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of Social Studies 1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2, pp.5-2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05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하여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를 분석하고, 사서 교사가 협동수업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정보서비스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개발된 8종의 사회 1 교과서에 포함된 총 1,089개의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투입 요소로서의 매체는 매체의 유형으로 분석하고, 매체의 처리 요소로서의 특징은 인지행동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매체의 산출 요소 측면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과제 해결 과정에서 투입되는 매체는 사진과 삽화 중심의 시각자료와 일반적인 읽기 자료가 주류를 이루었다. 처리 방법은 구조화를 통한 분석과 추론을 통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출 방법은 말하기와 쓰기 중심의 언어지능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 교사가 사회과 탐구 활동을 위하여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정보서비스를 정보처리 단계별로 교육과정 지도 제작, 탐구 절차와 탐구 기술의 지도 그리고 다중지능별 교수․학습전략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 개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keywords
사회 교과, 사서 교사, 협동수업, 도서관활용수업, 정보처리모형, 다중지능, 탐구 과제, Social Studies, Teacher Librarians, Collaborative Instruction,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Multiple Intelligences, Inquiry task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textbooks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to suggest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of teacher librarians under a collaborative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1,089 inquiry tasks embedded in 8 types of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media as an input element was analyzed by the type and the characteristic as a processing element was analyzed by the cognitive behavior types. And the aspect of the output factor of the media utilized the multiple intellig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 in the inquiry task solving process mainly consisted of visual media based on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and general reading materials. The processing method of media is understanding through analysis and inference through structuring. And the output utilized speaking and writing of the language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that teacher librarians could provide for inquiry activities are composed of developing curriculum map, teaching inquiry processing and skills, and designing work sheets with graphic organizer and multiple intelligences und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s.

keywords
사회 교과, 사서 교사, 협동수업, 도서관활용수업, 정보처리모형, 다중지능, 탐구 과제, Social Studies, Teacher Librarians, Collaborative Instruction,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Multiple Intelligences, Inquiry tasks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

구정화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천재교육.

3.

김영순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동아출판.

4.

김진수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Mirae N.

5.

김찬빈. 2009.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6.

노정임, 송기호, 유종열. 2017. 다중지능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의 교수․학습전략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2): 5-22.

7.

모경환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금성출판사.

8.

박형준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천재교과서.

9.

박효정 외. 2006. 『다중지능이론과 수업』. 서울: 양서원.

10.

송기호. 2014. 『사서 교사를 위한 통합정보활용교육론』. 대구: 태일사.

11.

송기호. 2015.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33-252.

12.

송기호. 2016.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 교사의 교육정보 서비스 요소 분석:4․5․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1-20.

13.

송기호. 2017.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수록 매체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1): 5-23.

14.

신동령. 2010.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활동의 활용 실태 및 적합성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옥일남. 2012.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분석. 『시민교육연구』, 44(1): 51-90.

16.

유종열, 송기호. 2017.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 교사의 교육적 역할 분석:초등학교 4․5․6학년 2학기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9-47.

17.

이간용. 2005. 초등 『사회』교과서 탐구 과제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 44(3): 151-171.

18.

이민부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박영사.

19.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43-60.

20.

이신동. 1994. 정보처리 이론의 한계와 신경망 이론. 『교육문제연구』, 6: 231-241.

21.

이진석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지학사.

22.

장정인. 2009. 중등 사회과 교과서 정치 영역의 탐구 과제 분석: 행위능력 요구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5(1): 107-138.

23.

전민제. 2011. 『Bloom의 교육목표분류에 근거한 2007 개정 고1 사회 교과서 일반사회 영역의탐구 과제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최성길 외. 2017. 『중학교 사회1』. 서울: 비상교육.

25.

Anderson, Lorin et al. 2005.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강현석 외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6.

Armstrong, Thomas. 2014. 『다중지능과 교육』. 전윤식 외 옮김.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7.

Brodie, Carolyn S. 2006.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23(2): 27-30.

28.

Borich, Gary D. 2011. 『효과적인 교수법』. 제7판. 박승배 외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9.

Gardner, Howard. 2007. 『다중지능』. 문용린, 유경재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30.

Connell, J. Diane. 2008. 『뇌 기반 교수-학습전략』. 정종진, 임청환, 성용구 옮김. 서울: 학지사.

31.

Cozolino, Louis. 2017. 『교육에서의 사회신경과학. 김유미, 허난설 공역. 서울: 학지사.

32.

Gunter, Mary A., Estes, Thomas H. and Mintz, Susan L. 2010. 『수업모형』. 제5판. 권낙원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3.

Harada, Violet H. and Yoshina, Joan M. 2004. Inquiry Learning through Librarian-Teacher Partnerships. Worthington: Linworth Publishing.

34.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online] [cited 2018. 12. 14.]<http://www.ifla.org/files/assets/school-libraries-resource-centers/publications/ifla-schoolguidelines. 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