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핵심가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cing the Core Valu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for the Public Servi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4, pp.111-135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111
노영희 (건국대학교)
안인자 (동원대학교)
최만호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노지윤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헌법재판소 도서관은 2019년 도서관 이전과 함께 국내 최고의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 이용자의 법률정보 접근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양질의 법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비전 및 중장기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변화에 대비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헌법재판소 도서관으로서의 비전과 핵심가치, 목표를 도출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대내외 환경 분석, 유사기관의 핵심가치 분석 등을 통하여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4대 핵심가치를 설정하고 목표를 도출하였다. 4대 핵심가치로 전문성(Expertise), 소통과 보편성(Communication & Universality), 협력(Cooperation), 혁신(Innovation)을 제시하였으며, 수립된 4대의 핵심가치가 도서관 운영, 제도, 정책에 반영될때 헌법재판소 도서관이 국내 최고의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 자리를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Core Value, Public Service, Expertise, Communication & Responsibility, Cooperation, Innovation, 헌법재판소 도서관, 핵심가치, 대국민서비스, 전문성, 소통과 보편성, 협력, 혁신

Abstract

A vision and a medium-to-long-term master plan are key factors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to improve users’ access to legal information and provide better legal information services as the leading public law library in Korea in 2019. For this point, it is a priority task to set a vision and goals and to identify the core values of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n this study, the four core valu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brar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analysis of the core values of similar institutions. The four core values derived from the study are Expertise, Communication & Universality, Cooperation, and Innovation, and when these values are reflected in library operation, system and policy,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s expected to further solidify its position as the nation’s top law library.

keywords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Core Value, Public Service, Expertise, Communication & Responsibility, Cooperation, Innovation, 헌법재판소 도서관, 핵심가치, 대국민서비스, 전문성, 소통과 보편성, 협력, 혁신

참고문헌

1.

경기도청. 2014. 경기도 대표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및 운영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청.

2.

곽승진, 노영희, 신재민. 2017.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7-25.

3.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8. 9. 18.] <www.libsta.go.kr>

4.

국립중앙도서관. 2010. IFLA 2010-2015 전략계획. 도서관 정책자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2014.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국립세종도서관. 2017a.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세종: 국립세종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2017b.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도서관의 미래전략 및 서비스 모형 구축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8.

국회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18.] <https://www.nanet.go.kr>

9.

노영희 외. 2017. 충남대표도서관의 장서구성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8(1), 235-264.

10.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1.

박옥남.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285-311.

12.

법원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18.] <https://library.scourt.go.kr>

13.

송기호. 2009.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25-247.

14.

이란주. 2016.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에 기반 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탐험적인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291-312.

15.

이용재, 박경석, 김보인. 2012.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33-150.

16.

이진구, 박순원, 전기석. 2015. 국내 대기업의 핵심가치 교육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547-564.

17.

정재영. 2012.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33-352.

18.

천혜선, 이정미, 곽승진. 2013. 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63-387.

19.

헌법재판소 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18.] <http://library.ccourt.go.kr>

20.

황혜정, 김기영. 2015.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2(1), 245-264.

21.

Bailin, K.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59.

22.

Court Services Victoria. [online] [cited 2018. 9. 23.]<https://www.courts.vic.gov.au/about-csv>

23.

Harvard Law School Library. [online] [cited 2018. 9. 23.]<https://hls.harvard.edu/library/about-the-library/staff-directory/>

24.

Lao, G. and Jiang, S. 2009. Risk Analysis of Third-Party Online Payment Based on PEST Model. Management and Service Science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pp. 1-5.

25.

Law Library of Congress(미국 법원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23.]<https://www.loc.gov/law/>

26.

Library of the Constitutional Court(체코 헌법재판소 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24.]<https://www.usoud.cz/en/library/>

27.

Mole, A. J. C. 2017. Assessment of Academic Utilization of Online Information Resources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y of Nigeria, Nsukka.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7(3), 29-48.

28.

Supremo Tribunal Federal. [online] [cited 2018. 9. 23.]<http://portal.stf.jus.br/textos/verTexto.asp?servico=bibliotecaSobreBibliotecaCoordenadoria>

29.

Supreme Court of Canada(캐나다 대법원 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23.]<https://www.scc-csc.ca/lib-bib/about-apropos-eng.aspx>

30.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s library(독일 헌법재판소 도서관). [online] [cited 2018. 9. 24.]<http://www.bundesverfassungsgericht.de/EN/Das-Gericht/Bibliothek/bibliothek_node.html>

31.

The Law Library of Victoria. [online] [cited 2018. 9. 23.]<https://www.lawlibrary.vic.gov.au/>

32.

The Supreme Court Library Queensland. [online] [cited 2018. 9. 23.]<https://www.sclqld.org.au/about-us/>

33.

UK Law Library. [online] [cited 2018. 9. 23.] <http://law.uky.edu/directory/librar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