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andard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4, pp.379-400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79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초록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중요성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실적인 운영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운영기준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을 분석한 결과 법적 기준과 관련 기관의 운영기준 모두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개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과제는 우선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최소기준과 세부기준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최소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의 조속한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기준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통계 및 평가지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평가업무 연계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 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서비스 기준,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 평가지표,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rvice Guidelines, Public Library, Library for the Disabled, Evaluation Index

Abstract

The realistic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hould be made in the circumstanc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investigation of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o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s the results of those investig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legal standard and related guidelines should be amended urgen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library situation. The first Issue that was derived in this study is to separate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standards and the detailed criteria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condly, the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hould be linked statistics and evaluation index of governmen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library spot realistically. To do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opinions of the library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user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listening and communications.

keywords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서비스 기준,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 평가지표,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rvice Guidelines, Public Library, Library for the Disabled, Evaluation Index

참고문헌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2.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3.

국립중앙도서관. 2010. 한국도서관기준 개정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2.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2013.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김보일. 2006.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기준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7.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

8.

도서관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5549호 (2014. 8. 12, 일부개정 2014. 8. 12).

9.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0.

박종배. 2013.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71-92.

11.

배경재. 2014. 장애인도서관의 설립과 운영. 제51회 전국도서관대회 한국시각장애인도서관협의회 세미나 발표자료집, 2014년 10월 3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12.

배경재. 2015. 보편적 권리로서의 도서관. 오늘의 도서관, 235, 34-36.

13.

송경진, 이정은, 손지영. 2013.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97-219.

14.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3-75.

15.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210.

16.

장보성. 2015. 청각장애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1), 297-316.

17.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05.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 Guidelines for Development. Den Haag, Netherlands: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19.

The Association of Specialized and Cooperative Library Agencies. 2011. NLS Technical Circulars Revised Standards and Guidelines of Service. Washington: National Library Service. [online] [cited 2015. 8. 1.] <http://www.loc.gov/nls/networkdocs/standards2011.html>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