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향후 출판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출판 방식의 변화와 현황 및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출판 형태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종이책과 전자책의 이용에 관한 국내외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국내 주요 기관의 고전적 정리․번역서 출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의 메일링리스트를 활용해 전문가와 일반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책은 종이책을 완벽하게 대체하는 매체로 간주되기는 어려우며,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당분간 종이책과 전자책의 병행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종이책과 전자책의 개인적 사용가치, 소장가치, 가독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일반이용자와 전문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이나 관련 기관에서의 보존가치에 대한 평가에서는 종이책에 대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었으나 전자책의 경우에는 집단 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술 연구나 번역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종이책 형태의 고전적 정리․번역서가 전자책에 비해 더 선호되며, 온라인을 통한 이용에 있어서는 전자책보다 데이터베이스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적 정리․번역서의 전자책 구현을 위해서는 고전적의 특수성과 상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기술적으로 모든 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한 표준화된 플랫폼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general users’ perceptions regarding publication preferences for Korean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in order to formulate future directions for these materials. For this purpose, an overview of changes in publishing in general as well as current status of collation/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n particular are being identifie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data regarding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expert users and general users of Korean classics.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analyses of more than 1,000 responses. The analyses show that electronic books will not completely replace printed books and publishing both electronic and printed books in tandem for the time being is most preferable in order to satisfy varying user needs. Statistical analysis shows differences in terms of use value, value from possession, and readability of electronic and printed books in the two groups of users. However, as for the value of preservation by relevant institution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wards printed books unlike their electronic equivalents. The research shows strong preference towards printed forms of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for the purpose of scholarly research and translation. Actual usage statistics reveal much heavy use of online database of classics translations compared to the use of available electronic books. For future publishing decisions for classics collations and translations will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nature. Proper representation of these materials into electronic format would require a standardized platform that enable various uses in different environments.
교육부. 2017. 『인문학 진흥 5개년 기본 계획(2017-2021)』. 세종: 교육부. [online] [cited 2017. 9. 28.]<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0225&lev=0&sear 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503&opType=N>
마크로밀엠브레인. 2016. 전자책 vs 종이책 이용경험 및 독서 관련 전반적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6-04: 228-266.
문화체육관광부. 2017.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본계획(2017-2021)』.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online][cited 2017. 9. 28.]<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0225&lev=0&sear 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503&opType=N>
박수진. 2007. 『종이책과 전자책의 유형별 선호매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언론정보대학원.
박영경, 이혜미, 이설희. 2015. 종이같은 E-ink 전자책의 감성연구. 감성과학, 18(4), 119-128.
배경재. 2015.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 사용경험 정의 및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255-274.
손용범, 김영학. 2012. 사용자의 이해력 관점에서 전자책 장치의 크기에 관한 실험적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8), 167-177.
신선. 2013. 종이책과 전자책의 독서 현황 분석. KISDI STAT Report, 13-10-01: 2-6. [online][cited 2017. 9. 28.] <http://www.kisdi.re.kr/kisdi/common/premium?file=1%7C13234>
엄인영. 2016. 『오감을 통한 종이책의 파라텍스트(Para-texte)개념 확장에 관한 연구: 종이책과전자책의 비교를 통하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예술대자인대학원 시각정보디자인전공.
이나래, 이우훈. 2012. 이북리더의 읽기자세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12 봄 국제학술대회논문집』, 2012년 5월18일-5월19일, 인천: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2012(1): 146-147.
이동용, 이태일. 2014. 페이지 전환 방식과 화면 크기가 디지털 리딩 경험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2), 41-50.
이민호. 2012.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전자책과 종이책의 가독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정명순. 2014. 디지털 시대에 전자책과 종이책의 상호 보완 역할. 독일언어문학, 63, 285-304.
정미리, 김보연. 2013. 행위기반의 종이책과 전자책 사용자 분석 - iBooks 기능을 통해 살펴본7단계 사용자 행위 모델.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1), 671-680.
조정미, 공병훈. 2017. 종이책과 전자책 출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2017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7년 5월 12일-13일, 대전: 국립한밭대학교: 345-346.
한국고전번역원. 2016. 『2016 고전번역연감』.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online] [cited 2017. 9. 28.] <http://ebook.itkc.or.kr/Viewer/OQGWBI3MD5WH>
한국문화경제학회. 2011. 고전번역수요조사분석 및 성과측정 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ITKC-2010-PR01.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6. 『2016 출판산업 실태조사』. [online] [cited 2017. 9. 28.]<http://www.kpipa.or.kr/info/studyrepotView.do?board_id=51&article_id=66881&pageI nfo.page=&search_cond=&search_text=&list_no=51#>
“Publishers Sales Down at the Start of 2016, eBooks Decline". 2016. AAP Newsroom. June 27. [online] [cited 2017. 9. 28.]<http://newsroom.publishers.org/publishers-sales-down-at-the-start-of-2016-ebooks-decline/>
“ALA, BISG Announce Results of New Joint Study on PrintDigital Library Usage". 2015. ALAnews. December 03. [online] [cited 2017. 9. 28.]<http://www.ala.org/news/press-releases/2015/12/ala-bisg-announce-results-new-joint-study-print-digital-library-usage>
Foasberg, N. M. 2014. “Student Reading Practices in Print and Electronic Media.”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5(5): 705-723. [online] [cited 2017. 9. 28.]<http://crl.acrl.org/index.php/crl/article/view/16382>
“E-Book Sales Down In UK." 2017. Forbes. April 27. [online] [cited 2017. 9. 28.]<https://www.forbes.com/sites/ellenduffer/2017/04/27/e-book-sales-down-in-uk/#24160e9a3448>
Millar, M., and Schrier, T. 2015. Digital or Printed Textbooks: Which Do Students Prefer and Why? Journal of Teaching in Travel & Tourism, 15(2), 166-185. [online] [cited 2017. 9. 28.]<http://www.tandfonline.com/doi/abs/10.1080/15313220.2015.1026474?journalCode=wttt20>
Myrberg, C. and Wiberg, N. 2015. “Screen vs. Paper: What Is the Difference for Reading and Learning?” Insights, 8(2): 49-54. [online] [cited 2017. 9. 28.]<http://doi.org/10.1629/uksg.236>
Pew Research Center. 2016. Book Reading. [online] [cited 2017. 9. 28.]<http://assets.pewresearch.org/wp-content/uploads/sites/14/2016/08/PI_2016.09.01._Book -Reading_FINAL.pdf>
Silverman, S. 2014. The Book vs. E-Book: E-Book Survey Report. South Carolina Libraries, 1(1), Article 11. [online] [cited 2017. 9. 28.]<http://scholarcommons.sc.edu/scl_journal/vol1/iss1/11>
Waters, J. et al. 2014. “A Comparison of E-book and Print Book Discovery, Preferences, and Usage by Science and Engineering Faculty and 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Kansas.”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2014(winter). [online] [cited 2017. 9. 28.] <https://doi.org/10.5062/F48G8HN5>
Zabukovec, V. and Vilar, P. 2015. “Paper or Electronic: Preferences of Slovenian Students."In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Literacy. 427-435 [online] [cited 2017. 9. 28.]<http://ecil2015.ilconf.org/wp-content/uploads/sites/4/2016/11/ecil2015_abstracts.pdf#pa ge=121>
Zhang, Y. and Kudva, S. 2013. “EBooks vs. Print books: Readers' Choices and Preferences across Contexts." In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0(1): 1-4.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meet.14505001106/f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