신속한 최신정보제공’, 유형성의 ‘쾌적한 시설’이었다. 넷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이미지,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서비스 품질, 도서관 이미지, Image, Public Library, Service Image, Service Quality, Library Image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rvice image of the public library was investigated to the users of the public library, and basic data to improve the service image of the public library was also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public library service image, survey was conducted to 143 users of regional central librar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reliability and publicity was the most highly rated and service satisfaction was the least highly rated. Second, when it was expressed with service quality image,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Third, reliability-providing useful information, publicity-fair treatment, and tangibles-convenient facility had positive images. On the other hand, access-good traffic condition, responsiveness-providing prompt new information, and tangibles-comfortable facility had negative images. Fourth, higher age group had lower mean value from teens to sixties.

keywords
이미지,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서비스 품질, 도서관 이미지, Image, Public Library, Service Image, Service Quality, Library Image

참고문헌

1.

김균. 2009. 고용지원센터 이미지 조사 및 향상방안 연구 .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

김찬아, 조삼섭, 신호창. 2006. 정부기관의 이미지 측정 개념과 절차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인적자원부를 대상으로. 광고연구 , 73: 43-60.

3.

박상근, 박주석, 조현양. 2013.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3): 295-320.

4.

박주석, 박상근, 조현양. 2013.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 모델 개발: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4): 275-294.

5.

서영민. 2005. 사서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6.

이은철, 김갑선. 2002. 사서직의 직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6(3): 25-47.

7.

전창호, 김선호. 2008. 영화에 나타난 사서의 이미지 분석. 정보관리연구 , 39(1): 151-176.

8.

정주희. 2006. Q 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사서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하봉준. 1999.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이미지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 66: 49-73.

10.

Anderson, P. F. and Bennette, P. R.(ed). 1988. Dictionary of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1.

Balling, Gitte, Henrichsen, Lise Alsted and Skouvig, Laura. 2008. “Digital Reading Groups:Renewing the Librarian Image.” New Library World, 109(1/2): 56-64.

12.

Hariff, S. and Rowley, J. 2011. “Branding of UK Public Libraries.” Library Management, 32(4/5): 346-360.

13.

Herbig, P., Milewicz, J. and Golden, J. 1994. “A Model of Reputation Building and Destruction.”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1: 23-31.

14.

Hood, David and Henderson, Kay. 2005. “Branding in the United Kingdom Public Library Service.” New Library World, 106(1/2): 16-28.

15.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15-19.

16.

Luthmann, Abigail. 2007. “Librarians, Professionalism and Image: Stereotype and Reality.”Library Review, 56(9): 773-780.

17.

McNabola, A. 2008. Increasing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MLA Research Briefing 4. [online] [cited 2014. 7. 3.] <http://www.mla.gov.uk>

18.

Morgan, R. M. and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19.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20.

Scott, W. A. 1966.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s.” In Kelman, H. C.(ed.)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1.

Walten, Graham. 2008.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Library Management 5: Branding.”Library Management, 29(8/9): 770-776.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