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ians’ Self Image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3, pp.53-6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053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에 대한 교육 정보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을 의미 변별법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친절함, 공평함, 상냥함을 지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역할이 영향력이 없고 무시당하고 있으며, 초라하고 답답하다는 부정적인 자아상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능력과 자질 그리고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서직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사서직에 대한 평가와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동․청소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선배 사서들의 리더십 발휘, 도서관과 사서직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에 대한 홍보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자질 함양을 위한 사서 재교육 활성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사서, 사서의 자아상, 자아상, 사서 이미지, 의미 변별법, Public Librarian, Librarians’ Self Images, Self Images, Librarians’ Image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elf images of public librarians who should increasingly take charge of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through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analyze its’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ublic librarians have been satisfied with their works and believed that they are kind, fair and gentle. One the other hand, they have had negative self images such as no influence, neglect, poor and stuffiness. Therefore, the result show that public librarians consider their ability, quality and activity as positive images, but they have felt lack of the social consensus and affirmative evaluation of their role. So, we can see building a good physical environment and running great programs to create acc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the public libraries, demonstrating leadership among senior librarians are so important in order to beat the stereotype and improve their positive self images of their evaluation and role.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the new value and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hip and to enable retraining for cultivating their qualities as a teacher.

keywords
공공도서관 사서, 사서의 자아상, 자아상, 사서 이미지, 의미 변별법, Public Librarian, Librarians’ Self Images, Self Images, Librarians’ Image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2.

박경숙. 1974. 意味辨別法에 의한 ‘선생’의 이미지 測定. 한국교육, 1(2), 61-73.

3.

변우열, 이병기, 송기호. 2013.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31-47.

4.

우윤희, 김종성. 2014. 우리나라 창작동화에 나타난 도서관 사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277-298.

5.

이경란, 한복희. 2009.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15-130.

6.

이은철, 김갑선. 2002. 사서직의 직업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5-47.

7.

이학주. 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17(1), 183-205.

8.

임경원 외. 2006.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 의미변별척도의 적용. 정서․행동장애연구, 22(3):213-233.

9.

임상직. 2003. 의미변별법에 의한 초등학교장의 이미지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 전공.

10.

임승렬. 2003. 유치원 교사의 자아상(self-image) 검사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8(2), 315-332.

11.

전창호, 김선호. 2008. 영화에 나타난 사서의 이미지 분석. 정보관리연구, 39(1), 151-176.

12.

Elliott, M. A. 1996. The Librarian's Stereotyped Image in Romance Novels, 1980-1995: Has the Image Changed?. M.A. thesis, Kent State University School of Library Science, USA. [online] [cited 2016. 5. 24.] <http://files.eric.ed.gov/fulltext/ED401924.pdf>

13.

IFLA and UNESCO. 1994. Public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6. 4. 1.]<http://www.unesco.org/webworld/libraries/manifestos/libraman.html>

14.

IFLA and UNESCO. 2011.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2nd ed. Berli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5.

Kitchen, B. 2000. Librarian's Image in Children's Fiction. [online] [cited 2015. 5. 24.]<http://files.eric.ed.gov/fulltext/ED450801.pdf>

16.

Limerick, S. B. 2005. From Buns to Batgirl: The Changing Image of the Librarian. [online][cited 2015. 5. 24.] <http://files.eric.ed.gov/fulltext/ED517758.pdf>

17.

Prentice, A. E. 2011. Public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Santa Barbara, CA: Libraries Unlimited.

18.

Pultorak, L. A. 1993. The Image of Librarian in Poetry, 1958-1993. M.A. thesis, Kent Stat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A. [online] [cited 2016. 5. 24.]<http://www.eric.ed.gov/contentdelivery/servlet/ERICServlet?accno=ED367331>

19.

Shera, J. H. 1970. Sociological Foundations of Librarianship. 윤영 역. 1984. 도서관학의 사회학적 기반. 서울: 구미무역출판부.

20.

Vassilakaki, E. and Moniarou-Papaconstantinou, V. 2014. Identifying the Prevailing Ima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 Is the Landscape Changing?. New Library World, 115(7/8), 355-375.

21.

Ziarnik, N. R. 2003. School & Public Libraries: Developing the Natural Alliance. Chicago:American Library Associ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