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Contribu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Public Librar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of Busan C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2, pp.29-48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29
윤희윤 (대구대학교)
김경희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직업탐색, 진로탐방․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직업탐색 중 강연․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자유학기제, 청소년, 공공도서관, 지역문화, 지역발전, Free Learning Semester, Young Adults, Public Library, Local Culture, Local Development

Abstract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focuses on the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educational policy that links career re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career search in middle school, and career planning in high school. This system was fully implemented in 2016 and public libraries also provided various programs. This study analyz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city and demonstrated the contribution of local development. As a result, career and job search, career exploration and experience, and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programs contributed to local knowledge culture, reading culture, learning culture, living culture and leisure culture. However, contribution of reading exhibitions, job experience,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to the leisure culture and local economy were limi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all libraries should add programs related to knowledge ecosystem structure, digital information gap, human healing, social environment issues, future job prospects, and provide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keywords
자유학기제, 청소년, 공공도서관, 지역문화, 지역발전, Free Learning Semester, Young Adults, Public Library, Local Culture, Local Development

참고문헌

1.

권은경. 2017.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의 대응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49-76.

2.

김나라, 최지원. 2014.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27(3):199-223.

3.

노영희, 김혜인. 2016.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도서관의 역할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93-122.

4.

문화체육관광부. 2018.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5.

윤희윤. 2015.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20.

6.

윤희윤. 2017. 『공공도서관정론』. 대구: 태일사.

7.

이재희. 2016. 공공도서관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부천시립원미도서관 중심으로. 『디지틀 도서관』, 82: 86-105.

8.

임미화. 2014. 꿈과 끼를 키우는 공공도서관의 진로독서교육: 정독도서관 독서토론프로그램 중심으로. 『디지틀 도서관』, 73: 29-55.

9.

한국도서관협회. 2017-2018. 『길 위의 인문학 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동협회.

10.

한국도서관협회 2018. 2018년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지원대상도서관 선정 공고문(2018. 05. 03). [online] [인용 2018. 10. 31.] <https://www.libraryonroad.kr/>

11.

황금숙, 김수경. 2016.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99-128.

12.

Joanna, Sin Sei-Ching and Vakkari Pertti. 2015.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U.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3): 209-219.

13.

Marino, Mina Di and Kimmo Lapintie. 2015. “Libraries as Transitory Workspaces and Spatial Incubator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2): 118-129.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