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ovements of policy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B-gu(district), A-si(city), then to explore the way to contract out of th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to the cultural foundation in the policy proces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from newspapers and assembly minutes to blogs and SNS messages of the policy actors, then analysed based o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he results showed that ‘agreement of contract-out’ coalition only accepted public interest of the public libraries between the public interest and specialty of librarianship which were insisted by ‘disagreement of contract-out’ coalition’s policy beliefs. The comparison between this case and a similar policy case showed that the specialty of librarianship as a core belief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beliefs of other coalition. Eventually, it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and to specialize library services among public services in a local area in order to keep the direct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is means that everyday library services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of library policies in the local area.
고종협, 권용식. 2009. 제주 해군기지 정책변동과정에 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3), 139-178.
곽동철. 2004.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의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51-75.
곽동철. 2007.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현상과 과제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383-404.
권나현 외. 2013. 「공공도서관 민간위탁 가이드라인」의 유용성 평가와 현장 적용성 제고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45-73.
김경욱. 2007. 문화재단: 아름다운 문화 거버넌스를 위하여. 서울: 논형.
김기영. 2008.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접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313-333.
김사랑, 김세준. 2012. 지역문화재단의 조직문화유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6(2), 213-243.
김선애. 2012. 공공도서관의 수탁자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77-98.
김세준. 2013. 문화재단 현황조사 및 특성화 전략방안. 한국문화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년4월 20일, 서울: 서울대학교: 105-114.
김수진, 김유승. 2012.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261-282.
김태희, 리상용. 2014.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363-395.
김해보, 장원호. 2015.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으로 파악하는 지역문화재단의 현재와 미래. 문화정책논총, 29(2), 26-52.
김혁수, 김지원. 2016. 지역문화재단 경영자의 전문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요인별 특성에 관한연구. 문화경제연구, 19(2), 121-146.
대구 북구, 문화재단 설립 제동․조례 상정 4월로 연기. 2017. 뉴스민. 2월 2일. [online] [cited 2017. 6. 29.] <http://www.newsmin.co.kr/news/17503/>
도서관 위탁하면 공공성 훼손 북구 문화재단 설립 찬반 논쟁. 2016. 매일신문. 9월 27일. [online] [cited 2017. 6. 20.]<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6430&yy=201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5. 공공도서관 운영 민간위탁 추진에 대한 반대입장.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류숙원. 2013.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실태분석. 서울: 감사원 감사연구원.
박계옥. 2013. 정책동학의 이해. 서울: 미래의 창.
박기혁. 2011.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사례 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적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행정학과.
박현경, 이찬구. 2017. 정책옹호연합모형(ACF)를 활용한 임금피크제 정책결정과정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17년 5월 26일, 대전: 충남대학교: 845-872.
배순자. 2003. 행정서비스의 민간위탁 사업평가를 통해 본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의 함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2), 79-94.
배응환. 2010. 지방자치: 정치와 행정 그리고 거버넌스. 한국행정포럼, 132, 26-35.
백승기. 2010. 옹호연합모형(ACF: Advocacy Coalition Framework)에 의한 의료보험 통합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행정학보, 44(4), 233-259.
백옥선. 2017.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문화재단간 거버넌스 실태분석. 문화정책논총, 31(1), 130-156.
북구청, 문화재단 설립위한 주민설명회? 토론회?. 2016. 팔공신문. 10월 4일. [online] [cited 2017. 6. 25.] <http://www.anln.org/bbs/board.php?bo_table=hotnews&wr_id=15961>
서혁준, 전영평. 2006. 소수자로서의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책변동. 한국행정학보, 40(4), 277-302.
양승일. 2006. 정책변동론. 파주: 양서원.
윤정기. 1998. 국내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에 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15(1), 7-17.
윤희윤. 2008.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분석과 해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3-26.
이만수. 2001. 정보사회에서의 국가 도서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1), 201-221.
이승모. 2014.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적용을 통한 정책변동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4), 175-201.
이은정. 2016. 재벌의 공익법인 악용 현황 및 보완대책. 기업지배구조연구, 52, 166-178.
이현식. 2005.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과제. 황해문화, 49, 275-293.
이호신. 2016. 공공도서관 관장들의 사서직 인재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2016년 5월 27일, 부산: 부산대학교: 351-375.
전진석. 2003. 새만금 간척사업의 정치경제와 정책옹호연합모형.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207-234.
전진석. 2014.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2), 1-28.
최봉기. 2008. 정책학개론. 서울: 박영사.
최성락, 황혜신, 차성종. 2011. 공공도서관 민간위탁 해외 사례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274-285.
최윤희, 김기영. 2015. A도서관 직영전환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2(3), 295-316.
태전동 어린이․주부도서관, 6년 만에 첫 삽. 2016. 경상매일신문. 1월 27일. [online] [cited 2017. 6. 27.]<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28822&part_idx=289>
포럼 문화와 도서관. 2011. 공공도서관 민간위탁 가이드라인. [online] [cited 2017. 7. 11.]<http://libraryforum.kr/78>
한국사서협회. 2015. 김포시립도서관 문화재단 위탁 문제 해결. [online] [cited 2017. 6. 29.]<http://www.domeri.or.kr/DMR_mailingList/Mailing_View.asp?g_Idx=23403&Page=1&sc=T&st=%EB%AC%B8%ED%99%94%EC%9E%AC%EB%8B%A8>
Brecher, C. et al. 2010.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ontext of New" Policy Issues: The Use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the Case of Expanded After-School Programs.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J-PART, 20(2), 335-355.
Butler, P. 1933. An Introduction to Library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lliott, C., and Schlaepfer, R. 2001.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pplication to the Policy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Certification in Sweden.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8(4), 642-661.
Ellison, B. 1998.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The Operation of Federalism in Denver Water Politics. Publius, 28(4), 35-54.
Sabatier, P. A., and Jenkins, H. C. 1994. Evaluating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Journal of Public Policy, 14(2), 175-203.
Sabatier, P. A., and Weible, C. M. 2007.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novations and Clarifications.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189-217.
Weible, C. 2007.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pproach to Stakeholder Analysis:Understanding the Political Context of California Marine Protected Area Policy.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J-PART, 17(1), 95-117.
Weible, C., Sabatier, P. A., and McQueen, K. 2009. Themes and Variations: Taking Stock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Policy Studies Journal, 37(1), 12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