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자원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디지털 보존 및 디지털 큐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 보존과 디지털 큐레이션과 관련된 국외논문과 미국,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뉴질랜드의 대학 기록관리 과정의 교과를 대상으로 제목 키워드 프로파일링 기법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논문 및 교과의 핵심 주제영역을 도출하고 논문 및 교과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논문 및 교과의 핵심 주제영역은 논문은 아카이브 시스템 영역, 교과는 큐레이션 교육 및 업무 영역이 주요 영역으로 나타났다. 논문 및 교과 내용분석에 있어서는 논문에서는 전략설계, 교과에서는 기록관리업무가 주요 내용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디지털 자원의 포맷이 중요한 이슈로 출현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curation with rapid increase of digital resour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opics and the course topics related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curation. The cours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curricula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and archival science departments in leading countries such as US, England, Ireland, Canada and New Zealand. Title keyword profiling and network analysis were adapted to discover core research and education areas. The key topics in the abstracts of research papers and the contents of the course were also illustrated by these methods. In the research analysis, archival system is the biggest area of researches related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curation. Courser analysis shows digital curation education and process is the important area of education.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plan and strategy is a notable topic of research and record management process is a major topic of courses for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curation. In addition, format of digital resource is an important topic for research and courses.
강범일, 이재윤. 2014. 트위터 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3):293-311. doi: 10.3743/KOSIM.2014.31.3.293
국립중앙도서관 월드라이브러리. 2009.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9. 6. 7.]<https://wl.nl.go.kr/usr/com/prm/BBSDetail.do?menuNo=13001&upperMenuId=13&bbsId =BBSMSTR_000000000458&nttId=4560&searchBoardGubun=&boardTab=&pageIndex =1&searchCnd=&searchWrd=%EB%94%94%EC%A7%80%ED%84%B8+%ED%81%90%EB%A0%88%EC%9D%B4%EC%85%98&boardType=GALLERY&searchStartDate=&searchEndDate=>
김영석. 2014. 문헌정보학의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173-196. doi: 10.16981/kliss.45.1.201403.173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doi: 10.3743/KOSIM.2015.32.1.265
김판준, 이재윤. 2007.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 285-303. doi: 10.3743/OPEM.2007.24.4.285
김희정. 2011.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35-248.
서은경. 2017.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4(4): 247-271. doi: 10.3743/KOSIM.2017.34.4.247
이재윤. 2017.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14.
이재윤. 2006.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15-231.
이재윤. COOC ver 0.4 프로그램 [cited 2019. 6. 25.]
이재윤. WNET ver 0.4 프로그램 [cited 2019. 6. 25.]
정연경. 2002.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01-122.
최상희, 하유진. 2019.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6(1): 53-71. doi: 10.3743/KOSIM.2019.36.1.053
Digital Curation Center. 2014. What is 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9. 6. 7.] <http://www.dcc.ac.uk/digital-curation/what-digital-curation>
ICPSR. 2012.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and Planning at ICRSR.” [online] [cited 2019. 7. 9.]<https://www.icpsr.umich.edu/icpsrweb/content/datamanagement/preservation/policies/in dex.html>
Preston, E. E. 2003.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raduate Archival Education, and Progress: A Study of the History of Archival Education and Current Curricula. M.S. thesis. Chapel Hill, North Carolina.
Zhang, J. 2016. “Teach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the Archival Curriculum.”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57(1): 57-68doi: 10.12783/issn.2328-2967/57/1/5