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1, pp.149-172
https://doi.org/10.4275/KSLIS.2015.49.1.149
이호신 (한성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keywords
내러티브 탐구, 스토리텔링 해석학, 질적 연구, 문헌정보학, Narrative Inquiry, Storytelling, Hermeneutics, Qualitative Research,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 or 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do this, I discuss the power and possibility of storytelling as a epistemological method of social science. Later, I look into turn to narrative in western scholarly traditions. And then, I introduced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inquiry as a subject and a methodology of research. I compare to another research methodology, ethnogra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At last, I reviewed the literature which is conducted by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keywords
내러티브 탐구, 스토리텔링 해석학, 질적 연구, 문헌정보학, Narrative Inquiry, Storytelling, Hermeneutics, Qualitative Research,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참고문헌

1.

곽영순. 2009.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경기도: 교육과학사.

2.

곽인근. 2010.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online] [cited. 2014. 12. 31.]<http://cartoon.media.daum.net/webtoon/view/yourlibrary>

3.

김도연. 2005. 십오야월. 경기도: 문학동네.

4.

김대현. 2006. 내러티브 탐구의 이론적 기반 탐색. 교육과정연구, 24(2), 111-134.

5.

신경림.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

염지숙. 2003.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 119-140.

7.

오강남. 1999. 장자. 서울: 현암사.

8.

윤성희. 2004. 거기, 당신. 경기도: 문학동네.

9.

은승완. 2013. 도서관 노마드. 서울: 문학사상.

10.

이호신. 2012.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법학전문사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1.

이정은. 2014. 내러티브 분석의 이론과 동향: 영미권 사회언어학, 담화 연구의 주요 논의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엮음. 서울: 박이정, 15-41.

12.

임석진 외. 2009. 철학사전. 서울: 중원문화.

13.

정대성. 2014. 인문-사회과학의 핵심 주제로서의 ‘서사’의 의미와 독일철학에서의 연구동향.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엮음. 서울: 박이정, 65-89.

14.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15.

Clandinin, D. J. et al. 2007.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16.

Clandinin, D. J., and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7.

Connelly, F. M., and Clandinin, D. J. 1999. Shaping a professional identity: stories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8.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Inc. 2nd ed.

19.

Denzin, N. K. 1989. Interpretive biography. Newbury Park, CA: Sage.

20.

Denzin, N. K., and Lincoln Y. S. 2002. Collecting and interpreting qualitative materials.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2nd ed.

21.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 Books. 강윤중 옮김. 1995. 경험과 교육. 서울: 배영사.

22.

Farmer, L. S. J. 2004. Narrative Inquiry as a assessment tool: A Course case study. Journal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45(4), 340-51.

23.

Flick, U. 2002. Qualitative Sozialforsching. Hamburg: Rowohlt Taschenbuch. 임은미 외 역. 2009. 질적 연구방법. 서울: 한울아카데미.

24.

Frye, Julie Marie. 2014. Occupational Vulnerability: A Study of Novice School Librarians.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25.

Kimmel Su. 2013. Stone Soup: A story about using story for research. School Libraries Worldwide, 19(2), 1-11.

26.

Jones, S. A. 2010. The Occupational Choice of School Librarians." Library Trends, 59, 21.

27.

MacIntyre, A. 1981.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8.

Polkinghorne, 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Alban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강현석 외 역. 2009.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서울: 학지사.

29.

Ricouer, P. 1984. Time and Narrative.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김한식. 이경래 역. 1999. 시간과 이야기 1, 2. 서울: 문학과지성사.

30.

Riessmann, C. K. 1993. Narrative Analysis. London: Sage. 김원옥 외 역. 2005. 내러티브분석. 서울: 군자출판사.

31.

Sandford, Deborah W. 2013.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Novice Library Media Specialists. Doctoral Dissertations, Georgia State University.

32.

Stephanie, A. J. 2010. The Occupational Choice Of School Librarians." Library Trends, 59, 166-18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