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교양교육으로서 정보활용능력 교육 위상 강화 방안

An Alternative for the Enrich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 a General Educ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4, pp.51-7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51
한만성 (전북대학교)

초록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활용능력과 수사학의 융합을 통해 정보활용능력 교육이 대학에서 필수적인 교양과목의 요건을 갖출 수 있는지를 논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의 성격을 1) 발견법을 이용한 상황적 활용능력, 2) 탐구를 중시하는 과정 중심 활용능력, 3) 편재성에 적합한 활용능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이 학제성을 띠는 민주시민의 핵심 교양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에는 기술 이용 중심의 방법도 있는 등 다양성이 존재하는 만큼 이 부분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으로는 ‘문제 발견을 위한 상황적 질문하기’, ‘학습론 책 선별해서 읽고 서평 쓰기’, ‘실제 도서관 탐방 보고서 쓰기’, ‘민주시민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hetoric, General Education, Meta Study, 정보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사학, 교양교육, 학습론

Abstrac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merging of Information Literacy and rhetoric will be able to have essential elements for being a general education subject in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 of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cy (RIL) is organized as follows. Situated literacy using heuristic method, process oriented literacy attaching importance to research, and literacy relevant to ubiquitous environment. So, it is argued that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te citizenry is essential for a modern democratic society. As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an be various, for example, technology oriented instruction is needed to be compared. For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RILI program, ‘asking situated questions to discover problem’, ‘selecting and writing review of meta study books’, and ‘writing visiting report of library’, and ‘instruction of information ethics for democratic citizens’ have been proposed.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hetoric, General Education, Meta Study, 정보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사학, 교양교육, 학습론

참고문헌

1.

강혜영. 1998. 서지교육에서 사서-교수의 파트너쉽 구축에 관한 연구. 서지학 연구, 16: 183-210.

2.

고영만. 2010. 정보문해론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

김상봉, 서경식. 2007. 만남: 서경식 김상봉 대담 . 서울: 돌베개.

4.

도정일. 2014. 쓰잘데없이 고귀한 것들의 목록 . 서울: 문학동네.

5.

박만엽. 2010. 공학인을 위한 수사학. 철학탐구, 27: 165-193.

6.

박성창. 2000. 수사학 . 서울: 문학과지성사.

7.

박재윤. 2014. 혁신지식: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9가지 지혜 . 서울: 한국경제신문.

8.

배경재. 2014. 대학생의 과제해결과정 중 정보적합성 판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189-206.

9.

손동현. 2007.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교양교육연구, 1(1): 107-123.

10.

손동현. 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5-22.

11.

손동현. 2010. 교양교육에서 ‘레토리케’ 교육의 위상 및 의의. 교양교육연구, 4(1): 21-40.

12.

송기호. 2011. 국가수준 교육 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2(2): 29-50.

13.

오의경. 2013.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385-406.

14.

이영훈. 2005. 의사소통: 수사학의 소개. 가정의학회지, 26(11) 별책: 442-445.

15.

이인식 외. 2014. 통섭과 지적 사기: 통섭은 과학과 인문학을 어떻게 배신했는가 . 서울: 인물과사상사.

16.

이재원. 2014. 한국에서의 수사학 연구사 Ⅰ. 수사학, 20: 189-231.

17.

이준웅. 2011. 말과 권력: 레토릭에서 의사소통 민주주의로 . 서울: 한길사.

18.

장대익. 2013. 인간에 대하여 과학이 말해준 것들 . 서울: 바다출판사.

19.

한글논어 . 2012. 이을호 옮김. 서울: 올재.

20.

한만성. 2011.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117-133.

21.

Aristote. 1991. Rhétorique. traduction par P. Vqnhemelryck. Paris: le livre de poche.

22.

Aristote. 2004. Rhétorique Livre Ⅰ. 이종오 옮김. 2009. 수사학 Ⅰ . 서울: 리젬.

23.

Case, Donald Owen. 201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3rd ed. Bingley: Emerald.

24.

Fischer, Ernst Peter. 2001. Die andere bildung: was man von den Naturwissenschaften wissen soll. 김재영 외 옮김. 2006. 또 다른 교양: 교양인이 알아야 할 과학의 모든 것 . 서울: 이레.

25.

Gadamer, Hans-Georg. 1975. “Rhetorik, Hermeneutik und Ideolgiekritik. Metakritische Erörterungen zu Wahrheit und Methode.” In Hermeneutik und Ideolgiekritik. 3e. Hg. K.-O. Apel. Frankfurt S: 57-82. 재인용. Ueding, Gert. 2000. Moderne Rhetorik: Von der Aufklärung bis zur Gegenwart. 안미현 옮김. 2010. 수사학의 재탄생: 계몽주의에서 현대까지 .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6.

Gigerenzer, Gerd. 2014. Risk Savvy. 강수희 옮김. 2014. 지금 생각이 답이다 . 서울: 추수밭.

27.

Han, Byung-Chul. 2009. Duft der zeit: ein philosophischer essay zur kunst des verweilens. 김태환 옮김. 2013. 시간의 향기 . 서울: 문학과지성사.

28.

Han, Byung-Chul. 2012. Transparenzgesellschaft. 김태환 옮김. 2014. 투명 사회 . 서울: 문학과지성사.

29.

Norgarrd, Rolf. 2003.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Contribution to a Concept."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3: 18-24.

30.

Norgarrd, Rolf. 2004.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in the Classroom: Pedagogical Enactments and Implication."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4: 220-226.

31.

Qunitilien, Institution oratoire, Budé, 7vol. 재인용. Reboul, O. 1989. La Rhétorique. 박인철옮김. 1999. 수사학 . 서울: 한길사.

32.

Selber, Stuart A. 2004. Multiliteracies for a digital ag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33.

Spitzer, Manfred. 2012. Digitale demenz. 김세나 옮김. 2013. 디지털 치매 . 서울: 북로드.

34.

Kato, Shuichi, Seo Kyung Sik and Norma Field. 2005. 教養の再生のために――危機の時代 の想像力 . 이목 옮김. 2007. 교양, 모든 것의 시작 . 서울: 노마드북스.

35.

Kuo, Chang Shiang hua. 2002. 中國人史綱 . 김영우 옮김. 2014. 백양중국사 1 . 서울: 역사의 아침.

36.

Ueda, Masahito, 2013. 東大物理学者が教える「考える力」の鍛え方 . 정지영 옮김. 2014. 도쿄대 물리학자가 가르쳐주는 생각하는 법 . 서울: 한스미디어.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