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에 대한 이용자의 현재 사용 경험과 실제 기기를 활용한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심층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각 10명씩 총 20명을 임의 선정하고 심층면담 및 전자책 리더기 실험방식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실험자의 학술정보 이용 시 주관적인 선호사항을 분석한 결과 주제성과 이해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학술정보 선택시의 고려사항으로 응답되었으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주요 목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가장 빈번한 목표는 과제수행, 논문작성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인쇄매체와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인쇄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더욱 긍정적이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자매체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이 다수 존재하였다. 전자출판물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하드웨어 평가(3.47)가 소프트웨어 평가(3.31)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user experience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toward electronic pub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After total 20 people of 10 undergraduate students and 10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e-book reader experimental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ubjective preferences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The subject relevance and understandability were responded as most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academic resources. And the most frequent purposes for using academic resources were to perform an assignment and to write an article.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user experience for using the print media and electronic media, the user experience of the print media is more positive than the electronic media and especially these results were caused by academic situation. Many subjects responded that the electronic media is more inconvenient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As a result of the e-book reader usability test, the hardware test score (3.47) is higher than the software test score (3.31).
곽승진, 배경재. 2011. 전자책 단말기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3-333.
김제민, 홍은지, 전광일. 2011. 전자책 표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전자책 개발. 정보과학회논문지, 17(6), 369-377.
배경재. 2014. 대학생의 과제해결과정 중 정보적합성 판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189-206.
정연경 . 2011.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09-127.
조수선. 2011. 웹 공통 API를 이용한 스마트폰 전자책 응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28-33.
조현양, 장보성, 유보현. 2010. 전자책 아카이빙을 위한 협력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61-178.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2011.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디지털교과서의 적응적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혜원, 박경은. 2011. 전자책 콘텐츠의 체험성과 독서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171-181.
Rothman, David. 2006. Kids and e-books: Good news from Ball State’s e-dictionary studies. TeleRead. [online] [cited 2015. 3. 1.] <http://www.teleread.org/blog/?p=5423>
Diaz, Paloma. 2003. Usability of Hypermedia Educational e-Books." D-Lib Magazine, 9(3). [online] [cited 2015. 3. 1.] <http://www.dlib.org/dlib/march03/diaz/03diaz.html>
Bellaver. Richard. 2007. Students favor e-books over paper books in yet another BSU study:Lesson for K-12 and publishers?. TeleRead. [online] [cited 2015. 3. 1.]<http://www.teleread.org/blog/?p=6787>
Fidel, R., and Pejterson, A. M. 2000. A Framework for Cognitive Work Analysis. CIR Work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