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지역문화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대상 자료는 서양인 기록물 11권이고, 주제분류체계로부터 10개의 대주제와 120개의 소주제를 추출하였다. 37개 메타데이터 항목에 맞추어 텍스트 내용의 분석과 입력자료 유형을 분류하고 엑셀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모델과 5개의 메뉴로 구성된 홈페이지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추후연구를 위해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데이터의 지속적인 발굴과 아카이브 확대 방안, 아카이브 시스템간의 활발한 연계, 시스템 표준화, 시스템 호환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시스템 설계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a digital archive for local cultural contents compiled from the records of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Chosun. The compiled information were gathered from 11 records, and 10 main subjects and 120 sub-subjects were derived through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37 metadata, and input data types were classified and databased in Excel. Finally, a model of the digital archive system was simulated, and a webpage consisting of five menus was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extensive aggregation of new data for archive expansion, active connections between archive systems, standardization of systems, and improved system design for compatibility and user-friendliness.
강순애. 2008.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39-60.
김수영, 임준근. 2009. 디지털 향토문화콘텐츠를 위한 XML 기반의 아카이브 시스템에 관한 연구: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콘텐츠, 15, 147-172.
김주관. 2005.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 지방사와 지방문화, 8(1), 217-249.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박재영. 2007.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사례연구: 서세동점기 오페르트와 묄렌도르프의 조선이미지. 한․독사회과학논총, 17(1), 351-380.
백영주, 김수자. 2005. 여성사 관련 자료의 보존현황과 관리방안: 해방이후~1980년대 여성정책및 여성단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5-21.
서해숙. 2013. 진도아리랑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과 설계. 인문콘텐츠, 29, 214-240.
심재석. 2008. 디지털 한국학 아카이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향토문화전자 대전을 중심으로. 제4회 세계한국학대회 논문집.
이남희. 2008.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문서자료의 조직: 고문헌의 전자문서 편찬과 표준화. 영남학, 14, 63-100.
장윤금. 2013. 우리나라 초기 외국인 선교사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필요성 연구(1800-1910). 정보관리학회지, 30(4), 265-281.
함한희, 박순철. 2006.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